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22. VS.NET SP1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623

개발 환경 구성: 112.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009

디버깅 기술: 47. .NET Reflector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어셈블리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201

개발 환경 구성: 143.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43

개발 환경 구성: 297.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어셈블리를 디버깅할 때 지역 변숫값을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36

개발 환경 구성: 391. (GitHub 등과 직접 연동해) 소스 코드 디버깅을 쉽게 해 주는 SourceLink
; https://www.sysnet.pe.kr/2/0/11630

VS.NET IDE: 126. 디컴파일된 소스에 탐색을 사용하도록 설정(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 https://www.sysnet.pe.kr/2/0/11689

VS.NET IDE: 145. NuGet + Github 라이브러리 디버깅 관련 옵션 3가지 - "Enable Just My Code" / "Enable Source Link support" / "Suppress JIT optimization on module load (Managed only)"
; https://www.sysnet.pe.kr/2/0/12200

VS.NET IDE: 149. ("Binary was not built with debug information" 상태로) 소스 코드 디버깅이 안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2278

개발 환경 구성: 500. (PDB 연결이 없는) DLL의 소스 코드 디버깅을 dotPeek 도구로 해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1

VS.NET IDE: 153.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의 "My Code" 범위와 "Enable Just My Code"의 역할
; https://www.sysnet.pe.kr/2/0/12401

VS.NET IDE: 170. Visual Studio에서 .NET Core/5+ 역어셈블 소스코드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80

VS.NET IDE: 177. 비주얼 스튜디오 2022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모듈 디버깅 - "외부 원본(External Sources)"
; https://www.sysnet.pe.kr/2/0/13109

VS.NET IDE: 180. Visual Studio - 닷넷 소스 코드 디버깅 중 "Decompile source code"가 동작하는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3247

VS.NET IDE: 189. Visual Studio - 닷넷 소스코드 디컴파일 찾기가 안 될 때
; https://www.sysnet.pe.kr/2/0/13554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에 대한 방법이 2가지로 나뉩니다.

  1. 모든 소스 코드 파일을 한꺼번에 다운로드해서 디버깅
  2. 그때그때 필요한 소스 코드만 다운로드하면서 디버깅

첫 번째 방법 먼저 설명하면, 그동안 아래와 같은 식의 우회 방법도 공개되긴 했었는데요.

.NET Framework 소스 전체 다운로드 - Net Mass Downloader 
; https://www.sysnet.pe.kr/1/0/714

이제는 아예 공식적으로 다음의 Microsoft 사이트에서 배포가 되고 있습니다.

.NET Framework Libraries
Available Source Code Components 
; http://referencesource.microsoft.com/netframework.aspx

2011-03-29 일자 기준으로 대략 아래와 같은 .NET Framework 소스 코드들이 공개되어 있습니다.

  • .NET 8.0
  • dotnetfx1434_VistaWin2k8sp1 50727.1434
  • FXUpdate3074 50727.3074
  • ASP.NET_MVC 1.0
  • WCF 3.5SP1
  • WF 3.5SP1
  • Dotnetfx_Vista_SP2 50727.4016
  • Dotnetfx_Win7_3.5.1 3.5.1
  • ASP.NET_MVC 2.0
  • .Net 4
  • .NET_3.5_sp1_redist 50727.3053
  • ASP.NET_MVC 3

이를 이용한 소스 코드 디버깅 방법은 다음의 글에서 상세하게 설명되고 있으니 생략합니다.

Step Into .NET Framework 4.0 Source Code
; http://blogs.microsoft.co.il/blogs/arik/archive/2010/07/12/step-into-net-framework-4-0-source-code.aspx
; https://dzone.com/articles/step-net-framework-40-source




닷넷 프레임워크 소스 코드 디버깅 관련해서 대부분의 개발자들이 문제를 겪는 부분은 "필요한 소스 코드만 디버깅 시에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적용할 때입니다. 왜냐하면, 이를 위한 설정에 약간의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입니다.

소스 코드 디버깅을 위해서는 "소스 코드 연결 정보"를 가지고 있는 "PDB 심벌" 파일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같은 System.Windows.Forms.pdb 파일이라고 해도 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하는 심벌 서버에 따라 2가지로 나뉜다는 데에 문제가 있습니다.

  1. 마이크로소프트 공용 PDB 심벌 파일 배포 서버: 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2. .NET Framework 소스 서버와 연결된 심벌 파일 배포 서버: http://referencesource.microsoft.com/symbols

따라서, 만약 여러분들이 1번의 심벌 서버를 지정해서 System.Windows.Forms.pdb 파일을 다운로드하게 되면 소스 코드 디버깅이 자동으로 연동되지 않습니다. 즉, 2번 항목의 심벌 서버를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그럼, 어떤 경우에 1번을 사용하게 될까요? 아마도 C/C++ 개발을 병행하는 경우 무심코 지정해 놓은 "_NT_SYMBOL_PATH" 환경변수를 통해서 소스 서버와 연동이 안되는 PDB 파일들이 로컬에 캐쉬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는 Visual Studio 2010의 디버그 심벌 대화 상자에 아래와 같이 "Microsoft Symbol Servers"를 설정한 경우입니다.

how_to_debug_netfx_with_src_1.png

자... 이제 거의 해답이 나온 것 같군요. 만약 자신의 컴퓨터에서 "닷넷 소스 코드 디버깅"이 안되고 있다면 로컬에 다운로드 받은 PDB 파일이 "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로부터 캐시된 것이 아닌가 의심을 해봐야 합니다. 하지만, 굳이 확인 방법을 찾기보다는 그냥 "Cache symbols in this directory"에 지정된 폴더를 탐색기에서 모두 지우는 것이 편합니다. (위의 그림에서는 E:\Symbols 폴더)

그다음, 디버그 옵션 창에서 다음과 같은 3가지 옵션을 각각 설정/해제해 주면 됩니다.

how_to_debug_netfx_with_src_2.png

  • Enable Just My Code (Managed only) - 해제
  • Enable .NET Framework source stepping - 설정
  • Require source files to exactly match the original version - 해제

(이와 함께, 반드시 디버깅 옵션의 Symbols 탭에서도 "Microsoft Symbol Servers"를 해제하는 것을 잊지 않아야 하겠지요.)

Visual Studio 2010에서는 위와 같이만 설정해주면, PDB 파일을 우선적으로 referencesource.microsoft.com에서 받으려고 시도합니다.

마지막으로, 중요 사항 한 가지 더!

제 경험에 의하면, referencesource.microsoft.com에서 배포되는 PDB 파일들이 그다지 안정적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지 않았었습니다. 실제로, 아래의 화면은 Fiddler로 네트워크 패킷을 검색한 것인데요.

how_to_debug_netfx_with_src_3.png

보시는 것처럼, System.Xml.Linq.pdb, System.DataSetExpressions.pdb, System.Drawing.pdb 파일들만을 정상적으로 referencesource.microsoft.com에서 받았을 뿐 그 이외의 심벌 파일들은 msdl.microsoft.com에서 2차 시도로 다운로드 받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System.Drawing에 포함된 타입(예: Bitmap)에 대해서는 소스 코드 디버깅이 가능하지만, System.Windows.Forms에 포함된 타입에 대해서는 연동이 안되는 이상한 문제를 겪게 됩니다. (음... 분명히 제가 어제 밤에 테스트했을 때는 "System.Windows.Forms.pdb" 파일도 referencesource.microsoft.com에서 받을 수가 있었습니다.)

대충 이 정도만 알고 계시면... 소스 코드 디버깅이 안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은 그때그때 스스로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설명 끝!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03-29 04시13분
[유수석] 닷넷 8.0 소스는 뭔지 궁금하네요...
[guest]
2011-03-29 04시35분
넵. 저도 8.0 이 뭔가 궁금해서 살펴보았는데... 딱히 정확한 차이라고 설명되어 있는 글은 없지만 설치 후 readme.txt를 보니 Visual Studio 2008 이 나왔을 당시의 .NET 소스 코드가 공개된 것으로 짐작만 됩니다. ^^
정성태
2012-02-23 04시52분
[파벳] 2008때는 첫번째 기호서버로도 잘 되었던거 같던데 2010에서는 바뀐거 같군요.. 감사합니다.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이 안되서 뭔가 이상했는데.
그런데 이렇게 설정해도 이상하게 제pc에서는 소스 디버깅으로는 안들어가지긴 하군요.
뭐가 문제인지 쩝
[guest]
2012-02-23 11시30분
"파벳" 님, 현재 닷넷 소스 코드 디버깅이 (일부)안되는 것이 맞습니다. 아래의 글에 정리해 두었으니 시간 나실 때 한번 보세요. ^^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번째 이야기
; http://www.sysnet.pe.kr/2/0/1243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87정성태6/22/202114977오류 유형: 729. Invalid data: Invalid artifact, java se app service only supports .jar artifact
12686정성태6/21/202116943Java: 22. Azure - 자바(Java)로 만드는 Web App Service - Java SE (Embedded Web Server) 호스팅
12685정성태6/21/202118151Java: 21. Azure Web App Service에 배포된 Java 프로세스의 메모리 및 힙(Heap) 덤프 뜨는 방법
12684정성태6/19/202116494오류 유형: 728. Visual Studio 2022부터 DTE.get_Properties 속성 접근 시 System.MissingMethodException 예외 발생
12683정성태6/18/202117824VS.NET IDE: 166. Visual Studio 2022 - Windows Forms 프로젝트의 x86 DLL 컨트롤이 Designer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12682정성태6/18/202114362VS.NET IDE: 165. Visual Studio 2022를 위한 Extension 마이그레이션
12681정성태6/18/202114649오류 유형: 727. .NET 2.0 ~ 3.5 + x64 환경에서 System.EnterpriseServices 참조 시 CS8012 경고
12680정성태6/18/202116710오류 유형: 726. python2.7.exe 실행 시 0xc000007b 오류
12679정성태6/18/202116816COM 개체 관련: 23. CoInitializeSecurity의 전역 설정을 재정의하는 CoSetProxyBlanket 함수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2678정성태6/17/202115314.NET Framework: 1072. C# - CoCreateInstance 관련 Inteop 오류 정리파일 다운로드1
12677정성태6/17/202118097VC++: 144. 역공학을 통한 lxssmanager.dll의 ILxssSession 사용법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676정성태6/16/202117272VC++: 143. ionescu007/lxss github repo에 공개된 lxssmanager.dll의 CLSID_LxssUserSession/IID_ILxssSession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2675정성태6/16/202115163Java: 20. maven package 명령어 결과물로 (war가 아닌) jar 생성 방법
12674정성태6/15/202116418VC++: 142. DEFINE_GUID 사용법
12673정성태6/15/202117029Java: 19. IntelliJ - 자바(Java)로 만드는 Web App을 Tomcat에서 실행하는 방법
12672정성태6/15/202118646오류 유형: 725. IntelliJ에서 Java webapp 실행 시 "Address localhost:1099 is already in use" 오류
12671정성태6/15/202127321오류 유형: 724. Tomcat 실행 시 Failed to initialize connector [Connector[HTTP/1.1-8080]] 오류
12670정성태6/13/202117292.NET Framework: 1071.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에서의 CoInitializeSecurity 문제파일 다운로드1
12669정성태6/11/202117491.NET Framework: 1070. 사용자 정의 GetHashCode 메서드 구현은 C# 9.0의 record 또는 리팩터링에 맡기세요.
12668정성태6/11/202119979.NET Framework: 1069. C# -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 제작파일 다운로드2
12667정성태6/10/202117789.NET Framework: 106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해 CoInitializeSecurity 제약 해결파일 다운로드1
12666정성태6/10/202115434.NET Framework: 1067. 별도 DLL에 포함된 타입을 STAThread Main 메서드에서 사용하는 경우 CoInitializeSecurity 자동 호출파일 다운로드1
12665정성태6/9/202117486.NET Framework: 1066. Wslhub.Sdk 사용으로 알아보는 CoInitializeSecurity 사용 제약파일 다운로드1
12664정성태6/9/202115287오류 유형: 723. COM+ PIA 참조 시 "This operation failed because the QueryInterface call on the COM component" 오류
12663정성태6/9/202117670.NET Framework: 1065. Windows Forms - 속성 창의 디자인 설정 지원: 문자열 목록 내에서 항목을 선택하는 TypeConverter 제작파일 다운로드1
12662정성태6/8/202115404.NET Framework: 1064. C# COM 개체를 PIA(Primary Interop Assembly)로써 "Embed Interop Types" 참조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