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98. 원본과 대상 버퍼가 같은 경우 memcpy, wmemcpy 주의점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579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원본과 대상 버퍼가 같은 경우 memcpy, wmemcpy 주의점

Visual C++로 다음의 코드를 컴파일해 실행하면,

#include <iostream>
#include <string.h>

int main()
{
  char word[6] = {'a', 'b', 'c', 'd', 'e', '\0' };
  
  memcpy(word, word + 1, 5);
  
  std::cout << word;
  
  return 0;
}

x86/x64, Debug/Release에 상관없이 "bcde"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반면 다음의 사이트에서 컴파일해 보면,

C++ Shell
; http://cpp.sh/

C++ 최적화 옵션에 따라 결과가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 C++14, Optiminzation level == None

bdee

// C++14, Optiminzation level != None

bcde

찾아보니, 이런 불확실성이 문서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memcpy, memcpy_s
; http://en.cppreference.com/w/c/string/byte/memcpy

If the objects overlap, the behavior is undefined. 

MSDN 문서도 같은 설명을 포함합니다.

memcpy, wmemcpy
; https://docs.microsoft.com/en-us/cpp/c-runtime-library/reference/memcpy-wmemcpy

 If the source and destination overlap, the behavior of memcpy is undefined. Use memmove to handle overlapping regions.

그나마 더 친절하군요. ^^ 이런 경우라면 대신 memmove를 쓰라고 안내까지 합니다.

memmove, wmemmove
; https://docs.microsoft.com/en-us/cpp/c-runtime-library/reference/memmove-wmemmove

If some regions of the source area and the destination overlap, both functions ensure that the original source bytes in the overlapping region are copied before being overwritten.

따라서, 특별히 대단한 성능이 요구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안전하게 memmove를 쓰는 것이 더 권장됩니다.

근래에 두 함수 모두 똑같은 기능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고 하는 의견이 있는데, 그건 Visual C++에 한해서일 뿐 다른 C/C++ 컴파일러로 가면 역시나 그 결과는 보장할 수 없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70정성태6/5/200619470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6.1.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73정성태6/6/200622268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6.2. 두번째 방법 - HTTPS 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67정성태6/4/200621733Team Foundation Server: 5. 인터넷으로 Team Server 접근 [2]
266정성태6/8/200618123오류 유형: 7. [설치] mpoai9.dll 관련 오류
265정성태6/1/200625794디버깅 기술: 3. 원격 컴퓨터 디버깅 - VPC 설정
314정성태8/11/200623075    답변글 디버깅 기술: 3.1. Managed 원격 디버깅과 WinDBG 원격 디버깅
264정성태6/1/200632206오류 유형: 6. [VC++ 컴파일] already defined in ntdll.lib(ntdll.dll)
263정성태6/1/200633044디버깅 기술: 2. 커널 구조체 살펴보기 [5]
262정성태6/1/200625701오류 유형: 5. [설치] WinFX Beta2 - 설치시 문제점 해결
261정성태6/1/200621832웹: 3. IIS 6.0 - AppPool을 활용하여 실 서버(운영 서버)에서 디버깅
258정성태6/1/200629662디버깅 기술: 1. 디버깅 방법 - CLR 프로파일러 [1]파일 다운로드1
274정성태6/7/200622672    답변글 디버깅 기술: 1.1. 디버깅 방법 - CLR 프로파일러 ( on Vista )
254정성태6/1/200618925개발 환경 구성: 2. VPC에 Vista 설치하는 방법 [2]
255정성태6/1/20061882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2.1. msconfig 설정과 Windows Activation
259정성태6/1/200617717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2.2. Vista VPC에 터미널 서비스 - 원격 접속
253정성태6/1/200615884기타: 14. .NET 2.0 이 지원되는 NDoc 2.0 을 배포합니다.
251정성태6/1/200619020오류 유형: 4. [OS 지원 API] SHParseDisplayName과 Windows 2000
252정성태6/1/200618633    답변글 오류 유형: 4.1. NET BCL 에서 제공되는 FolderBrowserDialog [2]
249정성태6/1/200618408.NET Framework: 71. VB.NET 이외의 언어에서 My 네임스페이스 사용
250정성태6/1/200621221    답변글 .NET Framework: 71.1. VB.NET 이외의 언어에서 My 네임스페이스 사용
248정성태6/1/200619546기타: 13. Code Center Premium에서 Win32 API 소스 찾기
245정성태6/1/200626956오류 유형: 3. [C# / VC++] error C2146: syntax error : missing ';' before identifier 'GetType'
247정성태5/3/200624196    답변글 .NET Framework: 3.1. Interface를 사용하면. [1]
242정성태6/1/200624753오류 유형: 2. [COM+] CreateObject 와 HTTP 500 - Internal server error
243정성태6/1/200622178    답변글 오류 유형: 2.1. [COM+] Resolve Partial Assembly failed for Microsoft.VC80.CRT.mui
244정성태6/1/200623621    답변글 오류 유형: 2.2. [COM+] Server object error 'ASP 0178 : 80070005'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