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Web.config이 적용되지 않는 프로젝트에서 Razor 템플릿 파일의 C# 컴파일러 버전 제어

재미있는 질문이 있군요. ^^

Nancy + Razor 사용시 cshtml의 IntelliSense 및 참조 오류
; https://www.sysnet.pe.kr/3/0/3589
; https://www.sysnet.pe.kr/3/0/3590

정리하면, Console 프로젝트 유형에 cshtml 파일을 추가한 후 편집 모드로 여는 경우 인텔리센스의 기준 컴파일러가 2.0이라는 것입니다.

재현은 https://www.sysnet.pe.kr/3/0/3590 글에 첨부된 NancyRazorTest.zip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포함된 TestPage.cshtml에 다음과 같이 람다 구문을 써보면,

@*Object등 기본적으로 참조되어야 하는 어셈블리가 참조가 되지 않아 오류가 발생합니다.*@
@inherits Nancy.ViewEngines.Razor.NancyRazorViewBase

@{ 
    //마찬가지로 System.String 이 참조가 되지 않아 오류가 발생합니다.
    Layout = "/Manage/_Layout.cshtml";

    Func<int> func = () => 5;
    func();
}

<!DOCTYPE html>

<html lang="en"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meta charset="utf-8" />
    <title></title>
</head>
<body>

@section footer
{
    @*람다 관련된 오류가 발생합니다.*@
}

</body>
</html>

Visual Studio 편집기에서 컴파일 오류임을 표시하는 붉은 색 물결선이 밑줄로 추가되고 "Error List" 창에 C# 2 컴파일러가 적용되었음을 알리는 오류 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azor_cs2_1.png

CS8023  Feature 'lambda expression' is not available in C# 2.  Please use language version 3 or greater.

저도 모르겠습니다. ^^ 단지, 웹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 system.web 설정에서 compilation[@targetFramework] 속성에 지정된 C# 컴파일러가 적용된다는 원칙에 따라 한번 시도를 해봤습니다.

따라서, app.config에 system.web 설정을 다음과 같이 수작업으로 추가했습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 ...생략... -->
    
    <system.web>
        <compilation debug="true" targetFramework="4.0" />
    </system.web>
    
    <!-- ...생략... -->

</configuration>

오호~~~ 다행이군요. 위와 같이 한 후 .cshtml 파일을 처음 열면 바로 적용이 됩니다. (위의 설정을 하기 전에 .cshtml 파일을 열었다면 바로 적용이 안되므로 비주얼 스튜디오를 새로 시작해야 합니다.)

그리하여 아래와 같이 컴파일 오류를 나타내는 붉은색 밑줄이 없어졌습니다. ^^

razor_cs2_2.png




그런데, 위의 화면을 보면 여전히 "Error List"에 "The type or namespace name 'Linq' does not exist in the namespace 'System' (are you missing an assembly reference?)"와 같은 오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이것도 compilation 태그에 참조 어셈블리를 추가하는 것으로 해결해 줄 수 있습니다.

  <system.web>
    <compilation debug="true" targetFramework="4.0">
      <assemblies>
        <add assembly="System.Core, Version=4.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31BF3856AD364E35" />
      </assemblies>
    </compilation>
  </system.web>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3/201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5-08-13 03시25분
[spowner] 감사합니다. 잘~ 됩니다. ^^
[guest]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21정성태1/31/201424570.NET Framework: 420. 베트남의 11학년(한국의 고2)이 45분만에 푼다는 알고리즘 문제파일 다운로드1
1620정성태1/30/201435063.NET Framework: 419. C# - BigDecimal파일 다운로드1
1619정성태1/30/201431440VS.NET IDE: 85. T4를 이용한 INotifyPropertyChanged 코드 자동 생성파일 다운로드1
1618정성태1/29/201447039Linux: 2. 우분투에서 Active Directory 계정을 이용한 파일 공유
1617정성태1/29/201428670.NET Framework: 418. Thread.Abort 호출의 hang 현상 [1]
1616정성태1/29/201429498디버깅 기술: 63. windbg 디버깅 사례: AppDomain 간의 static 변수 사용으로 인한 crash
1615정성태1/29/201430966.NET Framework: 417. WPF WebBrowser 컨트롤에서 SHDocVw.IWebBrowser2 인터페이스를 구하는 방법 및 순수 WPF 웹 브라우저 컨트롤 소개
1614정성태1/29/201428080.NET Framework: 416. System.Net.Sockets.NetworkStream이 Thread-safe할까?파일 다운로드1
1613정성태1/29/201429740.NET Framework: 415. IIS 작업자 프로세스 재생(recycle)하는 방법 [1]
1612정성태1/29/201426187오류 유형: 219.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Skydrive에 공유된 경우
1611정성태1/27/201458787.NET Framework: 414. C# - 컴퓨터에서 알아낼 수 있는 고윳값 정리 [3]파일 다운로드1
1610정성태1/26/201441947.NET Framework: 413. C# - chromiumembedded 사용 [11]파일 다운로드1
1609정성태1/26/201425031오류 유형: 218. wsDualHttpBinding + Windows Server 2003인 경우 발생하는 오류
1608정성태1/26/201430716.NET Framework: 412. HttpContext.Current를 통해 이해하는 CallContext와 ExecutionContext [4]
1607정성태1/26/201430303.NET Framework: 411. 유니코드의 "compatibility character"가 뭘까요? [4]파일 다운로드1
1606정성태1/25/201428519오류 유형: 217. 델 베뉴 스타일러스 관련 업데이트 오류 - 5830_Firmware_X267N_WN_1.0.4.1_A01.EXE
1605정성태1/23/201425206개발 환경 구성: 212. Visual Studio Online과 "Monaco" 서비스 연동
1604정성태1/23/201425627오류 유형: 216. 윈도우 서버 백업 - Hyper-V 가상 머신이 백업되지 않는 경우 (2)
1603정성태1/23/201437342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1]
1602정성태1/22/201427866디버깅 기술: 62. windbg - 사용자 모드 원격 디버깅
1601정성태1/22/201431852오류 유형: 215. windbg - Symbol file could not be found. Defaulted to export symbols
1600정성태1/19/201428153.NET Framework: 410.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을 Paralle.For와 함께? [1]파일 다운로드1
1599정성태1/18/201436185.NET Framework: 409.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598정성태1/17/201430023디버깅 기술: 61.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
1597정성태1/17/201428371Phone: 9. Xamarin Android에 구글 AdMob 사용하는 방법 [1]
1596정성태1/17/201426502오류 유형: 214. Local SYSTEM 계정으로 실행된 IE에서 다운로드가 안 되는 문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