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569. ServicePointManager.DefaultConnectionLimit의 역할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181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ServicePointManager.DefaultConnectionLimit의 역할

지난번 글에서 ServicePointManager.DefaultConnectionLimit 값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System.Net.ServicePointManager의 DefaultConnectionLimit 속성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0927

그럼 도대체, ConnectionLimit가 어떤 역할을 하느냐... 하는 사항이 궁금할 것입니다. 그냥 간단하게는 HttpWebRequest 객체에 대한 "소켓 Connection Pooling"과 같은 의미라고 보시면 됩니다. (WebClient와 같은 객체도 결국 내부적으로 HttpWebRequest를 사용하기 때문에 같은 제약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보면, 여러분들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HttpWebRequest를 이용해 특정 웹 서버로 요청/응답을 받는 코드가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만약 스레드 2개로 HttpWebRequest를 동시에 각각 생성해 테스트하면 DefaultConnectionLimit의 값이 2인 경우 정상적으로 처리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스레드를 3개로 해서 HttpWebRequest를 3개 생성해 웹 요청을 처리하려고 하면 DefaultConnectionLimit의 값이 2인 경우 3번째 HttpWebRequest는 먼저 생성된 2개의 HttpWebRequest 중 하나의 요청이 끝나야만 동작을 하게 됩니다.

단일 스레드 위주로 돌아가는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이라면 이런 것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데, 웹 서버라면 상황이 다릅니다. 만약 default.aspx 페이지 같은 곳에서 다른 서버로 HttpWebRequest를 이용해 요청 처리를 하는 코드가 있다면 ASP.NET 2.0의 경우 "Core가 2개"라면 총 24개의 HttpWebRequest 객체만 동시에 활성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곧, default.aspx에 사용자의 요청이 24개만 동시처리되고 나머지는 스레드가 블럭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말 그런지... 한번 테스트를 해볼까요? ^^

일단, 웹 요청을 지연 처리해줄 간단한 웹 서버를 소켓 프로그램으로 만들겠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IO;
using System.Net;
using System.Net.Sockets;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SlowHttpServer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using (Socket serverSocket = new Socket(AddressFamily.InterNetwork, SocketType.Stream, ProtocolType.Tcp))
            {
                serverSocket.Bind(new IPEndPoint(IPAddress.Any, 8035));
                serverSocket.Listen(5);

                while (true)
                {
                    Socket socket = serverSocket.Accept();
                    ThreadPool.QueueUserWorkItem(processChildSocket, socket);
                }
            }
        }

        static int _count = 0;

        private static void processChildSocket(object state)
        {
            int idx = Interlocked.Increment(ref _count);

            using (Socket child = state as Socket)
            {
                byte[] buf = new byte[8192];
                int len = child.Receive(buf);

                string txt = Encoding.UTF8.GetString(buf, 0, len);
                Console.WriteLine("[" + idx + "]" + DateTime.Now + Environment.NewLine + txt);

                int delay = GetDelayTime(txt);

                byte[] responseBuf = GetResponseData(delay);

                child.Send(responseBuf);
                child.Close();
            }
        }

        private static int GetDelayTime(string txt)
        {
            StringReader sr = new StringReader(txt);
            int sleep = 0;
            while (true)
            {
                string line = sr.ReadLine();

                if (line == null)
                {
                    break;
                }

                int pos = line.IndexOf("Delay");
                if (pos == -1)
                {
                    continue;
                }

                int colonPos = line.IndexOf(":");
                if (colonPos == -1)
                {
                    continue;
                }

                sleep = Int32.Parse(line.Substring(colonPos + 1));
            }

            return sleep;
        }

        private static byte[] GetResponseData(int delay)
        {
            DateTime now = DateTime.Now;
            Thread.Sleep(delay);
            DateTime after = DateTime.Now;

            string header = "HTTP/1.1 200 OK\r\n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r\n\r\n";
            string body = "<html><body><mark>" + now + "<br />\r\n" + after + "<br />\r\n HTML</mark> 웹 페이지입니다.</body></html>";
            byte[] respBuf = Encoding.UTF8.GetBytes(header + body);
            return respBuf;
        }
    }
}

위의 프로그램은 HTTP 헤더에 Delay 키를 포함해 전송해주면 그것의 값만큼 지연을 시켜 응답을 보냅니다. 이제 클라이언트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고 다음과 같이 동시에 3개의 요청을 보내는 코드를 추가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IO;
using System.Net;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class Program
    {
        static string _url = "http://test.mypc.com:8035";
        static int _count = 0;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DefaultConnectionLimit: " + System.Net.ServicePointManager.DefaultConnectionLimit);
            Console.WriteLine("DefaultPersistentConnectionLimit: " + System.Net.ServicePointManager.DefaultPersistentConnectionLimit);

            Console.WriteLine();
            Console.WriteLine();
            Console.WriteLine();

            ThreadPool.SetMinThreads(100, 100);

            int reqCount = 3;

            for (int i = 0; i < reqCount; i ++)
            {
                ThreadPool.QueueUserWorkItem(requestHttp, null);
            }

            Console.ReadLine();
        }

        private static void requestHttp(object state)
        {
            int idx = Interlocked.Increment(ref _count);
            Thread.CurrentThread.Name = string.Format("request #{0}", idx);

            HttpWebRequest req = HttpWebRequest.CreateHttp(_url);
            {
                req.Headers.Add("Delay", "5000");
                req.ServicePoint.Expect100Continue = false;

                Console.WriteLine(DateTime.Now + " Request: " + idx + " - Begin");
                HttpWebResponse resp = req.GetResponse() as HttpWebResponse;
                Console.WriteLine(DateTime.Now + " Request: " + idx + " - End");

                WriteLine(DateTime.Now + " Request: " + idx);

                using (StreamReader sr = new StreamReader(resp.GetResponseStream()))
                {
                    sr.ReadToEnd();
                }
            }
        }
    }
}

실행하기 전,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파일에 "test.mypc.com" 을 "127.0.0.1"로 등록해 줍니다.

127.0.0.1 test.mypc.com

이렇게 하고 실행하면 서버는 다음과 같이 출력하고,

C:\...\SlowHttpServer\bin\Debug>SlowHttpServer.exe
[2]2016-03-28 오후 11:46:43
GET / HTTP/1.1
Delay: 5000
Host: test.mypc.com:8035
Connection: Keep-Alive


[1]2016-03-28 오후 11:46:43
GET / HTTP/1.1
Delay: 5000
Host: test.mypc.com:8035
Connection: Keep-Alive


[3]2016-03-28 오후 11:46:48
GET / HTTP/1.1
Delay: 5000
Host: test.mypc.com:8035

클라이언트는 이런 식으로 출력합니다.

DefaultConnectionLimit: 2
DefaultPersistentConnectionLimit: 2


2016-03-28 오후 11:46:43 Request: 1 - Begin
2016-03-28 오후 11:46:43 Request: 2 - Begin
2016-03-28 오후 11:46:43 Request: 3 - Begin
2016-03-28 오후 11:46:48 Request: 3 - End
2016-03-28 오후 11:46:48 Request: 1 - End
2016-03-28 오후 11:46:53 Request: 2 - End

먼저 클라이언트의 출력 결과를 보면, 1번과 3번 스레드의 HttpWebRequest가 End가 되고 나서야 2번 스레드의 HttpWebRequest가 5초 후에 완료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서버 측의 로그에는 11:46:43초에 2개의 요청을 받고 5초 동안 지연된 다음 응답을 완료했고 세 번째 요청 처리를 11:46:48초에 한 것으로 나옵니다.

즉, 2개의 요청만 동시 처리되고 1개의 요청은 DefaultConnectionLimit == 2의 설정으로 인해 동시 처리되지 않은 것입니다. (일반적인 닷넷 콘솔 프로그램의 DefaultConnectionLimit의 기본값이 2입니다.)




자... 이제 그럼 ServicePoint에 대해 알아볼 차례입니다. 사실 단어가 좀 낯설어서 그렇지, ServicePoint 하나는 고유 URL 하나에 대응해 생성하는 객체입니다. 가령, HttpWebRequest로 "http://test.mypc.com:8035", "http://pc.mytest.com:8035", "http://my.pc.com:8035" 3개에 대해 요청을 발생시키면 각각의 URL 마다 ServicePoint 객체가 생성되고 이것들 역시 Pool 형태로 ServicePointManager에 의해 관리가 됩니다.

ServicePointManager가 생성할 수 있는 최대 ServicePoint의 수는 "System.Net.ServicePointManager.MaxServicePoints" 속성을 보면 되는데, 기본값은 0 이어서 닷넷 프로그램에서 생성할 수 있는 ServicePoint의 수에 제한이 없습니다. 그런데, 테스트를 위해 이 값을 1로 주면 어떻게 될까요? 이 상태에서 다음과 같은 요청을 (동시에 또는 차례대로) 보내면,

HttpWebRequest: http://test.mypc.com:8035
HttpWebRequest: http://test.mypc.com:8035
HttpWebRequest: http://test.mypc.com:8035

ServicePointManager는 1개의 ServicePoint를 생성하고, 그 객체 안에서 3개의 연결을 모두 처리합니다. 반면, 다음과 같이 요청을 보내면,

HttpWebRequest: http://test.mypc.com:8035
HttpWebRequest: http://test.mypc.com:8035
HttpWebRequest: http://pc.mytest.com:8035

2번째 요청까지는 ServicePointManager가 생성한 1개의 ServicePoint에서 처리하지만, 3번째 요청에서 전혀 다른 URL이 들어와서 그에 대한 ServicePoint를 생성하려 하지만 ServicePointManager.MaxServicePoints == 1의 제약에 걸려 다음과 같은 예외를 던지고 맙니다.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was unhandled
  HResult=-2146233079
  Message=The maximum number of service points was exceeded.
  Source=System
  StackTrace:
       at System.Net.ServicePointManager.FindServicePointHelper(Uri address, Boolean isProxyServicePoint)
       at System.Net.ServicePointManager.FindServicePoint(Uri address, IWebProxy proxy, ProxyChain& chain, HttpAbortDelegate& abortDelegate, Int32& abortState)
       at System.Net.HttpWebRequest.FindServicePoint(Boolean forceFind)
       at System.Net.HttpWebRequest.GetResponse()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requestHttp(Object state) in C:\...\ConsoleApplication1\Program.cs:line 81
       at System.Threading.QueueUserWorkItemCallback.WaitCallback_Context(Object state)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Internal(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Boolean preserveSyncCtx)
       at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ExecutionContext executionContext, ContextCallback callback, Object state, Boolean preserveSyncCtx)
       at System.Threading.QueueUserWorkItemCallback.System.Threading.IThreadPoolWorkItem.ExecuteWorkItem()
       at System.Threading.ThreadPoolWorkQueue.Dispatch()
       at System.Threading._ThreadPoolWaitCallback.PerformWaitCallback()
  InnerException: 

현실적으로 봤을 때, 대부분의 닷넷 개발자들이 ServicePointManager.MaxServicePoints의 수치를 조정하지 않기 때문에 사실 저 예외를 만날 일은 거의 없습니다.




정리해 보면, ServicePointManager는 고유 URL 마다 1개의 ServicePoint를 생성합니다. 그리고 그 각각의 ServicePoint는 내부에 N 개의 연결을 관리합니다. 즉, 다음과 같이 1:N의 관계입니다.

ServicePointManager 1 : N ServicePoint
ServicePoint 1 : N Connection

(첨부한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00정성태9/10/201721145.NET Framework: 681. dotnet.exe - run, exec, build, restore, publish 차이점 [3]
11299정성태9/9/201719803개발 환경 구성: 330. Hyper-V VM의 Internal Network를 Private 유형으로 만드는 방법
11298정성태9/8/201723138VC++: 119. EnumProcesses / EnumProcessModules API 사용 시 주의점 [1]
11297정성태9/8/201719799디버깅 기술: 96. windbg - 풀 덤프에 포함된 모든 닷넷 모듈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11296정성태9/8/201722931웹: 36. Edge - "이 웹 사이트는 이전 기술에서 실행되며 Internet Explorer에서만 작동합니다." 끄는 방법
11295정성태9/7/201720417디버깅 기술: 95. Windbg - .foreach 사용법
11294정성태9/4/201720083개발 환경 구성: 329.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 빌드 방법 [1]
11293정성태9/4/201720676개발 환경 구성: 328. Visual Studio(devenv.exe)를 배치 파일(.bat)을 통해 실행하는 방법
11292정성태9/4/201718881오류 유형: 419. Cannot connect to WMI provider - Invalid class [0x80041010]
11291정성태9/3/201720710개발 환경 구성: 327. 아파치 서버 2.4를 위한 mod_aspdotnet 마이그레이션
11290정성태9/3/201723960개발 환경 구성: 326. 아파치 서버에서 ASP.NET을 실행하는 mod_aspdotnet 모듈 [2]
11289정성태9/3/201721619개발 환경 구성: 325. GAC에 어셈블리 등록을 위해 gacutil.exe을 사용하는 경우 주의 사항
11288정성태9/3/201718410개발 환경 구성: 324. 윈도우용 XAMPP의 아파치 서버 구성 방법
11287정성태9/1/201727590.NET Framework: 680. C# - 작업자(Worker) 스레드와 UI 스레드 [11]
11286정성태8/28/201714976기타: 67. App Privacy Policy
11285정성태8/28/201723509.NET Framework: 679. C# - 개인 키 보안의 SFTP를 이용한 파일 업로드파일 다운로드1
11284정성태8/27/201721530.NET Framework: 678. 데스크톱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서 UWP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비디오 장치 열람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283정성태8/27/201717311오류 유형: 418. CSS3117: @font-face failed cross-origin request. Resource access is restricted.
11282정성태8/26/201719751Math: 22. 행렬로 바라보는 피보나치 수열
11281정성태8/26/201721575.NET Framework: 677. Visual Studio 2017 - NuGet 패키지를 직접 참조하는 PackageReference 지원 [2]
11280정성태8/24/201718580디버깅 기술: 94. windbg - 풀 덤프에 포함된 모든 모듈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11279정성태8/23/201730181.NET Framework: 676. C# Thread가 Running 상태인지 아는 방법
11278정성태8/23/201718395오류 유형: 417. TFS - Warning - Unable to refresh ... because you have a pending edit. [1]
11277정성태8/23/201719642오류 유형: 416. msbuild - error MSB4062: The "TransformXml" task could not be loaded from the assembly
11276정성태8/23/201723918.NET Framework: 675. C# - (파일) 확장자와 연결된 실행 파일 경로 찾기 [2]파일 다운로드1
11275정성태8/23/201732933개발 환경 구성: 323. Visual Studio 설치 없이 빌드 환경 구성 - Visual Studio 2017용 Build Tools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