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11월 초에 발표된 preview NET7.0 AOT 콘솔을 사용해 봤는데요. 그들 말로는 NATIVE코드를 생성해서 성능 향상이 크다고 하는데요. 같은 코드를 윈11에서 닷넷프레임워크4.8콘솔과 NET7.0 콘솔 ILCompiler에서 돌려보니 둘의 성능 차이가 없는거 같네요. 제가 뭘 잘못 만진건지 모르겠네요. 선생님께서는 vs2022 preview net7 AOT 해보셨는지 궁금합니다. [다음 글] app.config 에 connectionStrings를 aspnet_regiis로 enctyption [이전 글] 전처리 지시문 #if DEBUG 배포시 실행 여부 [최초 등록일: 11/8/2022] [최종 수정일: 11/8/2022]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11-08 02시02분 문서에 따르면, ReadyToRun Compilation;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ore/deploying/ready-to-runr2r로 인해 실행 파일의 크기가 2~3배 증가할 수 있다고 합니다. 결국 초기 로딩 속도가 디스크 읽기 작업으로 느려지고, working set도 증가하는 부작용으로 인해 이것은 다시 로딩 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사실 R2R(Ready-to-Run)을 설정하는 가장 큰 이유가 초기 로딩 속도를 줄여보려는 것이므로, 가능한 자신의 애플리케이션 상황에 맞게 적절한 테스트를 해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그리고 r2r은 순수하게 JIT 컴파일을 생략하는 것으로 주로 로딩 속도에만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일단 JIT 컴파일 된 코드나, r2r된 코드나 그 이후의 성능은 동일합니다. 정성태 2022-11-08 04시37분 [차가워] 기존에 있던 r2r이랑은 다른 이번에 새로 적용된 native aot 라고 jit를 사용하지 않는 네이티브코드라고 하더라구요.https://www.youtube.com/watch?v=sa3XsvSiMtk [guest] 2022-11-08 04시46분 [차가워] https://www.youtube.com/watch?v=4THfSynZLq8&t=141s [guest] 2022-11-08 11시14분 r2r도 jit하지 않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단지 .NET 7에 포함된 native aot가 좀 더 확실히 native 코드를 생성하는 정도일 텐데요, 그렇다 해도 제가 위에서 언급한 조건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정성태 2022-11-10 11시19분 제가 해보니까,.NET 7 - AOT(ahead-of-time) 컴파일; https://www.sysnet.pe.kr/2/0/13162PublishAot 옵션을 주고 배포한 경우 빨라졌는데요. 혹시 어떤 식으로 테스트하신 건가요? 테스트하신 예제 프로젝트를 올려주실 수 있나요? 정성태 2022-11-22 08시29분 [차가워] 윗글 링크에 나온 글 보고 따라해봤는데요.사용환경은윈11Microsoft Visual Studio Enterprise 2022 (64-bit) - Preview버전 17.5.0 Preview 1.01. net7으로 콘솔프로젝트 하나 만들어서2. csproj파일에 다음과 같이 <PublishAot>true</PublishAot> 추가<?xml version="1.0" encoding="utf-8"?><Project ToolsVersion="Current" xmlns="http://schemas.microsoft.com/developer/msbuild/2003"> <PropertyGroup> <_LastSelectedProfileId>C:\Users\lines...\PublishProfiles\FolderProfile.pubxml</_LastSelectedProfileId> <PublishAot>true</PublishAot> </PropertyGroup></Project>3.게시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오네요. 오류 NETSDK1191 'PublishAot' 속성의 런타임 식별자를 유추할 수 없습니다. RID를 명시적으로 지정하세요.제가 뭔가를 잘못한거 같은데 뭐가 잘못 된 건지 모르겠습니다. [guest] 2022-11-22 11시33분 이상하군요, 해당 링크를 따라했으면,https://www.sysnet.pe.kr/2/0/13162#publish_aotcsproj 파일의 내용이 "<Project Sdk="Microsoft.NET.Sdk">"로 시작했을 텐데요? 확실히 .NET 7 콘솔 프로젝트가 맞나요?만약 다른 식으로 생성한 것이라면, 런타임 식별자를 알 수 없다는 것이니 억지로 "<RuntimeIdentifier>win-x64</RuntimeIdentifier>"를 넣는 것은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41(non...3/22/201421121(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4]1240이석주3/21/201423798인터넷 익스플로러가 hang이 걸리는 현상 문의 [1]11238(non...3/13/201417713(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2]1237(non...3/11/201417749(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2]1236(non...3/11/201418608(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2]1235(non...3/10/201417698(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2]1234(non...3/10/201420887(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3]1233(non...3/9/201418561(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4]1232(non...3/8/201417455(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2]1231(non...3/7/201418746(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9]1230POCO3/7/201419099쓰레드 안에서 DependencyProperty get, set시 또 다른 스레드 오류.. [1]1229(non...3/6/201419763(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11]1228POCO3/6/201417809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습니다. [1]1226김형진3/4/201427969안녕하세요 windows azure에 관해 질문했던 사람입니다. [2]1224(non...3/3/201423284(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11]1223sadf...3/3/201417836아래 질문에 답변 감사드립니다. 한가지 더 궁금한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1]1222(non...3/2/201418284(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4]1221(non...3/1/201418700(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2]1220Until2/28/201417004질문드립니다. [1]1219이성환2/28/201416479string.Join()과 Enumerable.Aggregate()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2]11218김형진2/25/201418280안녕하세요. window azure에 대해서 질문이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4]1217(non...2/23/201418885(글쓴이의 요청으로 삭제합니다.) [1]1215아리수2/20/201422298C# 공부하면서 WPF에 대한 질문. [2]1214조광훈2/20/201420304IIS8 응용프로그램 풀 관련 질문 드립니다. [2]11213김태훈2/17/201417507가상화 프로그램 질문입니다. [1]11212조광훈2/13/201416275ISAPI 필터에서 커스텀 헤더 정보 추가 [1]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