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SQL Express - User Instance 옵션을 사용한 경우 발생하는 오류 메시지 유형 2가지


예전에, SQL Express의 "User Instance" 옵션에 대해서 설명해드린 적이 있지요.

SQL Express 버전과 User Instance 옵션
; https://www.sysnet.pe.kr/2/0/668

테스트용의 간단한 웹 사이트와 연동하는 용도로는 딱이어서, 개인적으로도 가끔씩 사용하곤 합니다.

그런데, 이와 관련해서 오류를 접하게 되는데 그중에서 2가지 유형 정도만 기록으로 남겨보겠습니다.

우선, 권한 관련 오류입니다.


Server Error in '/' Application.
--------------------------------------------------------------------------------

Database 'C:\...[생략]...\APP_DATA\ASPNETDB.MDF' cannot be upgraded because it is read-only or has read-only files. Make the database or files writeable, and rerun recovery.
An attempt to attach an auto-named database for file C:\...[생략]...\App_Data\aspnetdb.mdf failed. A database with the same name exists, or specified file cannot be opened, or it is located on UNC share.
Description: An unhandled exception occurr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urrent web request. Please review the stack trace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error and where it originated in the code.

Exception Details: System.Data.SqlClient.SqlException: Database 'C:\...[생략]...\APP_DATA\ASPNETDB.MDF' cannot be upgraded because it is read-only or has read-only files. Make the database or files writeable, and rerun recovery. An attempt to attach an auto-named database for file C:\...[생략]...\App_Data\aspnetdb.mdf failed. A database with the same name exists, or specified file cannot be opened, or it is located on UNC share.

Source Error:

An unhandled exception was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urrent web request. Information regarding the origin and location of the exception can be identified using the exception stack trace below.

Stack Trace:


[SqlException (0x80131904): Database 'C:\...[생략]...\APP_DATA\ASPNETDB.MDF' cannot be upgraded because it is read-only or has read-only files. Make the database or files writeable, and rerun recovery.
An attempt to attach an auto-named database for file C:\...[생략]...\App_Data\aspnetdb.mdf failed. A database with the same name exists, or specified file cannot be opened, or it is located on UNC share.]
System.Data.SqlClient.SqlInternalConnection.OnError(SqlException exception, Boolean breakConnection) +308
System.Data.SqlClient.TdsParser.ThrowExceptionAndWarning() +412
...[생략]...
System.Web.Security.SqlMembershipProvider.ValidateUser(String username, String password) +202
System.Web.UI.WebControls.Login.AuthenticateUsingMembershipProvider(AuthenticateEventArgs e) +234
System.Web.UI.WebControls.Login.AttemptLogin() +166
System.Web.UI.WebControls.Login.OnBubbleEvent(Object source, EventArgs e) +91
System.Web.UI.Control.RaiseBubbleEvent(Object source, EventArgs args) +52
System.Web.UI.Page.ProcessRequestMain(Boolean includeStagesBeforeAsyncPoint, Boolean includeStagesAfterAsyncPoint) +3394


이런 오류를 만난 경우, 실제로 해당 mdf/ldf 파일 속성에 '읽기 전용' 속성이 있는지 체크할 필요가 있습니다. (가끔씩 실수로 TFS 소스 컨트롤에 들어가 있는 경우.)

그런데, 가끔은 SQL Express 프로세스(sqlservr.exe) 자체가 "User Instance"로 연결할 mdf/ldf 파일에 대한 권한이 없어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우선 연결 문자열을 확인해서 SQL Server 인스턴스 명을 확인합니다. (해당 컴퓨터에 SQL 서버 인스턴스가 하나만 설치되어 있다면 확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connectionStrings>
    <add name="ApplicationServices"
            connectionString="data source=.\SQLEXPRESS;Integrated Security=SSPI;AttachDBFilename=|DataDirectory|\aspnetdb.mdf;User Instance=true"
            providerName="System.Data.SqlClient" />
</connectionStrings>

위의 예에서는 ".\SQLEXPRESS"라고 되어 있는데요. 그럼 로컬 컴퓨터의 NT 서비스 관리자에서 "SQL Server (SQLEXPRESS)"라는 이름의 서비스를 찾아서 "Log On" 계정을 알아냅니다. 예를 들어, 그 계정으로 "NETWORK SERVICE"가 할당되어 있다면, ASPNETDB.MDF, aspnetdb_log.ldf 2개의 파일에 대한 속성창에서 아래와 같이 권한을 부여해 주면 됩니다.

access_failure_aspnetdb_1.png




경우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오류를 접하기도 합니다.

Server Error in '/' Application.
--------------------------------------------------------------------------------

Failed to generate a user instance of SQL Server due to a failure in starting the process for the user instance. The connection will be closed. Description: An unhandled exception occurr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urrent web request. Please review the stack trace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error and where it originated in the code.

Exception Details: System.Data.SqlClient.SqlException: Failed to generate a user instance of SQL Server due to a failure in starting the process for the user instance. The connection will be closed.

Source Error:

An unhandled exception was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current web request. Information regarding the origin and location of the exception can be identified using the exception stack trace below.

Stack Trace:


[SqlException (0x80131904): Failed to generate a user instance of SQL Server due to a failure in starting the process for the user instance. The connection will be closed.]
System.Data.SqlClient.SqlInternalConnection.OnError(SqlException exception, Boolean breakConnection) +5061898
...[생략]...
System.Web.UI.Page.ProcessRequestMain(Boolean includeStagesBeforeAsyncPoint, Boolean includeStagesAfterAsyncPoint) +5563


이 오류에 대해서 검색을 해보면, "User Instance" 옵션을 "False"로 설정해서 해결했다는 식의 다소 황당한 답변이 나오기도 합니다. 제 경우에는 다음의 답변을 보고 해결했습니다.

Fix error "Failed to generate a user instance of SQL Server due to a failure in starting the process for the user instance."
; http://www.aspdotnetfaq.com/Faq/fix-error-Failed-to-generate-a-user-instance-of-SQL-Server-due-to-a-failure-in-starting-the-process-for-the-user-instance.aspx

위에서 제시한 경로를 삭제하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단지, 윈도우 7의 경우 경로가 다소 달라서 헷갈릴 수 있는데요. 일반 계정이라면 다음과 같이 구성되고,

%LOCALAPPDATA%\Microsoft\Microsoft SQL Server Data\[SQL 인스턴스 명]

그 외, 서비스 계정이라면 다음과 같이 완전히 별개의 폴더에 구성되어 있으니 유의하시면 되겠습니다.

[예: "Network Service" 서비스인 경우]
C:\Windows\ServiceProfiles\NetworkService\AppData\Local\Microsoft\Microsoft SQL Server Data\[SQL 인스턴스 명]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74정성태4/17/201221424Phone: 4. "Holiday Calendar" 윈폰 응용 프로그램 등록
1273정성태4/6/201224643Phone: 3. 윈도우 폰을 위한 Holiyday Calendar 앱 개발파일 다운로드1
1272정성태4/5/201226177오류 유형: 151. ASP.NET - EcbGetUnicodeServerVariables 코드에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예외 발생
1271정성태4/3/201228861Math: 6. 동전을 여러 더미로 나누는 경우의 수 세기 [1]
1270정성태3/29/201222759오류 유형: 150. Visual Studio 2010 원격 디버깅 오류 - Kerberos authentication failed
1269정성태3/27/201236590오류 유형: 149. ODP.NET 오류 - The provider is not compatible with the version of Oracle client
1268정성태3/27/201233118오류 유형: 148. WCF svc 호출 시 HTTP Error 404.17 - Not Found [1]
1267정성태3/16/201231060.NET Framework: 314. C++의 inline asm 사용을 .NET으로 포팅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66정성태3/14/201234267개발 환경 구성: 149. RAID 1 구성 시 하드 디스크 장애 발생 해결에 대한 경험담
1265정성태3/13/201224624VC++: 61. 아이태니엄(IA64: Itanium) 에서 겪은 C++ 포인터 연산 문제 [2]
1264정성태3/10/201243979.NET Framework: 313. WELL512 난수 발생 알고리즘 - C# [5]파일 다운로드1
1263정성태3/9/201222811개발 환경 구성: 148. tinyget 사용법
1262정성태3/8/201243703개발 환경 구성: 147. .keystore 파일에 저장된 개인키 추출 방법과 인증기관으로부터 온 공개키를 합친 pfx 파일 만드는 방법 [1]
1261정성태3/7/201224410Phone: 2. 개발자용 윈도우 폰 7 기기 등록하는 방법
1260정성태3/6/201224235Phone: 1. 윈도폰 7 개발자 (회사) 등록하는 방법 [3]
1259정성태3/4/201235716Windows: 57. 새로 추가된 네트워크 커널 디버깅 및 PowerShell 3.0 [1]
1258정성태3/3/201237363개발 환경 구성: 146. SQL Server 2012에 포함된 LocalDB 기능 소개 [3]파일 다운로드1
1257정성태3/3/201225564.NET Framework: 312. Native 스레드와 Managed 스레드 개체의 상태 관계 [1]파일 다운로드1
1256정성태3/3/201229091Math: 5. Euler's totient function - C#파일 다운로드1
1255정성태3/3/201231460Math: 4. 소수 판정 및 소인수 분해 소스 코드 - C# [1]파일 다운로드1
1254정성태3/1/201226380Windows: 56. Windows 8 Consumer Preview를 사용해 보고... [1]
1253정성태3/1/201227873VS.NET IDE: 71. Visual Studio 11 Ultimate 베타 설치 [3]
1252정성태3/1/201225246Windows: 55. 윈도우 8 베타 설치 과정 [1]
1251정성태2/27/201229191VC++: 60. C/C++ Native 스레드 콜 스택 덤프를 얻는 공개 라이브러리 [2]파일 다운로드1
1250정성태2/27/201231317VC++: 59. C/C++ 프로젝트 빌드 속도 개선 - UnityBuild를 아세요? [3]
1249정성태2/26/201230984.NET Framework: 31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5) - ICorDebug 인터페이스 사용법 [2]파일 다운로드3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