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한예지 donator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Thread.Sleep(500), await Task.Delay(500), Task.Delay(500) 차이점이 궁금해서
선생님께서 작성하신 글들을 바탕으로 이해한 것을 정리했는데 잘못된 점이 있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00] 예제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Threading;
using System.Threading.Tasks;
using System.Windows.Forms;

// 윈폼에 TextBox(MultLine), Button을 하나 추가
namespace WindowsFormsApplication12
{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Stopwatch sw = new Stopwatch();
            sw.Start();
            var x = countDonw();
            var y = countDonw();
            Task.WhenAll(x, y);
            sw.Stop();
            MessageBox.Show(Math.Round(sw.Elapsed.TotalSeconds, 3) + "초");
        }

        private async Task countDonw()
        {
            for (int i = 9; i >= 0; i--)
            {
                textBox1.Text += i.ToString();
               
        // case ① ★
                Thread.Sleep(500);

        // case ② ★
        // await Task.Delay(500);

        // case ③ ★
        // Task.Delay(500);
            }
        }
    }
}
[출력]
case ①인 경우 : 버튼을 누르는 순간 UI freeze가 발생하고 대략 10초 후에 텍스트 박스에 "98765432109876543210"가 표시되고 MessageBox도 띄워집니다.
case ②인 경우 : 버튼을 누르자마자 UI freeze 없이 "바로" 텍스트 박스에는 98765432109876543210"가 표시되고 MessageBox 박스도 띄워집니다.
case ③인 경우 : 버튼을 누르자마자 UI freeze 없이 "바로" 텍스트 박스에는 "99"가 표시되고 MessageBox 박스도 띄어집니다.
             그리고 0.5초 뒤에 텍스트 박스에 "88"가 추가된다. 이런 식으로 0.5초마다 텍스트 박스에 숫자가 표시되면
             텍스트 박스에는 0.5초씩 5초 동안 "99887766554433221100"가 최종적으로 표시됩니다.


[#01] case ① 설명(★ 표시된 부분)
async 키워드를 사용했지만 별도의 스레드를 생성하는 코드가 없기 때문에 동기적으로 코드가 실행됩니다.
var x = countDonw(); 실행 후 var y = countDonw();가 실행됩니다.
따라서 98...0 → 987...0 순서로 출력이 됩니다.
참고로 Thread.Sleep을 이용해 메시지 루프 실행을 막고 있기 때문에
버튼을 눌렸을 때 TextBox에는 여전히 빈 문자열만 출력이 되고
화면은 대략 10초 정도 멈춘 후에야 "98765432109876543210"가 출력됩니다.

여기서 궁금한 점은
https://www.sysnet.pe.kr/2/0/12544?pageno=5 글에는
"Invalidate를 호출해 WM_PAINT를 전송했으므로 이것이 처리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메시지 루프가 돌아야 한다." 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WM_PAINT은 textBox1에 "98765432109876543210" 그리라는 메시지 같은데
this.textBox1.Invalidate();를 제가 호출하지 않았음에도 어떻게 WM_PAINT를 메시지 큐에 넣었는지 궁금합니다.
Form1.Designer.cs 파일에서 Invalidate를 검색했는데 보이지가 않아서 혹시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만들어줄까요?


[#02] case ② 설명(★ 표시된 부분)
[코드 블록 ㉠]
await Task.Delay(5초);
[코드 블록 ㉡]

보통은 5초 후에 스레드 풀에 스레드를 가져와서 [코드 블록 ㉡]을 실행하지만
[#00]처럼 SynchronizationContext가 제공되는 WinForm이라면
await 이후 작업([코드 블록 ㉡])은 스레드 풀에 스레드가 아닌 UI 스레드가 담당하기 때문에
invoke 메서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Task.Delay(5초)는 내부적으로 System.Timers.Timer를 사용하는데 기능적으로 아래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https://www.sysnet.pe.kr/2/0/13069 참고했습니다.)
timer.Elapsed += delegate { [코드 블록 ㉡] };
timer.Start();

이때 스레드 풀에 스레드가 아닌 UI 스레드가 담당하기 때문에 바로 위에서 보여준 코드를 아래와 같이 수정할 수 있다.
(https://www.sysnet.pe.kr/2/0/13191 참고했습니다.)

SynchronizationContext uiContext = SynchronizationContext.Current;
timer.Elapsed += delegate
{
    // 코드 블록 ㉡을 UI 스레드에서 실행
    uiContext.Post(() =>
    {
        // 코드 블록 ㉡을 여기에 작성
    }, null);
};
timer.Start();


[#03] case ③ 설명(★ 표시된 부분)
[코드 블록 ㉠]
Task.Delay(5초);
[코드 블록 ㉡]

만약 await 키워드가 없다면
타이머의 Elapsed 이벤트에 [코드 블록 ㉡]을 이벤트 핸들러로 등록시키지 않습니다.
이때는 스레드 풀에 스레드가 아닌 UI 스레드로 [코드 블록 ㉡]을 "바로" 실행시킵니다.
사실, await 키워드가 없기 때문에 사실 Task.Delay(5초)는 없어도 되는 코드입니다.


정리하면
[질문 ①]은
this.textBox1.Invalidate();를 제가 호출하지 않았음에도 어떻게 WM_PAINT를 메시지 큐에 넣었는지 궁금합니다.
Form1.Designer.cs 파일에서 Invalidate를 검색했는데 보이지가 않아서 혹시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만들어줄까요?

[질문 ②]는
[#00] 예제를 바탕으로 [#01](case ①), [#02](case ②), [#03](case ③)을 정리했는데
혹시 제가 잘못 이해한 부분이 있을까요?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3/2023]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3-09-03 09시55분
[답변1] 해당 코드에서 Invalidate는 물론 사용자가 직접 처리해도 되겠지만 "textBox1.Text += i.ToString();" 코드의 Text set 메서드에서 내부적으로 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동작하는 것입니다.

[답변2] 전반적으로 이해하신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코드 자체가 매끄럽지 않는 부분이 있는데 관련해서는 아래의 글에 별도로 정리를 했으니 참고하세요.

C# - async 메서드 호출 원칙
; https://www.sysnet.pe.kr/2/0/13405
정성태
2023-09-04 01시29분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한 주 파이팅 하시라고 커피 보냈습니다!
한예지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937Ques...1/3/201812183C# CPU 사용량 한계치 늘리는 방법 [2]
4936무개1/3/20189354책 내용 인용하는 것에 관한 질문이있습니다. [1]파일 다운로드1
4935몬난아12/28/201712078IIS 및 ASP.NET 이 서버에서의 동작방식? [2]
4934Ques...12/26/201722564C# 해상도에 따른 자동 사이즈 조절방법이 궁금합니다. [3]
4933Kay12/15/20179755C# VS 버전 에러 질문 드립니다. [1]파일 다운로드1
4932정환나라12/13/20179702vs2013에서 빌드한 com 컨트롤 객체를 닷넷 2.0에서 사용하려 합니다 [4]
4931Arvid12/12/201710786Visual Studio 2012 c# using문 참조 에러 [5]파일 다운로드1
4929김성대12/8/20179145app.config에 관한질문입니다. [1]
4928김성대12/7/20179794SQL Server 설치에러에 대한 질문입니다. [1]파일 다운로드1
4926heyh...12/6/20179032[삭제] ContextSwitchDeadlock????
4925ho12/5/20179550[삭제] WebBrowser로 드롭박스 로그인 페이지 탐색 시 발생한 문제에 대해 질문 올립니다.파일 다운로드2
4924몽중언12/3/201710010C# 디버깅 모드에서만 DB Insert가 되는 현상 질의 [6]
4923고요한11/23/201710133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2]
4922박성훈11/23/201711138시작하세요! C# 7.1 학습 방법 [3]
4921초보개발자11/20/20178336[삭제] 폼 사이즈 질문드립니다.
4920Ques...11/19/20179422IEnumerable 의 "지연된 평가" 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2]파일 다운로드1
4919mskim11/16/20179741Split()을 이용하여 문자 구분 시 구분문자도 같이 저장하는 방법이 있나요? [2]
4917ho11/16/201710363WPF XAML 트리거 관련해 문의 드립니다. [3]
4918ho11/16/201710658    답변글 [답변]: 예제 프로젝트 첨부합니다. [4]파일 다운로드2
4916필승11/11/201710362기본 웹 브라우저 체크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2]
4915필승11/10/20179424WebBrowser 컨트롤 소리 출력 문의 드립니다. [2]
4914Ques...11/10/201710104c# 버튼 이벤트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2]
4913Arvid11/8/201712557Log4Net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특정 기간이 지났을 때 자동 로그 삭제 기능 구현 질문 드립니다! [2]
4912조범희11/8/201712247C# FTP 다운로드중 에러 발생.. [2]파일 다운로드1
4911필승11/6/201710624WebBrowser 컨트롤 사용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2]
4910진우11/6/201710192람다 초보 질문 드립니다. [2]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