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잘못 인증 한 후) 원격 git repo 재인증 시 "remote: HTTP Basic: Access denied" 오류 발생

git repo의 암호가 긴가민가해서 그냥 한번 입력했다가 틀렸습니다. ^^; 그래서 다시 입력하려고 했더니,

Git failed with a fatal error.
Authentication failed for 'https://git.testlab.com:3250/temp/testlib.git/'

C:\temp> git clone https://git.testlab.com:3250/temp/testlib.git
Cloning into 'testlib'...
remote: HTTP Basic: Access denied
fatal: Authentication failed for 'https://git.testlab.com:3250/temp/testlib.git/'

그다음부터는 계정 정보를 묻지 않고 곧바로 "remote: HTTP Basic: Access denied" 오류를 보냅니다. ^^; 검색해 보면, 윈도우에서 인증 정보 캐시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라고 나옵니다. 그래서 "제어판"의 "Credential Manager"로 들어가 다음 화면과 같이 "Windows Credentials" 영역의 "Generic Credentials"에 있는 git repo 주소와 맞는 항목을 선택해,

git_auth_cached_1.png

"Edit" 링크를 눌러 올바른 계정 정보를 입력해 주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5/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15정성태11/13/20246034Linux: 105. eBPF - bpf2go에서 전역 변수 설정 방법
13814정성태11/13/20246789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파일 다운로드1
13813정성태11/12/20247359닷넷: 2310. .NET의 Rune 타입과 emoji 표현파일 다운로드1
13812정성태11/11/202411030오류 유형: 933. Active Directory - The forest functional level is not supported.
13811정성태11/11/20246447Linux: 104. Linux - COLUMNS 환경변수가 언제나 80으로 설정되는 환경
13810정성태11/10/20247586Linux: 103. eBPF (bpf2go) - Tracepoint를 이용한 트레이스 (BPF_PROG_TYPE_TRACEPOINT)
13809정성태11/10/20247057Windows: 271. 윈도우 서버 2025 마이그레이션
13808정성태11/9/20247563오류 유형: 932. Linux - 커널 업그레이드 후 "error: bad shim signature" 오류 발생
13807정성태11/9/20246112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13806정성태11/8/20246306Windows: 270. 어댑터 상세 정보(Network Connection Details) 창의 내용이 비어 있는 경우
13805정성태11/8/20245876오류 유형: 931. Active Directory의 adprep 또는 복제가 안 되는 경우
13804정성태11/7/20247598Linux: 101. eBPF 함수의 인자를 다루는 방법
13803정성태11/7/20247166닷넷: 2309. C# - .NET Core에서 바뀐 DateTime.Ticks의 정밀도
13802정성태11/6/20247566Windows: 269.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801정성태11/5/20247410Linux: 100. eBPF의 2가지 방식 - libbcc와 libbpf(CO-RE)
13800정성태11/3/20248471닷넷: 2308. C# - ICU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문자열의 대소문자 변환 [2]파일 다운로드1
13799정성태11/2/20246034개발 환경 구성: 732.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유니코드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13798정성태11/2/20248027개발 환경 구성: 731. 유니코드 - 출력 예시 및 폰트 찾기
13797정성태11/1/20248003C/C++: 185. C++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ransform + std::tolower/toupper 방식의 문제점파일 다운로드1
13796정성태10/31/20247421C/C++: 184. C++ - ICU dll을 이용하는 예제 코드 (Windows)파일 다운로드1
13795정성태10/31/20246695Windows: 268. Windows - 리눅스 환경처럼 공백으로 끝나는 프롬프트 만들기
13794정성태10/30/20246764닷넷: 2307.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3정성태10/28/20246676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2정성태10/27/20245991Linux: 99. Linux - 프로세스의 실행 파일 경로 확인
13791정성태10/27/20246360Windows: 267. Win32 API의 A(ANSI) 버전은 DBCS를 사용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3790정성태10/27/20245924Linux: 98. Ubuntu 22.04 - 리눅스 커널 빌드 및 업그레이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