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Pinned Object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874
글쓴 사람
드리렁
홈페이지
첨부 파일
 

POH 포스트에서 링크를 걸어 주셨던

https://github.com/dotnet/coreclr/blob/master/Documentation/design-docs/PinnedHeap.md


위 글에 보면 POPO(Promote Only Pinned Objects)에 대한 설명이 간단히 나오는데,
Pinned Object가 Plug 주변에 있으면 어떻게 처리한다는 것인지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Plug를 쪼개서 처리 한다는 걸까요? 어떻게 쪼개는건지도 잘 이해가 가지 않네요;

혹시 POPO와 관련해서 아시는 내용있으시면 가르침 좀 부탁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13/2022]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9-13 07시20분
저도 그 부분은 잘 이해가 안 됩니다. 문서를 쓴 분이, "plug"라고 표현을 했지만 문맥상으로 그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좋을지 해당 글만으로는 설명이 불충분합니다.

어쨌든, pinning 개체로 인해 GC Heap 관리가 어렵고, 그 와중에 GC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Demotion"과 "POPO"와 같은 처리를 해가며 노력했다는 것으로 가볍게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demotion 처리에 대해서는 "https://devblogs.microsoft.com/dotnet/internals-of-the-poh" 글에서 그나마 상황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결국 문제는 pinning되는 개체를 미리 알 수 없었다는 점이 근본적인 원인이며, 이를 위해 .NET 5부터 할당 시점에 pinning 여부를 알 수 있는(개발자 입장에서는 지정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하며, 이런 경우 해당 개체를 SOH/LOH가 아닌 POH에 분리시켜 관리한다... 라고 전체적인 이해만 해도 되겠습니다.

혹시나, 나중에라도 알게 되면 기록으로 남기겠습니다. (또는, 질문하신 분이 먼저 알게 되시면 덧글 부탁드리겠습니다. ^^)
정성태
2022-09-13 11시44분
[드리렁] 친절히 설명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조금 더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손님]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5339민성5/27/20203294WPF cmd을 실행을 할때 파라미터 넘기는 방법 [1]
5338서영준5/26/20204581.Net Core Blazor 서버에 Xing API를 이용한 통신 요청 [5]파일 다운로드1
5337og...5/26/20204840C# DB connection string 보호 방법에 대하여 [2]
5336sa...5/21/20204308이벤트 뷰어 .NET Runtime 오류 [3]
5335민성5/21/20203407안녕하세요 C#으로 컴퓨터 시작프로그램 목록을 가져와서 사용안함으로 바꿀려면 [1]
5334민성5/19/20203868안녕하세요 WPF 콘솔창을 띠우면서 Ping이라는 명령어가 콘솔에 Write되게 할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5333초보5/18/20203915공유 메모리 관련 문의 [2]
5332질문요5/15/20203358TcpListener TcpClient 문의 [4]
5331sdd5/13/20203695안녕하세요 Settings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2]파일 다운로드1
5330하태5/7/20207210안녕하세요! 질문 드리겠습니다! C# dll에서 c++ CLR프로젝트를 참조 추가 할 수 있나요? [2]
5329김태령4/21/20203605젠킨스에서 원격 머신에 있는 실행 파일을 실행하면 백그라운드로 뜹니다 [2]
5328cr...4/17/20203894안녕하세요! [3]파일 다운로드1
5327김동욱4/17/20204033HttpListener 사용시 HTTP/2 질문입니다. [2]
5323나그네4/15/20203432해결 115p 네임스페이스의 ConsoleApp1.exe는 netcoreapp3.1 폴더에 있었습니다. [1]파일 다운로드1
5322나그네4/14/20204006질문 115p 네임스페이스의 ConsoleApp1.exe 컴파일 또는 빌드방법 [2]파일 다운로드1
5321나그네4/14/20204764오타인가요? [2]
5320ki...4/10/20206653C# Serial 통신 관련 질문 입니다. [5]
5319권대현4/10/20203442C++(UWP)Dll에서 C#(UWP)Dll 호출이 가능한가요? [1]
5318이승준4/9/20204108동영상 관련 업계 근황? 입니다. [1]
5317ks...4/7/20205308OpenCV 이용 해상도 설정 질문 입니다.. [3]
5316윤현수4/7/20203342pipe 비동기방식 질문 [1]파일 다운로드1
53154/6/20203933dll파일 로드 원리? 부분에서 도움받고싶습니다. [3]
5314강성욱3/31/20205063메서드 내에서 await 2번 등장할 때의 이해 [11]파일 다운로드1
5313강성욱3/27/20203828await 2번 [1]
53121a...3/20/20203474Re raw data write 질문 관련 [1]파일 다운로드1
53111a...3/20/20203849Raw data write 관련 질문 [1]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