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220. ASP.NET MVC Web Site 프로젝트 - 단위 테스트 작성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963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ASP.NET MVC Web Site 프로젝트 - 단위 테스트 작성

테스트 프로젝트의 필요성은 두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순하게 exe에서 dll 참조를 기반으로 테스트를 할지라도... 어떤 식으로든 잘 만들어진 테스트 프로젝트가 있음으로써 프로젝트의 안정성은 극적으로 높아질 수 있습니다. 게다가, 하나씩 쌓이는 단위테스트로부터 느끼는 안정감이란 이루 말할 수 없지요.

개인적으로, ASP.NET MVC 웹 사이트 유형이 정말 마음에 들면서도, 한 가지 아쉬운 것으로 단위 테스트의 불편함을 꼽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못하는 것은 아니므로 ^^ 지난번에 알아본 ASP.NET MVC Web Site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단위 테스트를 구현하는 방법을 마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SP.NET MVC Web Site 프로젝트 구성하기
; https://www.sysnet.pe.kr/2/0/1052

일반적으로 Visual Studio에서는 소스 코드 편집기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 "Create Unit Tests..." 메뉴를 선택해서 단위 테스트를 만들수 있는데요. 아쉽게도 MVC Web Site 모델에서는 이렇게 생성된 단위 테스트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왜 안되는지는 알아야 할테니까, 시도라도 한번 해보겠습니다. ^^ 예를 들기 위해, "App_Code\MvcRoute.cs" 파일에서 단위 테스트를 생성하면 다음과 같은 코드가 생성됩니다.

[TestMethod()]
[HostType("ASP.NET")]
[AspNetDevelopmentServerHost("D:\\...[생략]...\\site", "/site")]
[UrlToTest("http://localhost/site")]
public void RegisterRoutesTest()
{
    RouteCollection routes = null; // TODO: Initialize to an appropriate value
    MvcRoute_Accessor.RegisterRoutes(routes);
    Assert.Inconclusive("A method that does not return a value cannot be verified.");
}

위의 코드에서 보면 특이하게 "MvcRoute_Accessor"가 사용되고 있는데요. 이는 private 타입에 쉽게 접근하도록 감싸주는 별도의 래퍼 DLL에서 제공되는 타입인데, 생성된 테스트 프로젝트에 보면 "Test References" 폴더에 있는 "site.accessor" 파일과 관련이 있습니다.

Visual Studio의 이러한 눈물겨운 노력에도 불구하고,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를 빌드하고 RegisterRoutesTest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The Web request 'http://localhost:1334/site' completed successfully without running the test. This can occur when configuring the Web application for testing fails (an ASP.NET server error occurs when processing the request), or when no ASP.NET page is executed (the URL may point to an HTML page, a Web service, or a directory listing). Running tests in ASP.NET requires the URL to resolve to an ASP.NET page and for the page to execute properly up to the Load event. The response from the request is stored in the file 'WebRequestResponse_RegisterRoutesTest.html' with the test results; typically this file can be opened with a Web browser to view its contents.


웹 요청은 발생했지만, 정작 단위 테스트 함수가 실행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런 원인에 대해서 다음의 글에 설명이 있습니다.

ASP.NET unit test not working
; http://social.msdn.microsoft.com/Forums/en/vststest/thread/7db9472a-7f2a-4930-bbd2-6f0f6e5c191c

ASP.NET 단위 테스트는 Page_Load를 가로채서 테스트를 판단하는 데, 위와 같이 MVC Framework에서의 라우팅으로 컨트롤러가 실행되는 환경에는 이런 테스팅이 맞지 않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아예 ASP.NET 단위 테스트를 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일반적인 단위 테스트로 바꾸면 어떻게 될까요?

[TestMethod()]
public void RegisterRoutesTest()
{
    RouteCollection routes = null; // TODO: Initialize to an appropriate value
    MvcRoute_Accessor.RegisterRoutes(routes);
    Assert.IsTrue(true);
}

그래도 안됩니다. ^^; 이번에는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 Error Message ---
Test method TestProject1.MvcRouteTest.RegisterRoutesTest threw exception: 
System.TypeInitializationException: The type initializer for 'MvcRoute_Accessor' threw an exception. ---> System.ArgumentNullException: Value cannot be null.
Parameter name: type

--- Error Stack Trace ---
MvcRoute_Accessor..cctor()
MvcRoute_Accessor.RegisterRoutes(RouteCollection routes)
TestProject1.MvcRouteTest.RegisterRoutesTest() in D:\...[생략]...\MvcRouteTest.cs: line 78

Visual Studio가 Private 타입에 대한 단위테스트를 돕도록 제공해 주는 MvcRoute_Accessor 개체의 정적 생성자에서 오류가 나는 것인데, .NET Reflector로 이 부분의 코드를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static MvcRoute_Accessor()
{
    m_privateType = new PrivateType(BuildManager.GetType("MvcRoute", false));
}

그다지 어렵지 않게, MvcRoute라는 이름의 타입을 생성하려고 시도하는 부분에서 예외가 발생했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사실 예외가 발생할 수밖에 없습니다. Web Site 프로젝트는 '컴파일이 필요없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DLL 출력물도 없으므로 당연히 MvcRoute라는 타입을 그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는 것입니다. (결국, Visual Studio는 실수로 Web Site 프로젝트에 대해서 Accessor를 무리하게 생성해 둔 것에 불과합니다.)




어떡하죠? 왠지 방법이 없어 보입니다. ^^;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간과하고 지나간 사실이 있습니다. 'Web Site' 프로젝트는, 단지 '컴파일이 필요없다'는 것이지 '컴파일 할 수 없다'는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당연히, Web Site 프로젝트도 빌드해서 DLL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로 aspnet_compiler인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글에서 예전에 한번 소개해 드렸습니다.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Site Model 유형의 프로젝트
; https://www.sysnet.pe.kr/2/0/312

아하~~~ 그렇다면, Web Site 프로젝트를 aspnet_compiler.exe로 빌드해서 생성한 dll을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에서 참조해서 사용하면 된다는 것이군요. 그래서 다음과 같이 App_Code.dll 파일을 생성할 수 있고,

REM === 기존 폴더를 삭제하고 ===
rd /S /Q $(SolutionDir)compiled

REM === aspnet_compiler.exe로 빌드해서 DLL을 생성한 후, ===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4.0.30319\aspnet_compiler.exe -d -v /Site -p $(SolutionDir)site $(SolutionDir)compiled

REM === App_Code.dll만 참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c:\Windows\System32\xcopy $(SolutionDir)compiled\bin\App_Code.*  $(SolutionDir)Libraries\App_Code.* /Y

마지막으로 App_Code.dll 파일을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에서 참조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면 됩니다. (일일이 수행하기가 귀찮으므로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의 속성 창에 "Build Events"의 "Pre-build event command line"에 넣어두면 좋겠지요.)

첨부한 프로젝트는 Controller 클래스 및 (Moq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Route 클래스에 대한 간단한 단위 테스트 예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이러한 예제는 "프로 ASP.NET MVC 프레임워크" 책에 나온 것입니다. ^^)

(단위이든, 뭐든) 테스트 작성... 틈나는 데로 열심히 합시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917정성태4/30/202570VS.NET IDE: 199. Directory.Build.props에 정의한 속성에 대해 Condition 제약으로 값을 변경하는 방법
13916정성태4/23/2025477디버깅 기술: 221. WinDbg 분석 사례 - ASP.NET HttpCookieCollection을 다중 스레드에서 사용할 경우 무한 루프 현상 - 두 번째 이야기
13915정성태4/13/20251686닷넷: 2331.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9)파일 다운로드1
13914정성태4/11/20251998디버깅 기술: 220. windbg 분석 사례 - x86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의 CPU 100% 현상 (4)
13913정성태4/10/20251216오류 유형: 950. Process Explorer - 64비트 윈도우에서 32비트 프로세스의 덤프를 뜰 때 "Error writing dump file: Access is denied." 오류
13912정성태4/9/2025876닷넷: 2330.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5 ~ .NET 8)파일 다운로드1
13911정성태4/8/20251117오류 유형: 949. WinDbg - .NET Core/5+ 응용 프로그램 디버깅 시 sos 확장을 자동으로 로드하지 못하는 문제
13910정성태4/8/20251267디버깅 기술: 219. WinDbg - 명령어 내에서 환경 변수 사용법
13909정성태4/7/20251777닷넷: 2329.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Framework 4.8)파일 다운로드1
13908정성태4/2/20252186닷넷: 2328. C# - MailKit: SMTP, POP3, IMAP 지원 라이브러리
13907정성태3/29/20252004VS.NET IDE: 198. (OneDrive, Dropbox 등의 공유 디렉터리에 있는) C# 프로젝트의 출력 경로 변경하기
13906정성태3/27/20252280닷넷: 2327. C# - 초기화되지 않은 메모리에 접근하는 버그?파일 다운로드1
13905정성태3/26/20252324Windows: 281. C++ - Windows / Critical Section의 안정화를 위해 도입된 "Keyed Event"파일 다운로드1
13904정성태3/25/20251918디버깅 기술: 218. Windbg로 살펴보는 Win32 Critical Section파일 다운로드1
13903정성태3/24/20251537VS.NET IDE: 197. (OneDrive, Dropbox 등의 공유 디렉터리에 있는) C++ 프로젝트의 출력 경로 변경하기
13902정성태3/24/20251751개발 환경 구성: 742. Oracle - 테스트용 hr 계정 및 데이터 생성파일 다운로드1
13901정성태3/9/20252139Windows: 280. Hyper-V의 3가지 Thread Scheduler (Classic, Core, Root)
13900정성태3/8/20252364스크립트: 72. 파이썬 - SQLAlchemy + oracledb 연동
13899정성태3/7/20251836스크립트: 71. 파이썬 - asyncio의 ContextVar 전달
13898정성태3/5/20252160오류 유형: 948. Visual Studio - Proxy Authentication Required: dotnetfeed.blob.core.windows.net
13897정성태3/5/20252391닷넷: 2326.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3896정성태3/5/20252213Windows: 279. Hyper-V Manager - VM 목록의 CPU Usage 항목이 항상 0%로 나오는 문제
13895정성태3/4/20252249Linux: 117. eBPF / bpf2go - Map에 추가된 요소의 개수를 확인하는 방법
13894정성태2/28/20252288Linux: 116. eBPF / bpf2go - BTF Style Maps 정의 구문과 데이터 정렬 문제
13893정성태2/27/20252234Linux: 115. eBPF (bpf2go) - ARRAY / HASH map 기본 사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