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라클 DB서버 접속관련 문의 드립니다.(Load Balancing, HA Events)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664
글쓴 사람
감사합니다.
홈페이지
첨부 파일
 

안녕하세요?
항상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라클 DB서버 접속을 하는데 다음 두가지 기능을 활용하고 싶은데 기능 동작이 되지 않아서
혹시 해당 문제에 경험이 있으시면 조언을 얻고자 문의드립니다.

현재 오라클 DB서버는 아래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접속하고 있습니다.
https://www.sysnet.pe.kr/2/0/10928


활용하고 싶은 기능은 아래 두가지입니다.
Load Balancing : (ADDRESS=(PROTOCOL=TCP)(HOST=IP1)(PORT=1521))(ADDRESS=(PROTOCOL=TCP)(HOST=IP2)(PORT=1521)) 로 설정된 여러 DB서버중에서
                 랜덤으로 접속해서 오라클 DB서버 로드를 분산하는 기능

 
HA Events : (ADDRESS=(PROTOCOL=TCP)(HOST=IP1)(PORT=1521))(ADDRESS=(PROTOCOL=TCP)(HOST=IP2)(PORT=1521)) 로 설정된 여러 DB서버중에서
접속하려는 서버에 실패했을 경우 다른 DB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기능


위의 두가지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 아래사이트에서 설명된 설정값인 Load Balancing와 HA Events를 모두 true로 해서 Connection String 옵션값에 설정하고 접속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https://docs.oracle.com/database/121/ODPNT/featConnecting.htm#ODPNT163

그런데 아무리 테스트를 해봐도 위의 두가지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것 같습니다.


Load Balancing 기능 같은 경우는 항상 첫번째에 기술된 서버에만 접속을 하고
HA Events 기능 같은 경우는 Connection Timeout 예외가 발생을 하네요.


혹시 ODP.NET(Oracle.ManagedDataAccess.dll)를 이용해서 오라클 DB서버에 접속할 때 Load Balancing과 HA Events 기능을
활용하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아시는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추가적으로 해당 DB서버에 접속할 때 ODP.NET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ODAC 오라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Oledb로 접속을 하면 Load Balancing과 HA Events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봐서
오라클 DB서버 설정 문제는 아닌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8/2023]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3-03-01 12시48분
저도 관련해서 경험이 없어 모르겠습니다. (실습 환경도 없고. ^^)

그런데, 문서를 보면,

https://docs.oracle.com/en/database/oracle/oracle-database/21/odpnt/InstallManagedConfig.html

다음과 같은 문구가 있습니다.

Though managed ODP.NET does not support TNS descriptor based load balancing, it does support failover through both an ADDRESS_LIST and DESCRIPTION_LIST.

Note that you need not specify either the LOAD_BALANCE or the FAILOVER directive, because only failover is supported. The directives are ignored.

문서에 날짜가 없어서... 현재 버전은 지원하고 있는지도 모르겠지만... 관련해서 oracle 측에 문의를 넣어보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정성태
2023-03-02 11시23분
[감사합니다.] 네 답변감사드립니다.
[guest]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5301질문합니...2/27/202015302소켓 대량 데이터 디자인 문의 [1]
5300nals...2/27/202016135vs2013에서 BinaryFormatter Serialize 후 vs2015에서 Deserialize시 예외 발생 [3]파일 다운로드1
5298질문2/26/202018143.lic 파일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9]
5297임한승2/26/202014007vs2013에서 BinaryFormatter Serialize 후 vs2015에서 Deserialize시 예외 발생 건 [1]파일 다운로드1
5295나그네2/25/202016748클라이언트 PC 정보 조회관련.. [2]
5294닷넷초보ㅠ2/25/202017162윈폼으로 socket통신프로그램 만든후 release로 디버깅한 실행파일을 다른컴퓨터에서 실행할때 반응이없어요 [1]
5293탱코2/21/202016952검색을 하고 싶은데 어떻게 검색을 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1]
5292아부리2/19/202016164XingApiNet 관련 질문 [3]
5291지현명2/15/202018070JsonConvert.Serialize 하고 Deserialize 할때 간헐적으로 한글 깨짐 현상 문의 합니다. [3]
5290베도빈2/15/202017118직접 제작한 사용자 정의 콘트롤 DLL, 실행파일에 포함시켜 배포할 수 있을까요? [1]
5288김성배2/14/202017006c# 참조추가 기능에서 DirectX 참조가 보이지 않아요.. DircetX 11 은 설치 되어 있습니다. [1]
5287C# 초...2/14/202014922프로그램 실행 질문 드립니다. [4]파일 다운로드1
5286gongs2/3/202025551윈도우 배율 및 레이아웃에 대한 질문입니다. [3]
5285강성욱1/27/202017636작업관리자에 표시되는 스레드 개수와 프로그램 내 스레드 개수 일치 [1]
5284이상준1/15/202024439출력창에 '스레드가 종료되었습니다' 문구 문의 [2]파일 다운로드1
5282봉봉이 1/13/202019019소켓 비동기 ReceiveTimeOut 구현 [9]파일 다운로드1
5281봉봉이 1/13/202017937소켓 비동기 ReceiveTimeOut 구현 [2]
5280sdd1/8/202015397데이터 저장, 배치파일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4]
5279김창한12/27/201916703dsoframer ocx [3]
5278guest12/27/201915094CLR 스레드 풀 관련 질문 [1]
5277방문자12/26/201915276WindowsForm 질문드립니다. [3]
5276진우12/17/201918550c++/c# 에도 파이썬 가상환경 같은 기능 혹시 있는지 궁금합니다. [3]
5275송재필12/17/201916812아래 'c#8.0 프로그래밍 교제 예제 관련 문의 드립니다' 의 원인이 압축 파일의 문제인듯 합니다. [2]파일 다운로드1
5272정영훈12/13/201917930byte => string => byte 변환 문의드립니다. [5]파일 다운로드1
5270김세미12/3/201916600c#8.0 프로그래밍 교제 예제 관련 문의 드립니다. [4]
5269달려라라...12/2/201917445C# winform(framework) tabcontrol 에서 button 함수 관련 질문 [3]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