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책을 보면서 sync, async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2539
글쓴 사람
김지우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작하세요! c# 10 책을 보면서 16장의 비동기 스트림을 보고있습니다.

여기서 나오는 예제중에서 p.822에 나오는 예제를 실험해본 것입니다.


class Program
{
    static async void Main(string[] args)
    {

        await foreach (int value in GenerateSequence(10)){
            Console.WriteLine($"{value} tid : {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
        Console.WriteLine($"completed ~ : tid : {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
    public static async IAsyncEnumerable<int> GenerateSequence(int count){
        for(int i=0; i<count; i++){
                //아래 console.writeline은 제가 실험용으로 추가한 것입니다.
        Console.WriteLine($"IAsyncEnumerable ~ : tid : {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await Task.Run (() => Thread.Sleep(100));
            yield return i;
        }
    
    }
}


// #nullable restore



여기서 질문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질문 1.
await 을 했을 때 내부구조가


1 await 키워드를 기준으로 이전과 이후 코드를 분리함.
2 await 이전 코드가 실행됨.
3 완료될 Task에 대한 Awaiter 객체를 받아옴.
4 Awaiter 객체의 OnCompleted 이벤트에 await 이후 코드를 삽입함.
5 async 메소드는 반환되고 다른 작업을 이어나감.
6 await 연산자로 명시된 Task가 완료되면 Awaiter의 OnCompleted 이벤트가 발생하여 await 이후 코드가 실행됨.

// 변환 전 코드
private static async void AwaitRead()
{
    Console.WriteLine("Read Start");
    var mySubTask = await fs.ReadAsync(buf, 0, buf.Length); // 1. await 키워드를 기준으로 코드를 분리함
 
    Console.WriteLine($"ReadAsync Flag: {result}");
    string txt = Encoding.UTF8.GetString(buf);
    Console.WriteLine(txt);
}
 
// 변환 후 코드
private static async Task<int> AwaitRead()
{
    // 2. await 이전 코드를 실행.
    Console.WriteLine("Read Start");
 
    // 3. Task의 Awaiter 객체를 받아옴.
    var awaiter = fs.ReadAsync(buf, 0, buf.Length).GetAwaiter(); // await 호출
 
    // 4. OnCompleted 이벤트에 await 이후 코드를 삽입함.
    awaiter.OnCompleted(() => {
        // 6. Task가 완료되면 await 이후 코드들을 실행.
        var numOfBytes = awaiter.GetResult();
 
        Console.WriteLine($"ReadAsync Flag: {numOfBytes}");
        string txt = Encoding.UTF8.GetString(buf);
        Console.WriteLine(txt);
    });
 
    // 5. async 메소드는 종료
}












이렇게 된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나중에 실행된 task(첨부된 결과 사진에서 예를들어 i==2 이고, tid는 3일 때 Thread.sleep(100) 이 실행되는것. Task A 라고 하겠습니다.) 이 먼저 실행된 task (첨부 사진에서 예를들어 i==1 이고, tid는 18일 때 Thread.sleep(100) 이 실행되는것. Task B라고 하겠습니다.)보다 작업을 빨리 마친다고 하면(sleep(100)이 아니라 그냥 다른 작업이라고 할 때) 내부구조 순서대로라고 하면, TaskA가 먼저 끝났으니 TaskA를 부른, TaskB의 tid가 18인 스레드가 TaskA 다음의 작업(yield return i) 을 실행해야할텐데, 그럼 순서가 뒤죽박죽이어야 할텐데 왜 결과는 제대로 나오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질문 2. 그리고 먼저 실행된 TASK의 결과값을 이용해서 다음 TASK가 일을 해야 할 때는, 결국에는 동기적으로 처리하는거랑 비슷하게 흘러갈텐데 왜 async await으로 비동기처리를 하는건가요?
    
    질문 2-1. 그냥 한 스레드가 일을 하느라 “다른일”을 못하는걸 막는다기에는, 실제로 Main문에 있는
    
    - `Console.WriteLine($"completed ~ : tid : {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 를 실행하지도 않잖아요. 그럼 그냥 기다리는거아닌가요? 이게 TASK 결과를 써야하니까 기다린다고 하기에는 console.writeline(”hello”); 로 바꿔봐도 끝나고나서 실행이 되었습니다.
    
    질문 2-2. 여기서 말하는 “다른일”은 인터럽트같은것만 해당되는건가요? 만약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일을 해야하니까 그런건가요? 그럼 그렇게 치면 그 이벤트처리문에서 TASK가 반환한 결과값을 사용해야 할 때는 또 기다리는건가요?
    
    질문 2-3. “다른일”이 정확이 어떤건가요?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1/2023]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3-02-11 08시01분
일단, 질문 1에서 await foreach가 병렬 처리한다고 알고 계시는 것 같은데... 맞나요?
정성태
2023-02-13 09시31분
[글쓴이] 그러고보니 그렇네요.. 병렬처리가아니군요. 제가 왜 병렬처리로 생각하고 읽었냐면 await 했을 때 그 foreach문 자체를 담당하는 스레드가 foreach를 계속 돌지않고 반복문 돌 때마다 다른스레드가 실행하기에 그런거같습니다. 그럼 병행하지않는데 왜 반복문마다 서로다른스레드가 실행하는건가요?
[guest]
2023-02-13 09시56분
함축된 코드여서 너무 어렵게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요, 결국 저 코드는 다음과 같이 평문을 반복한 걸로 이해하시면 편합니다.

await Task.Delay(100);
Console.WriteLine($"{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await Task.Delay(100);
Console.WriteLine($"{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그럼, 스레드가 달라지는 게 당연하지 않을까요?

(혹시, 그래도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으면 계속 질문해 주세요.)
정성태
2023-02-25 12시02분
[guest] 몰라서 드리는 질문인데 Thread consumer/producer 모델 하나로 밀어붙이면 안되나요?
그래도 되는데 옛날에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를 개선해야 될 때 전임자의 코드를 이해해야 하므로
다양하게 배워야 하는게 맞는 것이지요? 자문자답이지만 그런 이유가 맞겠네요 전임자 코드나 후임자의 지식에 맞춰서...
[guest]
2023-02-25 01시07분
물론, 구현하기에 따라서 그렇게 해도 됩니다. 하지만 일단 이 글의 질문은 await foreach를 묻는 것이기 때문에 문맥상 어울리는 답변은 아닙니다.
정성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756손승휘3/24/200818747Microsoft Web Browser OCX 부분이 안전하지 않는 ACTIVEX로 IE에서 인식되어는 점 [1]
754단테3/19/200815885실행파일의 아이콘을 프로그램 적으로 변경할 수 있을까요? [1]
753신동열3/12/200816615비스타의 권한 상승 관련 질문 있습니다. [2]
751김재영3/6/200815731스레드와 비스레드간의 대기상태 순서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2]파일 다운로드1
752정성태3/7/200815331    답변글 [답변]: 스레드와 비스레드 간의 대기 상태 순서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1]
750김용현3/3/200814664스마트 클라이언트로 파일 다운로드시 파일의 크기가 0인 경우가 발생합니다. [2]
749임영한2/28/2008302142003서버에서 msxml3.dll 오류 "80070005" 문제입니다. [2]
748류재상2/27/200819284Remoting , Tcp Channel 사용시.. 외부에서 접근 보안문제... [3]
747한귀순2/20/200817665WinForm - DataGridView 소계 등 [3]
746박상영2/20/200815577리모팅 관련해서 [3]파일 다운로드1
745조승현2/20/200816273Response.Charset ANSI로 설정..하는부분이 어려워서요.. [1]
744오야2/5/200814892멤버십, 웹파트등의 생성테이블과 업무테이블간의 관계를 어떻게.. [2]
743김기룡1/29/200816722동일 이미지 판단 방법 관련 [2]파일 다운로드1
740경혜원1/28/200818136C#에서 이런게 가능 할런지요?
742정성태1/29/200816186    답변글 [답변]: C#에서 이런게 가능 할런지요? [1]
738임경훈1/25/200817026웹서비스에서 오라클DB에 연결할 때
741임경훈1/28/200816570    답변글 [답변]: 웹서비스에서 오라클DB에 연결할 때 [1]
737단테1/25/200817992안녕하세요 정성태님. C Run-time Library의 배포에 대해서 질문있습니다. [3]
736김현기1/24/200815706XML 접두어 포함한 XmlElement 작성법? [1]
735정명원1/9/200815520ActiveX 사용시 ... [2]
734제영한12/17/200715523웹서비스에서 사용자 정의 예외 사용하기 [2]
732김기룡12/3/200718574WebRequest 요청시 일본어 인코딩 관련 문의파일 다운로드1
733김기룡12/3/200714670    답변글 일어가 깨졌네요..테스트 문자 추가합니다.^^;;파일 다운로드1
739adnim1/27/200816123    답변글 [답변]: WebRequest 요청시 일본어 인코딩 관련 문의 [1]
731우기11/27/200713328[질문] clickonce 배포시 .net framework 2.0, 3.0 설치 시간 줄일 수 있는 묘수없을까요?? [1]
730김재영11/10/200714155스레드에 사용되는 함수에 값을 같이 넘기는 방법이 있습니까?? [2]파일 다운로드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