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한예지 donator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Thread.Sleep(500), await Task.Delay(500), Task.Delay(500) 차이점이 궁금해서
선생님께서 작성하신 글들을 바탕으로 이해한 것을 정리했는데 잘못된 점이 있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00] 예제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Threading;
using System.Threading.Tasks;
using System.Windows.Forms;

// 윈폼에 TextBox(MultLine), Button을 하나 추가
namespace WindowsFormsApplication12
{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Stopwatch sw = new Stopwatch();
            sw.Start();
            var x = countDonw();
            var y = countDonw();
            Task.WhenAll(x, y);
            sw.Stop();
            MessageBox.Show(Math.Round(sw.Elapsed.TotalSeconds, 3) + "초");
        }

        private async Task countDonw()
        {
            for (int i = 9; i >= 0; i--)
            {
                textBox1.Text += i.ToString();
               
        // case ① ★
                Thread.Sleep(500);

        // case ② ★
        // await Task.Delay(500);

        // case ③ ★
        // Task.Delay(500);
            }
        }
    }
}
[출력]
case ①인 경우 : 버튼을 누르는 순간 UI freeze가 발생하고 대략 10초 후에 텍스트 박스에 "98765432109876543210"가 표시되고 MessageBox도 띄워집니다.
case ②인 경우 : 버튼을 누르자마자 UI freeze 없이 "바로" 텍스트 박스에는 98765432109876543210"가 표시되고 MessageBox 박스도 띄워집니다.
case ③인 경우 : 버튼을 누르자마자 UI freeze 없이 "바로" 텍스트 박스에는 "99"가 표시되고 MessageBox 박스도 띄어집니다.
             그리고 0.5초 뒤에 텍스트 박스에 "88"가 추가된다. 이런 식으로 0.5초마다 텍스트 박스에 숫자가 표시되면
             텍스트 박스에는 0.5초씩 5초 동안 "99887766554433221100"가 최종적으로 표시됩니다.


[#01] case ① 설명(★ 표시된 부분)
async 키워드를 사용했지만 별도의 스레드를 생성하는 코드가 없기 때문에 동기적으로 코드가 실행됩니다.
var x = countDonw(); 실행 후 var y = countDonw();가 실행됩니다.
따라서 98...0 → 987...0 순서로 출력이 됩니다.
참고로 Thread.Sleep을 이용해 메시지 루프 실행을 막고 있기 때문에
버튼을 눌렸을 때 TextBox에는 여전히 빈 문자열만 출력이 되고
화면은 대략 10초 정도 멈춘 후에야 "98765432109876543210"가 출력됩니다.

여기서 궁금한 점은
https://www.sysnet.pe.kr/2/0/12544?pageno=5 글에는
"Invalidate를 호출해 WM_PAINT를 전송했으므로 이것이 처리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메시지 루프가 돌아야 한다." 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WM_PAINT은 textBox1에 "98765432109876543210" 그리라는 메시지 같은데
this.textBox1.Invalidate();를 제가 호출하지 않았음에도 어떻게 WM_PAINT를 메시지 큐에 넣었는지 궁금합니다.
Form1.Designer.cs 파일에서 Invalidate를 검색했는데 보이지가 않아서 혹시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만들어줄까요?


[#02] case ② 설명(★ 표시된 부분)
[코드 블록 ㉠]
await Task.Delay(5초);
[코드 블록 ㉡]

보통은 5초 후에 스레드 풀에 스레드를 가져와서 [코드 블록 ㉡]을 실행하지만
[#00]처럼 SynchronizationContext가 제공되는 WinForm이라면
await 이후 작업([코드 블록 ㉡])은 스레드 풀에 스레드가 아닌 UI 스레드가 담당하기 때문에
invoke 메서드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Task.Delay(5초)는 내부적으로 System.Timers.Timer를 사용하는데 기능적으로 아래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https://www.sysnet.pe.kr/2/0/13069 참고했습니다.)
timer.Elapsed += delegate { [코드 블록 ㉡] };
timer.Start();

이때 스레드 풀에 스레드가 아닌 UI 스레드가 담당하기 때문에 바로 위에서 보여준 코드를 아래와 같이 수정할 수 있다.
(https://www.sysnet.pe.kr/2/0/13191 참고했습니다.)

SynchronizationContext uiContext = SynchronizationContext.Current;
timer.Elapsed += delegate
{
    // 코드 블록 ㉡을 UI 스레드에서 실행
    uiContext.Post(() =>
    {
        // 코드 블록 ㉡을 여기에 작성
    }, null);
};
timer.Start();


[#03] case ③ 설명(★ 표시된 부분)
[코드 블록 ㉠]
Task.Delay(5초);
[코드 블록 ㉡]

만약 await 키워드가 없다면
타이머의 Elapsed 이벤트에 [코드 블록 ㉡]을 이벤트 핸들러로 등록시키지 않습니다.
이때는 스레드 풀에 스레드가 아닌 UI 스레드로 [코드 블록 ㉡]을 "바로" 실행시킵니다.
사실, await 키워드가 없기 때문에 사실 Task.Delay(5초)는 없어도 되는 코드입니다.


정리하면
[질문 ①]은
this.textBox1.Invalidate();를 제가 호출하지 않았음에도 어떻게 WM_PAINT를 메시지 큐에 넣었는지 궁금합니다.
Form1.Designer.cs 파일에서 Invalidate를 검색했는데 보이지가 않아서 혹시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만들어줄까요?

[질문 ②]는
[#00] 예제를 바탕으로 [#01](case ①), [#02](case ②), [#03](case ③)을 정리했는데
혹시 제가 잘못 이해한 부분이 있을까요?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3/2023]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3-09-03 09시55분
[답변1] 해당 코드에서 Invalidate는 물론 사용자가 직접 처리해도 되겠지만 "textBox1.Text += i.ToString();" 코드의 Text set 메서드에서 내부적으로 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동작하는 것입니다.

[답변2] 전반적으로 이해하신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코드 자체가 매끄럽지 않는 부분이 있는데 관련해서는 아래의 글에 별도로 정리를 했으니 참고하세요.

C# - async 메서드 호출 원칙
; https://www.sysnet.pe.kr/2/0/13405
정성태
2023-09-04 01시29분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한 주 파이팅 하시라고 커피 보냈습니다!
한예지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4659/23/200611886vb.net에서 c에서 보내는 Post메쎄지를 잡아서 처리할수 없을가요? [1]
464정윤수9/22/200613726asp.net 에서 DataSet 을 RecordSet 으로 변환 [2]
463sagi...9/22/200612732IE 제어 (BHO) 중 데이터 형에 질문 드립니다. [1]
462[손님]9/21/200614045ASP.NET 에서 COM+ 호출시 프로그램 구조를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조언 부탁합니다. [2]파일 다운로드1
461정태운9/19/200613996Vista RC1에서 XPS Document를 Image로 변환하는 코드의 특정 API 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2]
459이방은9/14/200613042축하합니다.. [1]
458이승용9/7/200614410스마트 클라이언트 관련 질문입니다. [4]
456guest9/7/200613974데이타셋 암호화 방법...이 있을까요? [2]
451임은주8/31/200613738mms 스트림을 로컬 파일로 저장해주는 프로그램 에 대해서 여쭤볼께요 [1]
448guest8/28/200614174서버인증서및클라이언트인증서 발급
449정성태8/28/200613803    답변글 [답변]: 서버인증서및클라이언트인증서 발급
450ligh...8/29/200614043        답변글 [답변]: [답변]: 서버인증서및클라이언트인증서 발급 [3]
468light9/28/200614135            답변글 [답변]: [답변]: [답변]: 서버인증서및클라이언트인증서 발급
472정성태10/5/200614543    답변글 [답변]: 서버 인증서 및 클라이언트 인증서 발급
475ligh...10/11/200613484        답변글 [답변]: [답변]: 서버인증서및클라이언트인증서 발급
446윤경재8/20/200618847COM+ 프로젝트 디버깅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442이남호8/7/200614055스마트클라이언트에 Farpoint Winform을 이용했는데 배포가 안되요.
443이남호8/7/200615973    답변글 [답변]: 스마트클라이언트에 Farpoint Winform을 이용했는데 배포가 안되요.
441강혜영8/5/200614879SHDocVw를 이용한 익스플로어 제어
444정성태8/7/200613016    답변글 [답변]: SHDocVw를 이용한 익스플로어 제어
445강혜영8/8/200613705        답변글 [답변]: [질문]: SHDocVw를 이용한 익스플로어 제어 [1]
437혀기7/25/200612401DirectoryEntry의 Childrend에 Add할때 엑세스가 거부됩니다~ㅜㅜ [2]파일 다운로드1
436조성택7/24/200612203IE를 가로채서 그리고 싶을때.. [1]
439태기7/25/200612878    답변글 [답변]: IE를 가로채서 그리고 싶을때..(재질문) [1]파일 다운로드1
435이영균7/21/200613630작그마한 스마트클라이언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1]파일 다운로드1
431혁이7/19/200612254UpdatePanel(Atlas)위의 SmartClient가 이벤트후 사라집니다. ㅜㅜ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