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Web.config이 적용되지 않는 프로젝트에서 Razor 템플릿 파일의 C# 컴파일러 버전 제어

재미있는 질문이 있군요. ^^

Nancy + Razor 사용시 cshtml의 IntelliSense 및 참조 오류
; https://www.sysnet.pe.kr/3/0/3589
; https://www.sysnet.pe.kr/3/0/3590

정리하면, Console 프로젝트 유형에 cshtml 파일을 추가한 후 편집 모드로 여는 경우 인텔리센스의 기준 컴파일러가 2.0이라는 것입니다.

재현은 https://www.sysnet.pe.kr/3/0/3590 글에 첨부된 NancyRazorTest.zip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포함된 TestPage.cshtml에 다음과 같이 람다 구문을 써보면,

@*Object등 기본적으로 참조되어야 하는 어셈블리가 참조가 되지 않아 오류가 발생합니다.*@
@inherits Nancy.ViewEngines.Razor.NancyRazorViewBase

@{ 
    //마찬가지로 System.String 이 참조가 되지 않아 오류가 발생합니다.
    Layout = "/Manage/_Layout.cshtml";

    Func<int> func = () => 5;
    func();
}

<!DOCTYPE html>

<html lang="en"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meta charset="utf-8" />
    <title></title>
</head>
<body>

@section footer
{
    @*람다 관련된 오류가 발생합니다.*@
}

</body>
</html>

Visual Studio 편집기에서 컴파일 오류임을 표시하는 붉은 색 물결선이 밑줄로 추가되고 "Error List" 창에 C# 2 컴파일러가 적용되었음을 알리는 오류 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azor_cs2_1.png

CS8023  Feature 'lambda expression' is not available in C# 2.  Please use language version 3 or greater.

저도 모르겠습니다. ^^ 단지, 웹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 system.web 설정에서 compilation[@targetFramework] 속성에 지정된 C# 컴파일러가 적용된다는 원칙에 따라 한번 시도를 해봤습니다.

따라서, app.config에 system.web 설정을 다음과 같이 수작업으로 추가했습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 ...생략... -->
    
    <system.web>
        <compilation debug="true" targetFramework="4.0" />
    </system.web>
    
    <!-- ...생략... -->

</configuration>

오호~~~ 다행이군요. 위와 같이 한 후 .cshtml 파일을 처음 열면 바로 적용이 됩니다. (위의 설정을 하기 전에 .cshtml 파일을 열었다면 바로 적용이 안되므로 비주얼 스튜디오를 새로 시작해야 합니다.)

그리하여 아래와 같이 컴파일 오류를 나타내는 붉은색 밑줄이 없어졌습니다. ^^

razor_cs2_2.png




그런데, 위의 화면을 보면 여전히 "Error List"에 "The type or namespace name 'Linq' does not exist in the namespace 'System' (are you missing an assembly reference?)"와 같은 오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이것도 compilation 태그에 참조 어셈블리를 추가하는 것으로 해결해 줄 수 있습니다.

  <system.web>
    <compilation debug="true" targetFramework="4.0">
      <assemblies>
        <add assembly="System.Core, Version=4.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31BF3856AD364E35" />
      </assemblies>
    </compilation>
  </system.web>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3/201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5-08-13 03시25분
[spowner] 감사합니다. 잘~ 됩니다. ^^
[guest]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96정성태1/17/201426441오류 유형: 214. Local SYSTEM 계정으로 실행된 IE에서 다운로드가 안 되는 문제
1595정성태1/16/201424204오류 유형: 213. attrib - Not resetting system file
1594정성태1/15/201426453오류 유형: 212. 마이크로소프트 라이브 계정 로그인 실패하는 경우
1593정성태1/14/201424814오류 유형: 211.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IIS Express에서 디버깅할 때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오류 발생
1592정성태1/14/201424097오류 유형: 210. 2대의 AD가 있는 경우 도메인에 컴퓨터 추가를 실패한다면? [1]
1591정성태1/14/201427113오류 유형: 209. DebugDiag: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version...].dll
1590정성태1/14/201428469오류 유형: 208. VSS Writer - NTDS 오류
1589정성태1/14/201437526Windows: 85.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2]
1588정성태1/14/201433971Windows: 84. 윈도우 7/8 - 메뉴 항목이 잔상으로 남는 문제
1587정성태1/14/201430074디버깅 기술: 60.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
1586정성태1/14/201431582디버깅 기술: 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1]
1585정성태1/14/201434399VS.NET IDE: 84. Visual Studio를 이용한 파일 비교(diff)
1584정성태1/13/201436149Windows: 83. 윈도우 8 - UI가 있는 프로그램을 Local SYSTEM 권한의 세션 0 데스크톱에서 실행하는 방법
1583정성태1/13/201434615Windows: 82. 윈도우 8 - "Interactive Services Detection" 서비스 시작하는 방법 [1]
1582정성태1/12/201432998개발 환경 구성: 210. 원격 데스크톱(RDP) 접속 프로그램 - Royal TS [1]
1581정성태1/12/201434335.NET Framework: 408. 자바와 닷넷의 제네릭 차이점 - 중간 언어 및 공변/반공변 처리 [8]
1580정성태1/12/201444838.NET Framework: 40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1]
1579정성태1/12/201425949오류 유형: 207. System.ArgumentException was unhandled - Message=[net_WebHeaderInvalidControlChars]
1578정성태1/11/201438245개발 환경 구성: 209. Fiddler에서 WebSocket 통신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1]
1577정성태1/11/201430051오류 유형: 206. WriteFile Win32API 사용 시 비정상 종료 현상 [4]
1576정성태1/11/201445766Windows: 81. 긴 이름의 파일/폴더 삭제하는 법 [5]
1575정성태1/11/201425270오류 유형: 205. Exception calling "Provision" with "0" argument(s): "The timer job did not complete running within the allotted time."
1574정성태1/11/201427917오류 유형: 204. An unhandled exception ('System.Security.Cryptography.CryptographicException') occurred in OWSTIMER.EXE
1573정성태1/11/201426191오류 유형: 203. 이벤트 로그 에러 - MsiInstaller에서 Chart Controls 설치 관련 오류 발생
1572정성태1/9/201429808.NET Framework: 406. CoreLab - OraDirect .NET 사용법
1571정성태1/9/201425721.NET Framework: 405. override 메서드가 정의된 타입의 인스턴스로 base 메서드를 호출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