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File Write 도중 정전 발생 시 대처 방법 있나요?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8154
글쓴 사람
윤용한 (yonghany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메모리에 데이터를 올리고 클라이언트들이 read/write를 하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클라이언트가 값을 변경하면 동시에 파일에도 write를 합니다.

평상 시에는 이상없지만, 정전으로 인해 서버가 꺼졌을 때 문제가 발생합니다.
서버를 다시 켜고 파일을 열어보면, 데이터 크기 만큼 0x00가 채워진 상태입니다.

현장에서 UPS를 사용할 법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네요.
또 의외로 정전사고 (황당한 경우 포함)가 자주 발생하는 상황이구요.

현재 까지는 이 문제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백업 파일을 저장하도록 하여
문제 발생 시 관리자가 직접 백업파일을 복원하는 방식으로 처리했었는데
이게 관리하는 파일이 많아지다 보니 현장에서 어려움을 호소하는 군요...

*** win service 프로그램이 power failure 를 감지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XmlDocument.Save() 에서 document가 정상 인지 확인 할 방법은 있나요?
*** XmlDocument.Save는 성공하는데 파일크기 만큼 0x00로 채워지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 해야 할까요?

우선은 최초로 메모리에 로드 할때 파일내용이 0x00로 채어져 있는지 검사하도록 하고,
파일에 이상이 있을 경우 백업파일을 차례로 검사하여 멀쩡한 파일을 복구하는 방식으로
하려고 합니다.

*** 좋은 방법 있으면 조언 부탁합니다.

감사합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9/2011]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11-09 02시08분
사실, 그런 경우 때문에 consistency 를 보장해주는 RDBMS를 사용하는 것인데요. 수작업으로 구성하려면 매우 까다로울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우선, Windows NT Service 단에서 Power Failure 를 감지하기에는 너무 늦습니다. 감지한다해도 이후에 실행되는 코드 중에서 어떤 코드까지 실행가능할지 보장할 수 없습니다. (DDK 수준의 장치들에는 Power 감지 이벤트가 있긴 하던데... 이 문제에 적용할 수는 없습니다.)

Save 에서 document 가 정상인지에 대해서는, 이미 XmlDocument 자체가 구성되었던 것 자체가 정상적인 문서이기 때문에 그 부분은 별 문제는 없어보입니다. 단지, 그 이후 실제 Save 작업시에 전원이 꺼져서 문제가 되는 것 같은데요. 차라리 이런 경우에는 Save 를 별도의 파일로 저장을 한 후 성공했으면 원래의 파일로 이름을 변경하는 식으로 처리하는 것이 어떨까 싶은데요.

그 과정을 하나의 '논리적인 트랜잭션'으로 처리를 하는 것입니다. 클라이언트에서 'write'를 했을 때, 서버는 메모리 데이터를 변경하고 XmlDocument.Save 한 후 다시 rename 하는 단계까지 완료되어야 클라이언트 측에 'OK'를 보내는 것입니다.

그 외에, Vista(및 2008) 이후의 파일 트랜잭션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Enhance Your Apps With File System Transactions
; http://msdn.microsoft.com/en-us/magazine/cc163388.aspx
정성태
2011-11-09 02시28분
[윤용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TxF란 것도 알게되었네요. 하지만 OS버전이 낮아서 ...
좀 더 방법을 연구해 봐야겠네요.

[gues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5658한예지 donator5/9/202214222교재 689, 690쪽(async/await) 질문입니다. [5]
5657C#초보5/8/202212686초보 단순 질문 입니다.,ㅠ [1]
5656부탁드립...5/6/20221490232bit dll 을 64bit dll 화 [2]
5655감사합니...5/5/202214750UI 스레드 관련 질문드립니다. [4]파일 다운로드1
5653고석주5/3/202212888첨부된 이미지처럼 dll 을 어떻게 추가해야 하는지 문의드립니다. [1]파일 다운로드1
5652감사합니...5/2/202211760프로그램 종료되면 리소스(관리, 비관리)는 알아서 해제 되나요? [2]
5651윤식4/26/202212812상속 구조 관련 질문드립니다. [8]
5650김기헌4/19/202212519WPF 리소스 관련 질문드립니다 [3]
5649주니어4/15/202211437ffmpeg 질문 있습니다! [2]
5648주니어개...4/13/202212096컴파일된 코드를 원시코드로 바꾸려면 어떻게해야하나요? [1]파일 다운로드1
5647장성욱4/7/202211915코어지정 CPU사용률 관련 질문 [1]
5646서형주4/6/202212253List에 여러개의 class 객체를 만들어 넣을때, 객체의 method들도 같이 생성되어 메모리를 차지하나요? [1]
5645김인태4/6/202211568윈도우즈 서버의 AD 계정 생성 조건이 있을까요? [1]
5644ㅇㅇ4/6/202212568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리눅스상에 파일 생성이 가능한가요? [1]
5643유필재4/5/202212948TCP클라이언트 연결 및 통신관련하여 문의드려요 [1]
5642차가워4/4/202212857UdpClient 패킷 수신 문의 [4]
5641장성욱4/4/202212652코어 할당 및 cpu 부하테스트 질문 [7]
5640icoo...4/4/202213348웹가든에서 메모리 동적 업데이트 방법 [1]
5639차가워4/4/202213974c++ 서버 c# 클라이언트 호환 문의 [1]
5638초급4/3/202214056c# sql server 연동 [1]
5637따봉이4/1/202215468Winform Form Load 후 자동 캡쳐관련 [1]파일 다운로드1
5636김철순3/31/202214362WPF에서 Richtext의 View 문의 [5]
5635guest3/30/202213049안정적인 pinning이 가능하네요. [3]파일 다운로드1
5633꿀주세요3/30/202213001선생님 마우스 클릭이벤트 질문이 있습니다. [4]
5632김현수3/30/202213759Remote Desktop으로 접속시 WPF UI 가 다시 그려지는 이벤트를 막을 수 없을까요? [3]
5631김기헌3/24/202213166WPF 컨트롤의 그래픽 처리관련 질문드립니다 [2]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