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TCP 구현시 Socket 에서 Send 함수의 부분 전송 처리에 관한 질문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48
글쓴 사람
정해성 (jghaes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pfApp2.zip]    

TCP 구현시 Socket 에서 Send 함수 사용시에 부분 전송 처리를 해야한다는 글을 보았습니다.

1. 먼저 winsock에서 Send함수의 반환 값에 설명을 보면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send는 전송 된 총 바이트 수를 반환하며, 이는 len 매개 변수에서 전송하도록 요청된 수보다 작을 수 있습니다." 되어 있습니다.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win32/api/winsock2/nf-winsock2-send)

2. 다음은 닷넷Framework 4.8.1에서 Socket에 대한 예제가 아래와 같이 작성이 되어있습니다
// Send the request.
// For the tiny amount of data in this example, the first call to Send() will likely deliver the buffer completely,
// however this is not guaranteed to happen for larger real-life buffers.
// The best practice is to iterate until all the data is sent.
int bytesSent = 0;
while (bytesSent < requestBytes.Length)
{
    bytesSent += socket.Send(requestBytes, bytesSent, requestBytes.Length - bytesSent, SocketFlags.None);
}
--(https://learn.microsoft.com/ko-kr/dotnet/api/system.net.sockets.socket?view=netframework-4.8.1)

3. 마지막으로 닷넷Framework 4.8.1에서 Socket의 Send 함수의 설명에는 아래와 같이 작성이 되어있습니다.
연결 지향 프로토콜 Send 을 사용하는 경우 를 사용하여 Socket.SendTimeout시간 초과를 설정하지 않는 한 버퍼의 모든 바이트가 전송될 때까지 가 차단됩니다. 제한 시간 값을 초과하면 호출에서 Send 을 throw합니다 SocketException. 비 차단 모드 Send 에서 는 버퍼의 바이트 수보다 적게 보내는 경우에도 성공적으로 완료될 수 있습니다.
--(https://learn.microsoft.com/ko-kr/dotnet/api/system.net.sockets.socket.send?view=netframework-4.8.1)

각각의 글을 정리하면
1. winsock에서 Send함수는 반환 값이 입력 버퍼의 길이 보다 작은 값을 리턴 할 수 있다.
2. 닷넷Framework Socket Send함수는 반환 값이 입력 버퍼의 길이 보다 작은 값을 리턴 할 수 있으니 부분 전송 처리를 해라는 주석
3. 닷넷Framework Socket Send함수는 blocking모드에서는 입력 버퍼를 모두 전송될 때까지 block되며, nonblocking모드에서는 작은 값을 리턴 할 수 있다.


#####
저는 닷넷Framework 4.8.1, C#으로 TCP통신을 하면서 단 한번도 일부분만 전송되는 현상을 본 적이 없습니다.
부분 전송이 일어나지 않은 원인이 3번에서 말하는 것처럼 blocking모드여서 그런것이라 생각되어
아래와 같이 간단한 예제를 작성했는데도 재현에는 실패했습니다.
송신측은 nonblocking모드, SendBuffersize=8192, 10mb 데이터를 while문으로 딜레이 없이 전송, 수신측은 Thread.Sleep(1000)지연
--(예제도 올려놨습니다)

일단은 제 질문은 이렇습니다.
1. blocking모드에서 Send 함수의 반환 값이 입력 버퍼 길이보다 작은 값을 리턴 할 수 있는지
2. nonblocking모드에서 Send 함수의 반환 값이 입력 버퍼 길이보다 작은 값을 리턴 할 수 있는지
3. 비동기 Send 함수 즉 BenginSend, SendAsync 함수에서도 부분전송이 일어날 수 있는지
4. 닷넷, 닷넷Framework, winsock, 리눅스 Socket에서 차이가 있는지
   => 이부분은 최소한 닷넷, 닷넷Framework, winsock은 같아야 된다고 생각하는데 다르다면 이유도 알 수 있을까요?
5. 만약 부분전송이 일어난다면 어떻게 하면 재현할 수 있는지

참고로 저는 blocking모드에서 Send 함수, 비동기 Send 함수(BenginSend, SendAsync), 의 경우 부분전송이 일어나지 않을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nonblocking모드에서 Send 함수만 부분전송이 일어날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단지 재현이 잘 안될뿐
이렇게 생각한 이유는 C#에서 제공해주는 TcpClient 때문인데 TcpClient에서 전송의 경우 NetworkStream의 Write함수와 WriteAsync함수를 사용하는데
해당 함수를 디컴파일해서 확인한 결과 Socket Send와 BenginSend를 사용하고 있고, 부분전송을 대비한 코드가 전혀 작성되어있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또한 Write함수와 WriteAsync함수는 반환 값이 없는데, 만약 부분전송이 일어난다면 유저 입장에서 부분전송을 대비한 코드를 작성할수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
NetworkStream은 Position과 Length또한 NotSupportedException 으로 지원되지도 않고요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5/2025]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5-08-26 01시25분
1. 문서에도 나오지만 blocking 모드에서는 그런 경우가 없습니다. 예외/오류가 없으면 언제나 같은 값입니다. 관련해서 저도 예전에 쓴 글의 예제 코드에서,

System.Net.Sockets.Socket이 Thread-safe할까?
; https://www.sysnet.pe.kr/2/0/1469#client

"MustSendBuffer"라는 메서드 내부에 "blocking call인 경우 sentLength == mustSend이지만!"라는 주석을 달았군요. ^^

2. 역시 문서상으로는 분명히 작은 값을 리턴할 수 있다고 하니, 그에 따르는 것이 좋겠습니다.

3. (BeginSend는 오래된 인터페이스라 생략하겠습니다.) SendAsync의 경우 Win32 API로는 Overlapped 형식의 WSASend 함수를 이용해 구현합니다. Send 함수와는 달리 문서엔 반환값을 고려한 재전송에 대한 언급이 없는데요, 일단 이론상 따진다면 이것은 부분 전송이 발생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Overlapped I/O의 경우 Send가 완료되었을 때의 completed event가 꼭 호출 순서대로 발생한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즉 아래와 같이 호출했다면,

WSASend(..overlapped-send-buffer, "HELLO");
WSASend(..overlapped-send-buffer, "WORLD");

보낸 데이터를 알 수 있는 완료 이벤트의 순서는 "WORLD"를 보낸 이벤트가 먼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만약 그 시점에 sentBytes가 적게 보내졌다고 해서 다시 WSASend를 호출하게 되면 TCP packet의 순서가 달라지므로 stream 전송 방식에 위반한 동작이 됩니다.

참고로, 완료에 대한 알림을 받는 순서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지, 전송 자체는 반드시 호출 순서로 됩니다.

4. 닷넷 프레임워크와 winsock은 같을 것입니다. 단지 리눅스는 제가 장담할 수가 없습니다. 아직 그 부분으로는 제가 한참 지식이 부족합니다. 단지 제 경험으로는, 네트워크 관련해서는 API 수준에서 세세한 표준이 있지는 않았다는 점입니다.

5. 정리해 보면, 결국 non-blocking 모드에서의 부분 전송 가능성이 문제가 되는 것인데요, 이 부분은 정해성 님이 마침 흥미를 가지고 계시니 이리저리 테스트를 해보시면 더 빨리 답을 얻지 않을까 싶습니다. ^^ 개인적으로 non-blocking 소켓을 잘 쓰고 있지도 않고, 설령 쓰더라도 용기가 없어 문서에서 나온 대로 어차피 코딩을 할 것이므로... 현재는 모르겠고 나중에 심심해지면 그때나 돼야 한 번 해보게 될 것 같습니다.

그나저나, 쉽게 문제가 재현이 되면 좋겠지만 재현이 안 된다고 해도 100% 부분 전송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장담할 수 없다는 것 또한 문제입니다. ^^
정성태
2025-08-26 08시20분
답변 감사합니다. 며칠 동안 검색도 해보고 GPT 에게도 물어봤는데 만족스럽지 못했는데 속이 뻥 뚫리네요. GPT의 경우 워낙 오락가락하게 대답을 하고, 제가 2번에 올린 MS의 예제에서도 조금 내려가면 비동기 함수로도 똑같이 예제를 작성했더라구요. 부분전송해야한다는 주석과 함께.... 이건 예제가 잘못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아무튼 non-blocking 모드는 저도 사용할 마음은 없지만 직접 눈으로 보지 않으면, 답답할 거 같아서 그 부분은 이리저리 테스트를 더 해봐야 될 것 같습니다. 덕분에 좀 더 확신을 가지고 테스트 할 수 있을 거 같네요.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정해성
2025-08-26 10시41분
저도 소켓은 꽤나 테스트를 하면서 진행을 하곤 합니다. 경험으로 보면, 이게 OS가 업데이트되면 네트워크 스택의 처리도 달라지는 듯해서 문서에 나온 내용이 과거 OS를 기준으로 적용된 것이 아닐까... 하는 짐작만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기억에 남는 부분이 Nagle 테스트였는데요,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PSH flag와 Nagle 알고리듬
; https://www.sysnet.pe.kr/2/0/12531

기존에 알려져 있던 상식과는 달리 제가 테스트했던 2021년 당시의 환경에서는 Socket.NoDelay 옵션에 상관없이 버퍼링 과정을 거치지 않고 즉시 서버로 전송하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어쩌면 제 컴퓨터의 NIC 카드에 대한 Device Driver가 그렇게 하는 것일 수도 있고, 아니면 운영체제의 네트워크 커널 단에서 그럴 수도 있는데... 암튼 결과상으로 보면 Nagle 설정 유무가 아무런 의미가 없었습니다.

-------------------

그렇긴 한데, 만약 Nagle 설정을 꺼야 한다면 여전히 저는 NoDelay 옵션을 조정할 것 같습니다. ^^; 어쨌든 코드는 보수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좋을 듯하고 그 약간의 코드가 딱히 전체적인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므로... 뭐랄까... 안정성을 높인다는 좋은 구실도 되니까요. ^^;
정성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796정성태3/20/200919416스마트클라이언트와 ActiveX에 관한 질문 [1]
795김기용3/19/200918707[질문] DHTML 다이얼로그 관련 [2]
794박평옥3/18/200918499Vista에서 URL Shortcut 실행 시 SetSite가 두 번 호출되는 증상에 관해 조언 부탁드립니다. [2]
792김기용3/12/200918004어제 세미나 잘 들었습니다. 질문사항이 있습니다.(ie8 마이그레이션 관련) [4]
791vb표성백2/17/200923700ATL 로 만든 COM 에 문자열 전달하기! C#에서 어떻게 하나요? [1]
790고민중2/16/200916195vista에 vs2005를 사용중입니다. [1]
789지언2/14/200918202MFC & C#(COM) 호환 관련하여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2]
788하루야채2/3/200916880스마트클라이언트 Windowless 설정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2]
787궁금이2/2/200917469TFS 관련하여 질문드리고자 합니다. [2]
786맨날맑음1/30/200919060WPF를 SmartClient로 배포할순 없을까요? [2]
785정성우12/16/200817511Vista 환경에서 VB6로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이 IE 통해서는 런칭이 안됩니다.. [4]
783서광원11/20/200818503.NET 어셈블리를 COM에서 사용하도록 변경 했을때 배포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3]
782김용환10/14/200819004웹서비스에서 캐시를 사용하고 싶습니다. [3]
781이수정9/5/200816903visual studio 2008 관련 질문입니다. [2]
776신현창8/5/200817271VS2005로 실행시 갑자기 COM+ 등록이 안됩니다. [1]
775땡초7/21/200817811조언을 구하고저 합니다. [2]
774남호진7/19/200818727Visual Studio 2005나 2008에서 서버탐색기에연결된 데이터에서 정보를 끌어... [2]
773지워니7/17/200820549웹서비스로 db2의 데이터가 오질 않아요. [1]
984이영구7/16/201120241    답변글 [답변]: 웹서비스로 db2의 데이터가 오질 않아요.
772다자래7/15/200817989스레드와 이벤트를 이용해서 mssql 서버의 저장프로시져의 레코드 진행률을 표현하는 프로그래스바를 구현하려고하는데....막막 [1]
771guest6/26/200817628[WCF] Self host 만드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770조조5/27/200817488스마트클라이언트에서 stand-alone 형태를 임베디드형태로 변환시 문제.. [1]
769제영한5/20/200817822배포프로젝트에 대한 조언을 구합니다. [2]
767김형중5/6/200818485RMclock 관련 문의 입니다. [1]
766정성태4/28/200819506[데브피아 Q&A 모음] 2008-04-21 ~ 2008-04-24
764정성태4/21/200820217[데브피아 Q&A 모음] 2008-04-14 ~ 2008-04-18 [2]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