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윈폰 프로젝트에서 WCF 서비스 참조할 때 Reference.cs 파일이 비어있는 경우


윈폰 7용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신 분은 경험하셨을 것 같은데요. 제 경우에는 "Beginning Windows Phone 7 Development"라는 책의 예제를 따라하던 중이라서 다소 황당하기도 했습니다.

책에 나온데로 NotepadService WCF 서비스에 대한 참조를 추가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Reference.cs 파일이 생성됩니다. (프록시 관련 코드들이 없습니다.)

//------------------------------------------------------------------------------
// 
//     This code was generated by a tool.
//     Runtime Version:4.0.30319.235
//
//     Changes to this file may cause incorrect behavior and will be lost if
//     the code is regenerated.
// 
//------------------------------------------------------------------------------

이와 관련해서 검색을 해보니, 다음과 같은 글들이 나오는데요.

Adding Service Reference : Reference.cs is empty
; http://www.amkohartman.nl/post/2009/07/23/Adding-Service-Reference-results-in-empty-Referencecs(Referencevb).aspx

WCF Service References Generating Empty Proxy Classes
; http://chrisdomino.com/Blog/Post/WCF-Service-References-Generating-Empty-Proxy-Classes

Proxy class not available for Windows Phone 7 Reference to WCF Service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6133418/proxy-class-not-available-for-windows-phone-7-reference-to-wcf-service

아쉽게도 제 경우에 해당하는 글은 없었습니다. svcutil.exe로 직접 지정해 보니, 정상적으로 코드를 담고 있는 파일들이 출력되는 걸로 봐서는 서비스 측의 문제는 없는 것 같습니다.

D:\...[생략]...\WindowsPhoneApplication1>svcutil http://127.0.0.1:83/NotepadWebService.svc?wsdl
Microsoft (R) Service Model Metadata Tool
[Microsoft (R) Windows (R) Communication Foundation, Version 4.0.30319.1]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Attempting to download metadata from 'http://127.0.0.1:83/NotepadWebService.svc?wsdl' using WS-Metadata Exchange or DISCO.
Generating files...
D:\...[생략]...\WindowsPhoneApplication1\NotepadWebService.cs
D:\...[생략]...\WindowsPhoneApplication1\output.config

하지만 기본적으로 .NET Framework 데스크탑 버전의 소스 코드를 생성하기 때문에, 이런식으로 직접 생성된 소스 코드를 윈폰 프로젝트에 추가해서 사용하기에는 향후 유지 보수 면에서 무리가 있었습니다.

혹시나 싶어, 나름대로 이리저리 옵션 조정을 해보니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정상적으로 Reference.cs 파일이 생성되었습니다.

how_to_add_svc_ref_in_wp7_1.png

Collection type: System.Collections.ObjectModel.ObservableCollection 이외의 값
Reuse types in referenced assemblies: 해제

이유를 모르겠군요. 윈폰용 닷넷에서도 System.Collections.ObjectModel.ObservableCollection<> 타입이 지원되고 있는 데다, 솔루션에 정의된 별도의 프로젝트를 참조하고 있지 않은 윈폰 프로젝트에서 "Reuse types in referenced assemblies" 옵션을 해제해야만 WCF 프록시 코드가 생성된다는 것은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일단, 오늘은 이걸로 끝!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18정성태11/15/20245308Windows: 272. Windows 11 24H2 - sudo 추가
13817정성태11/14/20244945Linux: 106. eBPF / bpf2go - (BPF_MAP_TYPE_HASH) Map을 이용한 전역 변수 구현
13816정성태11/14/20245400닷넷: 2312. C#, C++ - Windows / Linux 환경의 Thread Name 설정파일 다운로드1
13815정성태11/13/20244822Linux: 105. eBPF - bpf2go에서 전역 변수 설정 방법
13814정성태11/13/20245294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파일 다운로드1
13813정성태11/12/20245053닷넷: 2310. .NET의 Rune 타입과 emoji 표현파일 다운로드1
13812정성태11/11/20245274오류 유형: 933. Active Directory - The forest functional level is not supported.
13811정성태11/11/20244862Linux: 104. Linux - COLUMNS 환경변수가 언제나 80으로 설정되는 환경
13810정성태11/10/20245391Linux: 103. eBPF (bpf2go) - Tracepoint를 이용한 트레이스 (BPF_PROG_TYPE_TRACEPOINT)
13809정성태11/10/20245267Windows: 271. 윈도우 서버 2025 마이그레이션
13808정성태11/9/20245272오류 유형: 932. Linux - 커널 업그레이드 후 "error: bad shim signature" 오류 발생
13807정성태11/9/20244996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13806정성태11/8/20244917Windows: 270. 어댑터 상세 정보(Network Connection Details) 창의 내용이 비어 있는 경우
13805정성태11/8/20244749오류 유형: 931. Active Directory의 adprep 또는 복제가 안 되는 경우
13804정성태11/7/20245379Linux: 101. eBPF 함수의 인자를 다루는 방법
13803정성태11/7/20245337닷넷: 2309. C# - .NET Core에서 바뀐 DateTime.Ticks의 정밀도
13802정성태11/6/20245719Windows: 269.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801정성태11/5/20245493Linux: 100. eBPF의 2가지 방식 - libbcc와 libbpf(CO-RE)
13800정성태11/3/20246341닷넷: 2308. C# - ICU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문자열의 대소문자 변환 [2]파일 다운로드1
13799정성태11/2/20244922개발 환경 구성: 732.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유니코드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13798정성태11/2/20245526개발 환경 구성: 731. 유니코드 - 출력 예시 및 폰트 찾기
13797정성태11/1/20245515C/C++: 185. C++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ransform + std::tolower/toupper 방식의 문제점파일 다운로드1
13796정성태10/31/20245396C/C++: 184. C++ - ICU dll을 이용하는 예제 코드 (Windows)파일 다운로드1
13795정성태10/31/20245179Windows: 268. Windows - 리눅스 환경처럼 공백으로 끝나는 프롬프트 만들기
13794정성태10/30/20245272닷넷: 2307.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3정성태10/28/20245149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