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6개 있습니다.) C# - 스레드 선호도(Thread Affinity) 지정하는 방법 다음의 질문이 있군요. ^^ 멀티코어 스레드 문의 ; https://www.sysnet.pe.kr/3/0/4712 C#에서 Thread에 대해 CPU 선호도를 지정하는 방법은 간단하게 관련 Win32 API에 대한 PInvoke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SetThreadAffinityMask funct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winbase/nf-winbase-setthreadaffinitymask SetThreadIdealProcessor funct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processthreadsapi/nf-processthreadsapi-setthreadidealprocessor 하지만, 가능하다면 닷넷 BCL 레벨에서 끝내는 것이 더 좋겠죠? ^^ 그래서 다음과 같이 코딩을 해줄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ead t1 = new Thread((e) => { SetIdealProcessor(3); Console.WriteLine(AppDomain.GetCurrentThreadId()); Console.ReadLine(); }); t1.Start(); } // 이 코드는 닷넷 프레임워크 환경에서 테스트한 것입니다. (참고: 닷넷 런타임에 따라 달라지는 AppDomain.GetCurrentThreadId의 반환값) static void SetIdealProcessor(int cpuNumber) { if (cpuNumber >= Environment.ProcessorCount) { cpuNumber = 0; } foreach (ProcessThread pthread in Process.GetCurrentProcess().Threads) { if (pthread.Id == AppDomain.GetCurrentThreadId()) { // Ideal 설정만 필요하다면? // pthread.IdealProcessor = cpuNumber; // Affinity 설정까지 필요하다면? pthread.ProcessorAffinity = new IntPtr(1 << (cpuNumber)); break; } } } } } 위의 코드를 수행하고, 화면에 출력된 스레드 ID를 Process Explorer에서 찾아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첨부한 코드는 이 글의 예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디버깅 기술: 77. windbg의 콜스택 함수 인자를 쉽게 확인하는 방법[이전 글] VC++: 96. C/C++ 식 평가 - printf("%d %d %d\n", a, a++, a); [연관 글] 멀티코어 스레드 문의.NET Framework: 825.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10 - Threads, Tasks, asynchronous code and othersSetThreadAffinityMask를 이용한 쓰레드 지정하는 방법에 대해 궁금합니다..NET Framework: 1162. C# - 인텔 CPU의 P-Core와 E-Core를 구분하는 방법.NET Framework: 1194. C# - IdealProcessor와 ProcessorAffinity의 차이점.NET Framework: 1195. C# - Thread.Yield와 Thread.Sleep(0)의 차이점(?) [최초 등록일: 4/5/2016] [최종 수정일: 11/24/2022]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6-04-06 04시31분 [차가워] 안녕하세요스레드스타트 하기 전에 프로세스를 먼저 지정해야 하는건가요? [guest] 2016-04-06 04시41분 [차가워] AppDomain.GetCurrentThreadId() <-- 이거는 사용되지 않습니다라는 오류 문구가 나오는데 그냥 무시하면 되는건가요?닷넷 4.5에서 위 코드를 사용해 볼가해서요감사합니다 [guest] 2016-04-06 08시46분 [차가워] AppDomain.GetCurrentThreadId() <-- 대신에 Process.GetCurrentProcess().Threads[0].Id <-- 이거를 사용하면 될거 같네요 [guest] 2016-04-06 10시41분 스레드 구분이 가능하다면 Process.GetCurrentProcess().Threads[...n...].Id 를 쓰는 것이 더 좋습니다. AppDomain.GetCurrentThreadId의 경우 4.5에서도 지원됩니다. (단지 obsolete 경고가 뜨는데 현재까지는 무시할 수 있습니다.) 정성태 2016-04-06 10시43분 "스레드스타트 하기 전에 프로세스를 먼저 지정해야 하는건가요?" 질문에 대한 해답은 이미 코드에 있습니다. 정성태 2016-04-06 04시50분 [차가워] 정말 감사합니다 구벅 [guest] 2019-03-12 04시50분 [ㅇㅇ] IdealProcessor라는 것이 CPU에 코어와 대응되는 개념인가요? CPU가 4코어짜리면, IdealProcessor를 3으로 설정하면 4번쨰코어에 스레드가 할당이 되는 것인가요? [guest] 2019-03-12 07시24분 넵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712정성태7/15/202116127개발 환경 구성: 579. Azure - 리눅스 호스팅의 Site Extension 제작 방법12711정성태7/15/202116131개발 환경 구성: 578. Azure - Java Web App Service를 위한 Site Extension 제작 방법12710정성태7/15/202118764개발 환경 구성: 577. MQTT - emqx.io 서비스 소개12709정성태7/14/202114290Linux: 42. 실행 중인 docker 컨테이너에 대한 구동 시점의 docker run 명령어를 확인하는 방법12708정성태7/14/202118508Linux: 41. 리눅스 환경에서 디스크 용량 부족 시 원인 분석 방법12707정성태7/14/202185733오류 유형: 734. MySQL - Authentication method 'caching_sha2_password' not supported by any of the available plugins.12706정성태7/14/202116919.NET Framework: 1076. C# - AsyncLocal 기능을 CallContext만으로 구현하는 방법 [2]112705정성태7/13/202117309VS.NET IDE: 168.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 두 번째 이야기12704정성태7/12/202116096개발 환경 구성: 576. Azure VM의 서비스를 Azure Web App Service에서만 접근하도록 NSG 설정을 제한하는 방법12703정성태7/11/202121469개발 환경 구성: 575. Azure VM에 (ICMP) ping을 허용하는 방법12702정성태7/11/202117188오류 유형: 733. TaskScheduler에 등록된 wacs.exe의 Let's Encrypt 인증서 업데이트 문제12701정성태7/9/202116730.NET Framework: 1075. C# - ThreadPool의 스레드는 반환 시 ThreadStatic과 AsyncLocal 값이 초기화 될까요?112700정성태7/8/202117164.NET Framework: 1074. RuntimeType의 메모리 누수? [1]12699정성태7/8/202115698VS.NET IDE: 167. Visual Studio 디버깅 중 GC Heap 상태를 보여주는 "Show Diagnostic Tools" 메뉴 사용법12698정성태7/7/202119955오류 유형: 732. Windows 11 업데이트 시 3% 또는 0%에서 다운로드가 멈춘 경우12697정성태7/7/202115022개발 환경 구성: 574. Windows 11 (Insider Preview) 설치하는 방법12696정성태7/6/202115972VC++: 146. 운영체제의 스레드 문맥 교환(Context Switch)을 유사하게 구현하는 방법212695정성태7/3/202116011VC++: 145. C 언어의 setjmp/longjmp 기능을 Thread Context를 이용해 유사하게 구현하는 방법112694정성태7/2/202117948Java: 24. Azure - Spring Boot 앱을 Java SE(Embedded Web Server)로 호스팅 시 로그 파일 남기는 방법 [1]12693정성태6/30/202114886오류 유형: 731. Azure Web App Site Extension - Failed to install web app extension [...]. {1}12692정성태6/30/202115375디버깅 기술: 180. Azure - Web App의 비정상 종료 시 남겨지는 로그 확인12691정성태6/30/202115623개발 환경 구성: 573. 테스트 용도이지만 테스트에 적합하지 않은 Azure D1 공유(shared) 요금제12690정성태6/28/202116633Java: 23. Azure - 자바(Java)로 만드는 Web App Service - Tomcat 호스팅12689정성태6/25/202118340오류 유형: 730. Windows Forms 디자이너 - The class Form1 can be designed, but is not the first class in the file. [1]12688정성태6/24/202117655.NET Framework: 1073. C# - JSON 역/직렬화 시 리플렉션 손실을 없애는 JsonSrcGen [2]112687정성태6/22/202114977오류 유형: 729. Invalid data: Invalid artifact, java se app service only supports .jar artifact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