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한예지 donator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Thread.Sleep(500), await Task.Delay(500), Task.Delay(500) 차이점이 궁금해서
선생님께서 작성하신 글들을 바탕으로 이해한 것을 정리했는데 잘못된 점이 있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00] 예제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Threading;
using System.Threading.Tasks;
using System.Windows.Forms;

// 윈폼에 TextBox(MultLine), Button을 하나 추가
namespace WindowsFormsApplication12
{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Stopwatch sw = new Stopwatch();
            sw.Start();
            var x = countDonw();
            var y = countDonw();
            Task.WhenAll(x, y);
            sw.Stop();
            MessageBox.Show(Math.Round(sw.Elapsed.TotalSeconds, 3) + "초");
        }

        private async Task countDonw()
        {
            for (int i = 9; i >= 0; i--)
            {
                textBox1.Text += i.ToString();
               
        // case ① ★
                Thread.Sleep(500);

        // case ② ★
        // await Task.Delay(500);

        // case ③ ★
        // Task.Delay(500);
            }
        }
    }
}
[출력]
case ①인 경우 : 버튼을 누르는 순간 UI freeze가 발생하고 대략 10초 후에 텍스트 박스에 "98765432109876543210"가 표시되고 MessageBox도 띄워집니다.
case ②인 경우 : 버튼을 누르자마자 UI freeze 없이 "바로" 텍스트 박스에는 98765432109876543210"가 표시되고 MessageBox 박스도 띄워집니다.
case ③인 경우 : 버튼을 누르자마자 UI freeze 없이 "바로" 텍스트 박스에는 "99"가 표시되고 MessageBox 박스도 띄어집니다.
             그리고 0.5초 뒤에 텍스트 박스에 "88"가 추가된다. 이런 식으로 0.5초마다 텍스트 박스에 숫자가 표시되면
             텍스트 박스에는 0.5초씩 5초 동안 "99887766554433221100"가 최종적으로 표시됩니다.


[#01] case ① 설명(★ 표시된 부분)
async 키워드를 사용했지만 별도의 스레드를 생성하는 코드가 없기 때문에 동기적으로 코드가 실행됩니다.
var x = countDonw(); 실행 후 var y = countDonw();가 실행됩니다.
따라서 98...0 → 987...0 순서로 출력이 됩니다.
참고로 Thread.Sleep을 이용해 메시지 루프 실행을 막고 있기 때문에
버튼을 눌렸을 때 TextBox에는 여전히 빈 문자열만 출력이 되고
화면은 대략 10초 정도 멈춘 후에야 "98765432109876543210"가 출력됩니다.

여기서 궁금한 점은
https://www.sysnet.pe.kr/2/0/12544?pageno=5 글에는
"Invalidate를 호출해 WM_PAINT를 전송했으므로 이것이 처리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메시지 루프가 돌아야 한다." 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WM_PAINT은 textBox1에 "98765432109876543210" 그리라는 메시지 같은데
this.textBox1.Invalidate();를 제가 호출하지 않았음에도 어떻게 WM_PAINT를 메시지 큐에 넣었는지 궁금합니다.
Form1.Designer.cs 파일에서 Invalidate를 검색했는데 보이지가 않아서 혹시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만들어줄까요?


[#02] case ② 설명(★ 표시된 부분)
[코드 블록 ㉠]
await Task.Delay(5초);
[코드 블록 ㉡]

보통은 5초 후에 스레드 풀에 스레드를 가져와서 [코드 블록 ㉡]을 실행하지만
[#00]처럼 SynchronizationContext가 제공되는 WinForm이라면
await 이후 작업([코드 블록 ㉡])은 스레드 풀에 스레드가 아닌 UI 스레드가 담당하기 때문에
invoke 메서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Task.Delay(5초)는 내부적으로 System.Timers.Timer를 사용하는데 기능적으로 아래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https://www.sysnet.pe.kr/2/0/13069 참고했습니다.)
timer.Elapsed += delegate { [코드 블록 ㉡] };
timer.Start();

이때 스레드 풀에 스레드가 아닌 UI 스레드가 담당하기 때문에 바로 위에서 보여준 코드를 아래와 같이 수정할 수 있다.
(https://www.sysnet.pe.kr/2/0/13191 참고했습니다.)

SynchronizationContext uiContext = SynchronizationContext.Current;
timer.Elapsed += delegate
{
    // 코드 블록 ㉡을 UI 스레드에서 실행
    uiContext.Post(() =>
    {
        // 코드 블록 ㉡을 여기에 작성
    }, null);
};
timer.Start();


[#03] case ③ 설명(★ 표시된 부분)
[코드 블록 ㉠]
Task.Delay(5초);
[코드 블록 ㉡]

만약 await 키워드가 없다면
타이머의 Elapsed 이벤트에 [코드 블록 ㉡]을 이벤트 핸들러로 등록시키지 않습니다.
이때는 스레드 풀에 스레드가 아닌 UI 스레드로 [코드 블록 ㉡]을 "바로" 실행시킵니다.
사실, await 키워드가 없기 때문에 사실 Task.Delay(5초)는 없어도 되는 코드입니다.


정리하면
[질문 ①]은
this.textBox1.Invalidate();를 제가 호출하지 않았음에도 어떻게 WM_PAINT를 메시지 큐에 넣었는지 궁금합니다.
Form1.Designer.cs 파일에서 Invalidate를 검색했는데 보이지가 않아서 혹시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만들어줄까요?

[질문 ②]는
[#00] 예제를 바탕으로 [#01](case ①), [#02](case ②), [#03](case ③)을 정리했는데
혹시 제가 잘못 이해한 부분이 있을까요?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3/2023]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3-09-03 09시55분
[답변1] 해당 코드에서 Invalidate는 물론 사용자가 직접 처리해도 되겠지만 "textBox1.Text += i.ToString();" 코드의 Text set 메서드에서 내부적으로 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동작하는 것입니다.

[답변2] 전반적으로 이해하신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코드 자체가 매끄럽지 않는 부분이 있는데 관련해서는 아래의 글에 별도로 정리를 했으니 참고하세요.

C# - async 메서드 호출 원칙
; https://www.sysnet.pe.kr/2/0/13405
정성태
2023-09-04 01시29분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한 주 파이팅 하시라고 커피 보냈습니다!
한예지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5185농상7/13/201914125Nullable에 대해서 [1]
5184김대훈7/4/201913872저자님의 책을 다 본후에는 [2]
51837/2/201914989.NET Compact Freamwork 컨트롤러 더블버퍼링 [1]
5182wpf ...7/2/201914669wpf 질문 드립니다. [1]파일 다운로드1
51817/1/201915631DataGridview Doublebuffer 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5180김대훈6/25/201915334배열과 반복문에서 질문드립니다 [2]
5177농상6/13/201918031멀티스레드 건의 [2]
5176이선호6/13/201916072안녕하세요. 닷넷 문제로 검색하다 알게되어 들어왔습니다. 현재 IIS 문제가 있어 질문드립니다. [1]
5175Chobo6/12/201915783WPF Ellipse 그리기! [3]
5174농상6/11/201915206ThreadPool 조인에 관해 [1]
5173전우치6/9/201916192공유 리소스에 대한 스레드 동기화 처리를 위해서 lock 이용 시 문의 [3]
5172김대훈6/7/201914913너무힘드네요 공부에 대한조언부탁드립니다 [2]
5171조남석6/4/201914110EX)11-2(treeview)에 대한 질문입니다. [3]
5170레리6/4/201915008Setup 프로젝트 레지스트리 설정 관련 질문입니다. [1]파일 다운로드1
5169농상6/3/201914695멀티스레드 파라미터 관련 [2]
5168익명유저5/30/201914007항상 정말 감사드립니다... [1]
5167WPF5/23/201914988질문드립니다. [1]
5165이대희5/22/201913677Visual Studio 설치 구성요소 문의 (C# 7.3 개정판 관련) [1]
5164레드5/21/201915930실행 과정과 실행파일 디버그 시 Icon변경 질문드립니다. [5]
5163이대희5/20/201913608시작하세요 C# 7.3 프로그래밍 책 도착했습니다. [1]
5162채홍윤5/14/201917278Mono Develop window 설치 [6]
5161정대영5/13/201914091VS 2013에서 C#6.0(.netFramwork 4.6.1) $ 디버깅 오류 [1]
5160초보개발자5/13/201915805wcf 관련 국내 서적 살만한 책이 있나요? [2]
5159sdh25/9/201914911VS 2010 버전에서 생성한 DLL을 VS 2017버전에서 실행 시 에러 [2]
5158sdh5/8/201914050Visual studio 2010 버전에서 생성한 Project를 Visual studio 2017버전에서 실행에러 [1]
5157김경훈5/8/201917300Task 만들때 넘겨주는 CancellationToken은 어디서 사용 되는 건가요? [4]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