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부모글 보이기/감추기

1.
당연한 현상입니다.
Standard User에서 Admin 권한으로 프로세스를 실행했다고 하셨는데요. "Admin 권한"뿐만 아니라, 그것은 "Admin 계정"으로 실행된 것입니다.
따라서 서로 간의 HKCurrentUser가 다를 수밖에 없으니 당연히 그러한 결과가 나오는 것입니다.

"a.exe" 프로세스 안에서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을 구해서, 레지스트리에 기록하는 바로 그 스레드에 대해서 가장(Impersonation)시켜 줘야 합니다.
또는, admin 권한으로 실행되는 "a.exe"에서 레지스트리 기록하는 코드를 "b.exe"로 분리한 다음, 해당 프로세스를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으로 실행시켜 주는 것도 방법이겠고요.

2.
현재 프로세스를 실행시킨 계정을 알아내시고, 그 계정이 Administrators 그룹에 속해있는지 판단하시면 됩니다.
또는, 현재 프로세스의 Integrity 레벨을 알아내셔서 "High"에 속해있는지 판단하셔도 되겠습니다.

[추가로 테스트한 것]
1. 애석하게도, HKLM에 남겼다고 해서 Standard User가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RunOnce는 그 속성상, 한 번 실행된 이후에는 그 키가 삭제되어야 하는데, "Standard User"는 해당 레지스트리키에 대해서 "쓰기(삭제) 권한"이 없기 때문에 동작되지 않습니다.

What are the dire consequences of registering a RunOnce command from my RunOnce command?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40805-00/?p=110098

2. 이 부분은 다시 확인해 보십시오. 제가 테스트한 바에 의하면 Run인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수행이 되었습니다.

---------------------------------------------------------

새롭게 바뀐 비스타의 보안 모델이 낯설은 경우에는, 위와 같은 동작 방식이 다소 "버그" 같은 느낌이 드시겠지만,,, 어쨌든 지극히 당연한 동작이니... " 호환성"을 위한 고려사항이라고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

좋은 경험을 공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6/2024]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5467hero...2/4/202116564실행 환경에 따른 Thread.Sleep 딜레이 차이 질문 [8]
5466pr1/29/202116787c# winform load시 작업표시줄에 뜨지 않는 현상을 겪으신적이 있으신가요? [4]파일 다운로드1
5465영귤1/28/202116711두 번째 await 부터는 스레드 개수만 늘어나는 것이 아닌가요 [1]
5464민우1/26/202118103C# 빌드시 코드 치환되는걸 확인하는 방법 문의 [2]
5463한예지 donator1/24/202119258Parameters.AddWithValue 와 Parameters.Add 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2]
5462C#초보1/22/202119540사용자 정의 메시지 전달이 가능한가요? [2]
5461한예지 donator1/22/202117341AsEnumerable() 메서드 질문 있습니다! [2]
5459한예지 donator1/21/202116950typeof와 GetType의 차이점 질문있습니다. [2]
5458진우1/20/202118514C# DataTable 에 SQL 쿼리문을 실행하는 방법 문의 (LINQ 사용하지 않고) [6]
5456성민1/17/2021201389.0 출간 계획이 있으신가요? [2]
5455한예지 donator1/16/202117080교재 194페이지 콜백메서드 질문 있습니다! [5]
5454한예지 donator1/15/202115841교재 208쪽 질문....있습니다... [3]
5453안녕하세요1/15/202118140C# dll 파일을 C++에서 사용 시 memory leak 문제 [2]파일 다운로드1
5452예지1/15/202117842var를 사용할 수 없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3]
5451예지1/14/202115464for문의 초기식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3]
5450예지1/13/202115774Action 델리게이트 사용법 질문있습니다! [2]
5449김성민1/13/202116810Winform UserControl 상속 vs 감싸기? [2]
5448서형주1/13/202116464안녕하세요~~ DataGridView에 데이터를 표시하는 동작방법이 궁금합니다. [2]
5447종범1/11/202117373[WPF/OpenCV] 이미지->영상 저장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5]파일 다운로드1
5446민우1/11/202116031닷넷 런타임을 dll 파일로 포함시킬수 있나요? [2]
5445정도현1/8/202114477directShow RenderFile 관련 재질문드립니다 [5]파일 다운로드1
5444정도현1/8/202115099directShow RenderFile 관련 질문드립니다 [3]
5443윤영호1/7/202115898xml 파일에서 데이터를 가지고 와서 list에 넣는 것을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1]파일 다운로드1
5442진우1/4/202114953DB연결 객체나 파일 등은 GC 에서 관리해주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2]
5441한예지 donator1/4/202116500DB 연결 방법 질문 있습니다. [1]
5440한예지 donator1/1/202116328추상클래스로와 new [4]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