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S2005의 스마트 클라이언트에서 웹브라우저 예제 질문입니다.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4679
글쓴 사람
futurewave (futurewave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2004년 3월에 연재하신 스마트클라이언트에서 웹브라우저관련 예제의

샘플을 다운로드한후 테스트해보았더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나네요...

WebApp 폴더를 웹공유하여 가상폴더로 잡고 익명접근도 해놓았는데

해당사이트 http://localhost/WebApp/WebForm1.aspx를 띄우면 퍼미션 에러가 나네요..

이 대화 상자 대신 JIT(Just-in-time) 디버깅을 호출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 메시지의 뒷부분을 참조하십시오.

************** 예외 텍스트 **************
System.Security.SecurityException: System.Security.Permissions.SecurityPermission
   위치: SmartClient.TreeControl.TreeControl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위치: System.Windows.Forms.UserControl.OnLoad(EventArgs e)
   위치: System.Windows.Forms.UserControl.OnCreateControl()
   위치: System.Windows.Forms.Control.CreateControl(Boolean fIgnoreVisible)
   위치: System.Windows.Forms.Control.CreateControl()
   위치: System.Windows.Forms.Control.WmShowWindow(Message& m)
   위치: System.Windows.Forms.Control.WndProc(Message& m)
   위치: System.Windows.Forms.ScrollableControl.WndProc(Message& m)
   위치: System.Windows.Forms.ContainerControl.WndProc(Message& m)
   위치: System.Windows.Forms.UserControl.WndProc(Message& m)
   위치: System.Windows.Forms.Control.ControlNativeWindow.OnMessage(Message& m)
   위치: System.Windows.Forms.Control.ActiveXImpl.System.Windows.Forms.IWindowTarget.OnMessage(Message& m)
   위치: System.Windows.Forms.Control.ControlNativeWindow.WndProc(Message& m)
   위치: System.Windows.Forms.NativeWindow.Callback(IntPtr hWnd, Int32 msg, IntPtr wparam, IntPtr lparam)
실패한 첫 번째 권한 형식:
System.Security.Permissions.SecurityPermission
실패한 어셈블리의 영역:
MyComputer


************** 로드된 어셈블리 **************
mscorlib
    어셈블리 버전: 2.0.0.0
    Win32 버전: 2.0.50727.42 (RTM.050727-4200)
    코드베이스: file:///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mscorlib.dll
----------------------------------------
System
    어셈블리 버전: 2.0.0.0
    Win32 버전: 2.0.50727.42 (RTM.050727-4200)
    코드베이스: file:///C:/WINDOWS/assembly/GAC_MSIL/System/2.0.0.0__b77a5c561934e089/System.dll
----------------------------------------
SmartClient
    어셈블리 버전: 1.0.0.1
    Win32 버전: N/A
    코드베이스: http://localhost/WebApp/SmartClient.dll
----------------------------------------
System.Windows.Forms
    어셈블리 버전: 2.0.0.0
    Win32 버전: 2.0.50727.42 (RTM.050727-4200)
    코드베이스: file:///C:/WINDOWS/assembly/GAC_MSIL/System.Windows.Forms/2.0.0.0__b77a5c561934e089/System.Windows.Forms.dll
----------------------------------------
System.Drawing
    어셈블리 버전: 2.0.0.0
    Win32 버전: 2.0.50727.42 (RTM.050727-4200)
    코드베이스: file:///C:/WINDOWS/assembly/GAC_MSIL/System.Drawing/2.0.0.0__b03f5f7f11d50a3a/System.Drawing.dll
----------------------------------------
Accessibility
    어셈블리 버전: 2.0.0.0
    Win32 버전: 2.0.50727.42 (RTM.050727-4200)
    코드베이스: file:///C:/WINDOWS/assembly/GAC_MSIL/Accessibility/2.0.0.0__b03f5f7f11d50a3a/Accessibility.dll
----------------------------------------
Microsoft.mshtml
    어셈블리 버전: 7.0.3300.0
    Win32 버전: 7.0.3300.0
    코드베이스: file:///C:/WINDOWS/assembly/GAC/Microsoft.mshtml/7.0.3300.0__b03f5f7f11d50a3a/Microsoft.mshtml.dll
----------------------------------------
System.Windows.Forms.resources
    어셈블리 버전: 2.0.0.0
    Win32 버전: 2.0.50727.42 (RTM.050727-4200)
    코드베이스: file:///C:/WINDOWS/assembly/GAC_MSIL/System.Windows.Forms.resources/2.0.0.0_ko_b77a5c561934e089/System.Windows.Forms.resources.dll
----------------------------------------

************** JIT 디버깅 **************
JIT(Just In Time) 디버깅을 사용하려면 이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의
config 파일(machine.config)의 jitDebugging 값을
system.windows.forms 섹션에 설정해야 합니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은 디버깅할 수 있도록 컴파일되어야
합니다.

예:

<configuration>
    <system.windows.forms jitDebugging="true" />
</configuration>

JIT 디버깅을 사용하면 처리되지 않은 모든 예외는
이 대화 상자에서 처리되지 않고 컴퓨터에 등록된 JIT
디버거에 보내집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7/2007]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7-02-23 09시51분
위의 오류라면... 어셈블리 다운로드가 정상적으로 되고 TreeControl_Load에서 실행중에 오류가 났다는 것인데...

Load 메서드안에서 Debug.Break 메서드 호출 코드를 넣어두시고, 실행시에 디버깅을 한번 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어느 라인에서 오류가 나는지를!
kevin2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5623한예지 donator3/15/202211112인터프리터 원리가 궁금합니다. [4]
5622김민아3/8/202211358const와 readonly의 명확한 차이가 이게 맞나요? [2]
5621장성욱3/8/202211417c# 로그 관련 질문 [1]
5620김민아3/7/202210958안녕하세요 비관리 객체를 반환하는 메소드 호출 시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2]
5619팡팡이3/3/202212858RSA 문의드립니다. [3]
5618김기헌3/2/202210874안녕하세요 생성자 옆에 this 키워드를 붙여 생성자를 여러 개 호출 시 질문드립니다 [2]
5617Edun2/25/202211570ArgumentOutOrRangeException에러 발생 [2]파일 다운로드1
5616csha...2/24/202210963readonly struct로 선언된 구조체를 특정 클래스에서 멤버변수로 가지는 경우 [1]
5615장성욱2/22/202214424SetThreadAffinityMask를 이용한 쓰레드 지정하는 방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4]
5614민우2/22/202213672SSL 통신 문의 [6]
5613김인태2/22/202211913서버와 PC 간의 어플리케이션 성능 차이 [1]
5612팬입니다2/20/202210927Kastrel 서버 관련 [1]
5611차가워2/19/202211093stopWatch 늘어짐 문의 [3]
5610차가워2/18/202210922Stopwatch 늘어짐 문제 [1]
5609cs린이2/15/202211099c# 함수의 호출 방식에 대해 궁금합니다! [2]
5608지호2/10/202211939시작하세요 C# 8.0 중 제네릭타입의 IEnumerable [3]파일 다운로드1
5607이로운2/10/202210566안녕하세요.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
5605강성봉2/10/202211066TCP PSH flag 패킷 수신 에러 [1]
5604LW2/9/202211867VISUAL STUDIO 2019 ==> 2020 설치시 오류가 생겨서 문의드립니다. [3]
5603김진명2/9/202212931C# 10.0 출간은 언제쯤 계획하고 계신가요? [1]
5602신갑영2/8/202211419윈폼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5601김인태2/4/202211496setup project 관련 [7]
5600itkim2/3/202213367윈도우 서버 계정 패스워드 인증 문의 [5]
5599레드골드2/3/202213740c#으로 ms word 제어 가능할까요? [6]
5598jaew...2/2/202211948Dictionary는 참조형식인가요?? [1]
5597재원2/2/202212439c# 9.0에 대한 내용을 받을 수 있나요? [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