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314. C++의 inline asm 사용을 .NET으로 포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7

.NET Framework: 543. C++의 inline asm 사용을 .NET으로 포팅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0889




C++의 inline asm 사용을 .NET으로 포팅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예전에 한번 이에 대해 다룬 글이 있습니다.

C++의 inline asm 사용을 .NET으로 포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7

근데, 좀 번잡하군요. ^^; 가상 메모리 할당에 실행 권한까지 변경하는 작업이 너무 복잡합니다. 좀 더 간단하게 할 수 있을까요?

생각해 보니, 변경될 어셈블리 코드를 담을 만큼의 충분한 메서드 크기만 보장된다면 차라리 그것을 재활용하는 방법이 더 나을 듯 합니다. "C++의 inline asm 사용을 .NET으로 포팅하는 방법" 글에서 예제로 든 CpuId 값을 구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볼까요? ^^

일단, dummy 용도의 메서드를 하나 만드는데요. 크기는 대충 cpuid 코드를 실행할 정도만 안전하게 포함할수만 있으면 됩니다.

public unsafe static void CpuIdInfo(byte *ptr)
{
    Console.WriteLine(0);
    Console.WriteLine(1);
    Console.WriteLine(0);
    Console.WriteLine(1);
    Console.WriteLine(0);
    Console.WriteLine(1);
    Console.WriteLine(0);
    Console.WriteLine(1);
    Console.WriteLine(0);
    Console.WriteLine(1);
    Console.WriteLine(0);
    Console.WriteLine(1);
    Console.WriteLine(0);
    Console.WriteLine(1);
    Console.WriteLine(0);
    Console.WriteLine(1);
}

그다음 cpuid 호출을 하는 기계어 코드를 다음과 같이 마련해 주고,

private readonly static byte[] x86CpuIdBytes =
    {
        0x55,
        0x8B, 0xEC,
        0x53,
        0x57,

        0x33, 0xDB,
        0x8B, 0xF9, // mov edi,ecx   ; stdcall 호출 관행으로 불리기 때문에 ecx에 첫 번째 인자값이 들어 있음.
        0x33, 0xD2,
        0xB8, 0x00, 0x00, 0x00, 0x00,

        0x0F, 0xA2, // cpuid

//      0x8B, 0x7D, 0x08,            ; cdecl 호출 관행인 경우 필요한 것으로 stdcall인 경우 필요없음.

        0x89, 0x07,
        0x89, 0x5F, 0x04,
        0x89, 0x4F, 0x08,
        0x89, 0x57, 0x0C,

        0x5F,
        0x5B,

        0x5D,
        0xC3, // ret
    };

다음과 같이 GetFunctionPointer로 반환받은 위치에 기계어 코드를 덮어써주면 됩니다.

// 주의: x86 코드에서만 동작!!!!
static unsafe void Main(string[] args)
{
    byte[] cpuIdBytes = new byte[4 * 4];

    fixed(byte* idPtr = cpuIdBytes)
    {
        // CpuIdInfo(idPtr);

        RuntimeMethodHandle mh = typeof(Program).GetMethod("CpuIdInfo", BindingFlags.Static | BindingFlags.Public).MethodHandle;
        RuntimeHelpers.PrepareMethod(mh);

        IntPtr ptr = mh.GetFunctionPointer();
        int offset;

        byte* baseCodes = (byte*)ptr.ToPointer();
        byte* asmCodes;

        if (Debugger.IsAttached == true)
        {
            offset = *(int*)(baseCodes + 1);
            asmCodes = baseCodes + offset + 5; // 5byte == 0xe9 xx xx xx xx
        }
        else
        {
            asmCodes = baseCodes;
        }

        offset = 0;
        foreach (byte aByte in x86CpuIdBytes)
        {
            *(asmCodes + offset) = aByte;
            offset++;
        }

        CpuIdInfo(idPtr);
    }

    Console.WriteLine("Cpu Id: " + BitConverter.ToString(cpuIdBytes));
}

훨씬 간단하긴 하지만, GetFunctionPointer가 반환하는 기계어 코드가 디버거 유무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과 5바이트 옵셋값이 하드코딩된다는 점이 좀 그렇긴 합니다.

어쨌든, 원리를 알아두는 차원에서 그냥 읽고 이해하기만 하면 될 듯! ^^

(첨부한 코드는 위의 실습 프로젝트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75정성태7/2/201812886Math: 28. GeoGebra 기하 (5) - 선분을 n 등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74정성태7/2/201811236Math: 27. GeoGebra 기하 (4) - 선분을 n 배 늘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73정성태7/2/201811003Math: 26. GeoGebra 기하 (3) - 평행선
11572정성태7/1/201810206.NET Framework: 783. C# 컴파일러가 허용하지 않는 (유효한) 코드를 컴파일해 테스트하는 방법
11571정성태7/1/201811652.NET Framework: 782. C# - JIRA에 등록된 Project의 Version 항목 추가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70정성태7/1/201811845Math: 25. GeoGebra 기하 (2) - 임의의 선분과 특정 점을 지나는 수직선파일 다운로드1
11569정성태7/1/201811349Math: 24. GeoGebra 기하 (1) - 수직 이등분선파일 다운로드1
11568정성태7/1/201822621Math: 23. GeoGebra 기하 - 컴퍼스와 자를 이용한 작도 프로그램 [1]
11567정성태6/28/201812112.NET Framework: 781. C# - OpenCvSharp 사용 시 포인터를 이용한 속도 향상파일 다운로드1
11566정성태6/28/201817818.NET Framework: 780. C# - JIRA REST API 사용 정리 (1) Basic 인증 [4]파일 다운로드1
11565정성태6/28/201814424.NET Framework: 779. C# 7.3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 세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1564정성태6/27/201813052.NET Framework: 778. (Unity가 사용하는) 모노 런타임의 __makeref 오류
11563정성태6/27/201812218개발 환경 구성: 386. .NET Framework Native compiler 프리뷰 버전 사용법 [2]
11562정성태6/26/201811855개발 환경 구성: 385.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원격지 스크립트 COM 객체 실행 방법
11561정성태6/26/201822255.NET Framework: 777.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8]파일 다운로드1
11560정성태6/25/201813847.NET Framework: 776. C# 7.3 - 초기화 식에서 변수 사용 가능(expression variables in initializers)파일 다운로드1
11559정성태6/25/201820350개발 환경 구성: 384. 영문 설정의 Windows 10 명령행 창(cmd.exe)의 한글 지원 [6]
11558정성태6/24/201814346.NET Framework: 775. C# 7.3 - unmanaged(blittable) 제네릭 제약파일 다운로드1
11557정성태6/22/201814546.NET Framework: 774. C# - blittable 타입이란?파일 다운로드1
11556정성태6/19/201820880.NET Framework: 773. C# 7.3 - 구조체의 고정 크기를 갖는 fixed 배열 필드에 대한 직접 접근 가능 [1]파일 다운로드1
11555정성태6/18/201813390.NET Framework: 772. C# 7.3 - 사용자 정의 타입에 fixed 적용 가능(Custom fixed)파일 다운로드1
11554정성태6/17/201814437.NET Framework: 771. C# 7.3 - 자동 구현 속성에 특성 적용 가능(Attribute on backing field)
11553정성태6/15/201814850.NET Framework: 770. C# 7.3 - 개선된 메서드 선택 규칙 3가지(Improved overload candidates)파일 다운로드1
11552정성태6/15/201815836.NET Framework: 769. C# 7.3에서 개선된 문법 4개(Support == and != for tuples, Ref Reassignment, Constraints, Stackalloc initializers)파일 다운로드1
11551정성태6/14/201812991개발 환경 구성: 383. BenchmarkDotNet 사용 시 주의 사항
11550정성태6/13/201813874.NET Framework: 768. BenchmarkDotNet으로 Span<T> 성능 측정 [2]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