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121. Access DB에 대한 32bit/64bit OLE DB Provider 관련 오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9416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Access DB에 대한 32bit/64bit OLE DB Provider 관련 오류

예를 들어, x64 운영체제에서 64비트 Office 2010 제품을 설치하고 Visual Studio의 데이터베이스 연결 관리자에서 Access DB에 대해 연결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access_db_error_1.png

"
The 'Microsoft.ACE.OLEDB.12.0' provider is not registered on the local machine.
"


오류 원인은 간단합니다. 64비트 Office 제품군을 설치하면서 64비트용 OLE DB 제공자는 시스템에 설치되었지만, 32비트 프로그램인 Visual Studio에서는 64비트용 OLE DB 제공자를 (사용할 수도 없을뿐더러)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해당 액세스 파일에 대해 UDL 파일을 만들고 각각 32비트/64비트 ODBC 제어판 애플릿을 구동해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64비트용에서는 정상적으로 애플릿이 뜨지만,

"C:\Windows\system32\rundll32.exe" "C:\Program Files\Common Files\System\Ole DB\oledb32.dll",OpenDSLFile C:\temp\test.udl


32비트용으로 실행하면 Visual Studio에서와 비슷한 오류 화면이 뜹니다.

"C:\Windows\syswow64\rundll32.exe" "C:\Program Files (x86)\Common Files\System\Ole DB\oledb32.dll",OpenDSLFile C:\temp\test.udl


access_db_error_2.png

"
Provider cannot be found. Ensure that the provider has been installed properly.
"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Access DB에 대한 32비트 버전의 OLE DB 제공자(aceoledb.dll)를 설치해야 하는데, Office 2007용의 파일을 설치해도 정상적으로 동작하므로 다음의 경로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2007 Office System Driver: Data Connectivity Components
; https://www.microsoft.com/en-us/download/confirmation.aspx?id=13255

참고로, 각각의 aceoledb.dll 파일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64비트: "C:\Program Files\Common Files\Microsoft Shared\OFFICE14\ACEOLEDB.DLL"
32비트: "C:\Program Files (x86)\Common Files\microsoft shared\OFFICE12\ACEOLEDB.DLL"




만약, Office 2010용의 파일을 설치하고 싶다면 다음의 경로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Microsoft Access Database Engine 2010 Redistributable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en/details.aspx?familyid=C06B8369-60DD-4B64-A44B-84B371EDE16D&displaylang=en

위의 경로에서 AccessDatabaseEngine.exe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하는 경우, 이미 Office 2010 64비트 버전이 설치되어 있다면 오류가 발생하면서 더 이상 설치 진행이 되지 않습니다.

access_db_error_3.png

"
You cannot install the 32-bit version of Microsoft Access Database Engine 2010 because you currently have 64-bit Office products installed. If you want to install 32-bit Microsoft Access Database Engine 2010, you will first need to remove the 64-bit installation of Office products. After uninstalling the following product(s), rerun setup in order to install 32-bit version of Microsoft Access Database Engine 2010:
Microsoft Office SharePoint Designer 2010, Microsoft Office Professional Plus 2010, Microsoft Office Visio 2010
"


"Microsoft Office SharePoint Designer 2010, Microsoft Office Professional Plus 2010, Microsoft Office Visio 2010" 3가지 제품을 제거해야 한다니... 말이 안되죠. ^^;

다행히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글에서 손쉬운 해결책을 제시해 주고 있습니다.

Microsoft Access Database Engine 2010 Redistributable
; http://codefluententities.wordpress.com/2011/01/20/microsoft-access-database-engine-2010-redistributable/

즉, 명령행에서 "AccessDatabaseEngine.exe /passive"라고 실행해 주면 되는 것입니다. 최종적으로 aceoledb.dll의 경로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습니다. ^^

     64비트: "C:\Program Files\Common Files\Microsoft Shared\OFFICE14\ACEOLEDB.DLL"
32비트 2007: "C:\Program Files (x86)\Common Files\microsoft shared\OFFICE12\ACEOLEDB.DLL"
32비트 2010: "C:\Program Files (x86)\Common Files\microsoft shared\OFFICE14\ACEOLEDB.DLL"





파이썬 Access DB 사용 방법
; https://blog.naver.com/cjinnnn/223047261231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2-07-10 02시50분
[김상록] 32bit office 2010을 사용하던중 64비트 기반의 app를 만들다 에러가 나서 검색하다 보니 알게 되었네요
위에 말씀하신것처럼 2010용 64비트 버전을 설치해서 app에서 발생하던 오류는 해결했습니다.
그런데 64비트 AccessDatabaseEngine_x64.exe 를 설치하고 난 후 excel파일(xlsx)을 열려고 하면

"개체 라이브러리(ㅣ)중 하나가 빠졌거나 손상되었습니다.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다시 설치 하십시오."

라는 팝업 메세지가 나옵니다. 확인을 누르면 구성요소 설치를 진행합니다.
구성요소 구성이 완료된 후 정상적으로 엑셀파일이 열립니다.

문제는 엑셀을 종료하고 파일을 새로 열때마다 팝업->구성요소 구성이 진행된다는 것입니다.

저만 그런건가요? 혹시 이 문제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guest]
2012-07-12 01시00분
"김상록" 님이 겪은 현상이 맞습니다. 덧글을 보고 저도 설치를 한 후 엑셀 파일을 열었더니 동일한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일단, 이에 관한 어떠한 해결책도 웹에서 검색되는 것이 없어서 방법을 찾는 것이 쉽진 않을 것 같습니다. (아니면, 마이크로소프트 측에 이슈 제기를 직접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저는 그 현상 때문에 다시 '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 지우는 걸로 끝냈습니다.

한 가지... 그냥 시도해볼만한 방법이 있다면, "C:\Program Files\Common Files\Microsoft Shared\OFFICE14\ACEOLEDB.DLL" 64비트 파일을 직접 등록하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관련해서는 레지스트리 설정에 불과할 것이기 때문에, 그 부분만 잘 맞춰주면 해결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나중에 시간나면 저도 한번 이에 대해서 살펴봐야겠습니다. ^^)
정성태
2013-03-07 02시07분
[김동운] 위처럼
C:\Windows\syswow64\rundll32.exe" "C:\Program Files (x86)\Common Files\System\Ole DB\oledb32.dll",OpenDSLFile C:\temp\test.udl
실행없이
udl 파일 더블클릭 하면 바로 연결이 되게 할수는 없나요??
[guest]
2013-03-07 11시44분
udl 파일을 더블클릭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지, 더블 클릭하는 경우에는 64비트/32비트 입맛에 맞게 띄우는 것이 쉽지 않겠지요.
정성태
2014-12-05 06시47분
[태수] 님짱
[guest]
2015-07-22 05시00분
[asdf] 개체 라이브러리(ㅣ)중 하나가 빠졌거나 손상되었습니다 이문제 해결 안될까요? 이거원..

직접 등록이라는게 어떤걸 말씀하는것인지 잘모르겠네요..비쥬얼스튜디오 참조에 걸라는 말씀이신건지.
[guest]
2016-02-26 02시29분
[최철] 약간 오래 된글이지만 깔끔하네요.
cmd 창에서 AccessDatabaseEngine.exe /passive 실행하여 '시스템이 지정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없습니다.
나올경우에는 바로가기 만들어서 속성 - 대상에서 /passive 추가하시면 됩니다
[guest]
2017-05-22 08시22분
[박현식] 우와~ 감사합니다. 현재 32비트 VS에서 64비트 엑셀을 읽으려고하니 오류가 발생하는데... 위처럼 명령어로 해결이 되네요.
[guest]
2019-07-11 04시08분
[zxcv] 많이 늦었지만 혹시 검색으로 찾지 못하신 분들을 위해 64bit 기반 os에서 32bit office 2010를 사용하실 때

64비트 AccessDatabaseEngine_x64.exe 를 설치하고 난 후 엑셀파일(xlsx)을 열려고 하면
"개체 라이브러리(ㅣ)중 하나가 빠졌거나 손상되었습니다.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다시 설치 하십시오."
팝업 메시지가 나오시는 분들을 위한 해결 방법을 올립니다.

AccessDatabaseEngine_x64.exe를 설치하시기 전 regedit(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여시고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Office\14.0\Common\FilesPaths 경로로 들어가셔서 mso.dll 항목이 없음을 확인합니다.
다음 알려주신 대로 cmd 창에서 AccessDatabaseEngine_64.exe /passive로 수동설치하시고 regedit에서 아까의 경로로 다시 들어가보면
mso.dll 항목이 생성되어 있을 겁니다. 이게 존재하는 한 엑셀파일(xlsx)을 열 때마다 라이브러리 손상 메시지가 뜨므로 지워주셔야 합니다.

지운 후에는 엑셀파일이 정상적으로 열리며 추가적인 문제는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guest]
2019-11-05 06시07분
[[손님2]] 위에 내용과 관련 하여 설치 하고 cmd 에서 수동 설치 하였습니다.
그런데 C# 에서 열려고 하니 오류가 다른 오류가 바뀌었습니다.

System.RunTime.InteropServices.SEHException:외부 구성 요서에서 예외를 Throw했습니다.
라는 오류가 발생 하더라고요..

검색 해봐도 나오지 않고 .. 어떻게 해결해 나가야 할지..
막막 합니다..
감사합니다.
[guest]
2019-11-06 01시26분
겪으신 현상이 맞을 겁니다. 이 글의 댓글들을 읽어보세요.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67정성태7/7/20246608닷넷: 2273. C# - 리눅스 환경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AF_VSOCK)파일 다운로드1
13666정성태7/7/20247686Linux: 74. C++ - Vsock 예제 (Hyper-V Socket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665정성태7/6/20247864Linux: 73. Linux 측의 socat을 이용한 Hyper-V 호스트와의 vsock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3663정성태7/5/20247470닷넷: 2272.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의 VMID Wildcards 유형파일 다운로드1
13662정성태7/4/20247478닷넷: 2271. C# - WSL 2 VM의 VM ID를 알아내는 방법 - Host Compute System API파일 다운로드1
13661정성태7/3/20247398Linux: 72. g++ - 다른 버전의 GLIBC로 소스코드 빌드
13660정성태7/3/20247504오류 유형: 912. Visual C++ - Linux 프로젝트 빌드 오류
13659정성태7/1/20247844개발 환경 구성: 715. Windows - WSL 2 환경의 Docker Desktop 네트워크
13658정성태6/28/20248220개발 환경 구성: 714.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3657정성태6/27/20247910닷넷: 2270.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을 위한 EndPoint 사용자 정의
13656정성태6/27/20248069Windows: 264. WSL 2 VM의 swap 파일 위치
13655정성태6/24/20247843닷넷: 2269. C# - Win32 Resource 포맷 해석파일 다운로드1
13654정성태6/24/20247787오류 유형: 911. shutdown - The entered computer name is not valid or remote shutdown is not supported on the target computer.
13653정성태6/22/20247926닷넷: 2268. C# 코드에서 MAKEINTREOURCE 매크로 처리
13652정성태6/21/20249245닷넷: 2267. C# - Linux 환경에서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3651정성태6/19/20248472닷넷: 2266. C# -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50정성태6/18/20248397개발 환경 구성: 713. "WSL --debug-shell"로 살펴보는 WSL 2 VM의 리눅스 환경
13649정성태6/18/20247948오류 유형: 910. windbg - !py 확장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2)
13648정성태6/17/20248266오류 유형: 909. C# - DynamicMethod 사용 시 System.TypeAccessException
13647정성태6/16/20249324개발 환경 구성: 712. Windows -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같은 IP를 공유하는 WSL 2 인스턴스) [1]
13646정성태6/14/20247744오류 유형: 908. Process Explorer - "Error configuring dump resources: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3645정성태6/13/20248197개발 환경 구성: 711. Visual Studio로 개발 시 기본 등록하는 dev tag 이미지로 Docker Desktop k8s에서 실행하는 방법
13644정성태6/12/20248855닷넷: 2265. C# - System.Text.Json의 기본적인 (한글 등에서의) escape 처리 [1]
13643정성태6/12/20248303오류 유형: 907. MySqlConnector 사용 시 System.IO.FileLoadException 오류
13642정성태6/11/20248196스크립트: 65. 파이썬 - asgi 버전(2, 3)에 따라 달라지는 uvicorn 호스팅
13641정성태6/11/20248659Linux: 71. Ubuntu 20.04를 22.04로 업데이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