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Linux 운영체제의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지난 글에서,

"Docker Desktop for Windows"의 "Linux Container" 모드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175

윈도우 환경의 "Docker Desktop for Windows"를 설치했을 때 "Linux Container" 모드를 위한 tcp 바인딩을 별도의 컨테이너 운영으로 대신했었습니다. 반면 "Windows Container" 모드의 경우에는 C:\ProgramData\docker\config\daemon.json을 이용했고.

자, 그럼 실제 Linux 운영체제에 설치된 docker라면 어떨까요? 이와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서가 있습니다.

How do I enable the remote API for dockerd
; https://success.docker.com/article/how-do-i-enable-the-remote-api-for-dockerd

위의 문서에 보면 "/etc/systemd/system/docker.service.d/startup_options.conf" 경로의 파일을 생성해,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고 합니다.

# /etc/systemd/system/docker.service.d/override.conf
[Service]
ExecStart=
ExecStart=/usr/bin/dockerd -H fd:// -H tcp://0.0.0.0:2375

또는 아예 systemctl의 "docker.service" 파일을 편집해 ExecStart에 "-H tcp://0.0.0.0:2375"를 추가해도 됩니다.

~ nano /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 cat /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Unit]
Description=Docker Application Container Engine
Documentation=https://docs.docker.com
BindsTo=containerd.service
After=network-online.target firewalld.service containerd.service
Wants=network-online.target
Requires=docker.socket

[Service]
Type=notify
# the default is not to use systemd for cgroups because the delegate issues still
# exists and systemd currently does not support the cgroup feature set required
# for containers run by docker
ExecStart=/usr/bin/dockerd -H fd:// -H tcp://0.0.0.0:2375  --containerd=/run/containerd/containerd.sock
ExecReload=/bin/kill -s HUP $MAINPID
TimeoutSec=0
RestartSec=2
Restart=always

# Note that StartLimit* options were moved from "Service" to "Unit" in systemd 229.
# Both the old, and new location are accepted by systemd 229 and up, so using the old location
# to make them work for either version of systemd.
StartLimitBurst=3

# Note that StartLimitInterval was renamed to StartLimitIntervalSec in systemd 230.
# Both the old, and new name are accepted by systemd 230 and up, so using the old name to make
# this option work for either version of systemd.
StartLimitInterval=60s

# Having non-zero Limit*s causes performance problems due to accounting overhead
# in the kernel. We recommend using cgroups to do container-local accounting.
LimitNOFILE=infinity
LimitNPROC=infinity
LimitCORE=infinity

# Comment TasksMax if your systemd version does not supports it.
# Only systemd 226 and above support this option.
TasksMax=infinity

# set delegate yes so that systemd does not reset the cgroups of docker containers
Delegate=yes

# kill only the docker process, not all processes in the cgroup
KillMode=process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물론 이렇게 바꾼 다음 systemctl을 재시작해야 반영이 됩니다.

~ systemctl daemon-reload
~ systemctl restart docker.service
~ netstat -ano | grep 2375


참고로, "fd://는 dockerd가 알아서 "/lib/systemd/system/docker.socket"로 설정한다는데, "Docker Desktop for Windows"에서 "npipe://"를 기본적으로 "//./pipe/docker_engine"로 매핑하는 규칙과 유사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8/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10-28 10시29분
아래의 글에 보면,

Linux 의 init 시스템: systemd 와 systemctl 간단 사용법
; http://oniondev.egloos.com/9972854

systemctl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 글의 본문에서 override conf 파일을 직접 경로를 입력해 편집했는데 이것을 systemctl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sudo systemctl edit nginx.service # override.conf 를 만들어서 기존 설정값 덮어쓰기

또한 기준이 되는 "/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설정 파일도 경로를 알 필요없이 systemctl로 편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sudo systemctl edit --full nginx.service # 현재 설정파일을 직접 변경
정성태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72정성태11/25/20225120.NET Framework: 2071. 닷넷에서 ESP/RSP 레지스터 값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171정성태11/25/20224696Windows: 214. 윈도우 - 스레드 스택의 "red zone"
13170정성태11/24/20225018Windows: 213. 윈도우 - 싱글 스레드는 컨텍스트 스위칭이 없을까요?
13169정성태11/23/20225609Windows: 212. 윈도우의 Protected Process (Light) 보안 [1]파일 다운로드2
13168정성태11/22/20224879제니퍼 .NET: 31.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9) - DB 서비스에 부하가 걸렸다?!
13167정성태11/21/20224917.NET Framework: 2070. .NET 7 - Console.ReadKey와 리눅스의 터미널 타입
13166정성태11/20/20224638개발 환경 구성: 651. Windows 사용자 경험으로 WSL 환경에 dotnet 런타임/SDK 설치 방법
13165정성태11/18/20224546개발 환경 구성: 650. Azure - "scm" 프로세스와 엮인 서비스 모음
13164정성태11/18/20225471개발 환경 구성: 649. Azure - 비주얼 스튜디오를 이용한 AppService 원격 디버그 방법
13163정성태11/17/20225393개발 환경 구성: 648.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안드로이드 기기 인식하는 방법
13162정성태11/15/20226471.NET Framework: 2069. .NET 7 - AOT(ahead-of-time) 컴파일
13161정성태11/14/20225714.NET Framework: 2068. C# - PublishSingleFile로 배포한 이미지의 역어셈블 가능 여부 (난독화 필요성) [4]
13160정성태11/11/20225634.NET Framework: 2067. C# - PublishSingleFile 적용 시 native/managed 모듈 통합 옵션
13159정성태11/10/20228815.NET Framework: 2066. C# - PublishSingleFile과 관련된 옵션 [3]
13158정성태11/9/20225131오류 유형: 826. Workload definition 'wasm-tools' in manifest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 [...] conflicts with manifest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net7'
13157정성태11/8/20225767.NET Framework: 2065. C# - Mutex의 비동기 버전파일 다운로드1
13156정성태11/7/20226678.NET Framework: 2064. C# - Mutex와 Semaphore/SemaphoreSlim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155정성태11/4/20226188디버깅 기술: 183. TCP 동시 접속 (연결이 아닌) 시도를 1개로 제한한 서버
13154정성태11/3/20225662.NET Framework: 2063. .NET 5+부터 지원되는 GC.GetGCMemoryInfo파일 다운로드1
13153정성태11/2/20226939.NET Framework: 2062. C# - 코드로 재현하는 소켓 상태(SYN_SENT, SYN_RECV)
13152정성태11/1/20225565.NET Framework: 2061. ASP.NET Core - DI로 추가한 클래스의 초기화 방법 [1]
13151정성태10/31/20225676C/C++: 161. Windows 11 환경에서 raw socket 테스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150정성태10/30/20225714C/C++: 160. Visual Studio 2022로 빌드한 C++ 프로그램을 위한 다른 PC에서 실행하는 방법
13149정성태10/27/20225644오류 유형: 825. C# - CLR ETW 이벤트 수신이 GCHeapStats_V1/V2에 대해 안 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3148정성태10/26/20225640오류 유형: 824. msbuild 에러 - error NETSDK1005: Assets file '...\project.assets.json' doesn't have a target for 'net5.0'. Ensure that restore has run and that you have included 'net5.0' in the TargetFramew
13147정성태10/25/20224761오류 유형: 823. Visual Studio 2022 - Unable to attach to CoreCLR. The debugger's protocol is incompatible with the debuggee.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