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시리즈 글이 10개 있습니다.) VS.NET IDE: 60. Output 경로에 매크로 상수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688 개발 환경 구성: 91.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플랫폼(x86/x64)별 빌드 ; https://www.sysnet.pe.kr/2/0/963 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 ; https://www.sysnet.pe.kr/2/0/965 개발 환경 구성: 102. MSBuild - DefineConstants에 다중 전처리 값 설정 ; https://www.sysnet.pe.kr/2/0/988 개발 환경 구성: 115. MSBuild - x86/x64, .NET 2/4, debug/release 빌드에 대한 배치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017 개발 환경 구성: 372. MSBuild - 빌드 전/후, 배포 전/후 실행하고 싶은 Task 정의 ; https://www.sysnet.pe.kr/2/0/11507 개발 환경 구성: 452. msbuild - csproj에 환경 변수 조건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1985 개발 환경 구성: 580. msbuild의 Exec Task에 robocopy를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16 개발 환경 구성: 693. msbuild - .NET Core/5+ 프로젝트에서 resgen을 이용한 리소스 파일 생성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1 닷넷: 2235. MSBuild - AccelerateBuildsInVisualStudio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3593 msbuild - csproj에 환경 변수 조건 사용 간혹 특정 작업을 환경 변수의 값을 이용해 제어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사실 특별한 것은 없고, 환경 변수 역시 여타 다른 일반 변수처럼 사용하면 되는데요, 예를 들어 다음의 csproj 파일은 TEST_ENV라는 환경 변수가 정의된 경우에만 빌드 이벤트를 실행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coreapp3.0</TargetFramework> </PropertyGroup> <Target Name="PreBuild" BeforeTargets="PreBuildEvent" Condition="'$(TEST_ENV)' != ''"> <Exec Command="robocopy . \\test_machine\c$" /> </Target> </Project> 간단하죠?!!!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오류 유형: 557. 드라이브 문자를 할당하지 않은 파티션을 탐색기에서 드라이브 문자와 함께 보여주는 문제[이전 글] 개발 환경 구성: 451. Microsoft Edge (Chromium)을 대상으로 한 Selenium WebDriver 사용법 [최초 등록일: 7/17/2019] [최종 수정일: 7/18/2019]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3-03-28 09시43분 Using the contents of a file to define an MSBuild property;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30327-00/?p=107974 <PropertyGroup> <Magic>$([System.IO.File]::ReadAllText('.\magic.txt').TrimEnd())</Magic> </PropertyGroup> <ItemDefinitionGroup> <ClCompile> <PreprocessorDefinitions>MAGIC="$(Magic)";%(PreprocessorDefinitions)</PreprocessorDefinitions> </ClCompile> </ItemDefinitionGroup>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38정성태6/8/202410704오류 유형: 905. C# MAUI - 추가한 layout XML 파일이 Resource.Layout 멤버로 나오지 않는 문제13637정성태6/6/20249708Phone: 20. C# MAUI - 유튜브 동영상을 MediaElement로 재생하는 방법13636정성태5/30/20249288닷넷: 2264. C# - 형식 인자로 인터페이스를 갖는 제네릭 타입으로의 형변환113635정성태5/29/202411171Phone: 19. C# MAUI - 안드로이드 "Share" 대상으로 등록하는 방법13634정성태5/24/202411856Phone: 18. C# MAUI -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의 Activity 제어 [1]13633정성태5/22/202411183스크립트: 64. 파이썬 - ASGI를 만족하는 최소한의 구현 코드13632정성태5/20/20249939Phone: 17. C# MAUI - Android 내에 Web 서비스 호스팅13631정성태5/19/202410998Phone: 16. C# MAUI - /Download 등의 공용 디렉터리에 접근하는 방법 [1]13630정성태5/19/20249975닷넷: 2263. C# - Thread가 Task보다 더 빠르다는 어떤 예제(?)13629정성태5/18/202410496개발 환경 구성: 710. Android - adb.exe를 이용한 파일 전송13628정성태5/17/20249749개발 환경 구성: 709. Windows - WHPX(Windows Hypervisor Platform)를 이용한 Android Emulator 가속13627정성태5/17/20249889오류 유형: 904. 파이썬 - UnicodeEncodeError: 'ascii' codec can't encode character '...' in position ...: ordinal not in range(128)13626정성태5/15/202411314Phone: 15. C# MAUI - MediaElement Source 경로 지정 방법113625정성태5/14/202410342닷넷: 2262. C# - Exception Filter 조건(when)을 갖는 catch 절의 IL 구조13624정성태5/12/202410103Phone: 14. C# - MAUI에서 MediaElement 사용113623정성태5/11/20249680닷넷: 2261. C# - 구글 OAuth의 JWT (JSON Web Tokens) 해석113622정성태5/10/202411664닷넷: 2260. C# - Google 로그인 연동 (ASP.NET 예제)113621정성태5/10/202410955오류 유형: 903. IISExpress - Failed to register URL "..." for site "..." application "/". Error description: Cannot create a file when that file already exists. (0x800700b7)13620정성태5/9/202410156VS.NET IDE: 190. Visual Studio가 node.exe를 경유해 Edge.exe를 띄우는 경우13619정성태5/7/202410948닷넷: 2259. C# - decimal 저장소의 비트 구조 [1]113618정성태5/6/20249812닷넷: 2258. C# - double (배정도 실수) 저장소의 비트 구조113617정성태5/5/202411819닷넷: 2257. C# - float (단정도 실수) 저장소의 비트 구조113616정성태5/3/20249806닷넷: 2256. ASP.NET Core 웹 사이트의 HTTP/HTTPS + Dual mode Socket (IPv4/IPv6) 지원 방법113615정성태5/3/202411768닷넷: 2255. C# 배열을 Numpy ndarray 배열과 상호 변환13614정성태5/2/202411543닷넷: 2254. C# - COM 인터페이스의 상속 시 중복으로 메서드를 선언13613정성태5/1/202410017닷넷: 2253. C# - Video Capture 장치(Camera) 열거 및 지원 포맷 조회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