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1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612. UWP(유니버설 윈도우 플랫폼) 앱에서 콜백 함수 내에서의 UI 요소 접근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71

.NET Framework: 680. C# - 작업자(Worker) 스레드와 UI 스레드
; https://www.sysnet.pe.kr/2/0/11287

.NET Framework: 777.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 https://www.sysnet.pe.kr/2/0/11561

.NET Framework: 805. 두 개의 윈도우를 각각 실행하는 방법(Windows Forms, WPF)
; https://www.sysnet.pe.kr/2/0/11802

.NET Framework: 886. C# - Console 응용 프로그램에서 UI 스레드 구현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139

.NET Framework: 911. Console/Service Application을 위한 SynchronizationContext - AsyncContext
; https://www.sysnet.pe.kr/2/0/12231

.NET Framework: 1022.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537

.NET Framework: 2076. C# - SynchronizationContext 기본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3190

.NET Framework: 2077. C# - 직접 만들어 보는 SynchronizationContext
; https://www.sysnet.pe.kr/2/0/13191

닷넷: 2278. WPF - 스레드에 종속되는 DependencyObject
; https://www.sysnet.pe.kr/2/0/13682

닷넷: 2298. C# - Console 프로젝트에서의 await 대상으로 Main 스레드 활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743




아래와 같은 질문이 있군요. ^^

UWP 앱에서 textBox로 클라에서 받은 값을 나타내고 싶은데 안되고 있습니다.
; https://www.sysnet.pe.kr/3/0/3659

질문자가 "익셉션 처리를 해봤는데, 에러가 안 났다"라고 쓴 것을 철석같이 믿었더니 질문/답변 란이 좀 복잡해졌습니다. ^^

일단, 원칙은 다음과 같이 간단합니다.

UI 요소를 접근하는 스레드는 반드시 그것을 생성한 스레드여야 합니다. 이것은 윈폼이든, WPF든, UWP 앱이든 모두 동일합니다. 만약 해당 UI 요소를 생성하지 않은 다른 스레드에서 접근하고 싶다면, 그 코드를 UI 요소를 생성한 스레드에 위임해야 합니다.


질문자는 StreamSocketListener 타입의 ConnectionReceived 이벤트 대응 메서드에서 UI 요소를 접근하려 했고 이 때문에 예외가 발생한 것입니다. 실제로 try/catch에서 메시지를 찍어보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System.Exception: The application called an interface that was marshalled for a different thread. (Exception from HRESULT: 0x8001010E (RPC_E_WRONG_THREAD))
    at Windows.UI.Xaml.Controls.TextBox.put_Text(String value)
    at App1.MainPage.<SocketListener_ConnectionReceived>d__2.MoveNext()

암튼 UI 요소 접근은 두고두고 속을 썩이는군요. ^^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Q&A에 있는 것처럼,

The application called an interface that was marshalled for a different thread in window 8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1218911/the-application-called-an-interface-that-was-marshalled-for-a-different-thread-i

Dispatcher 타입의 RunAsync에 UI 접근 코드를 태워서 실행해야 합니다.

this.Dispatcher.RunAsync(Windows.UI.Core.CoreDispatcherPriority.Normal, () =>
             {
                 textBox.Text = request;
             });

참고로 Dispatcher의 처리 방식은 다음의 글을 보시면 좀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WPF - UI 업데이트를 바로 반영하고 싶다면?
; https://www.sysnet.pe.kr/2/0/747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5/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05-23 01시30분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036정성태10/25/2025967디버깅 기술: 224. Visual Studio - 디버깅 시 다른 함수의 소스 코드를 보여주는 사례 (Enable COMDAT Folding 옵션)파일 다운로드1
14035정성태10/24/2025871C/C++: 189. Visual C++ - 디버그 코드에서 빌드 옵션 조정으로 최적화 코드로의 전환파일 다운로드1
14034정성태10/22/20251023닷넷: 2375. C# - dynamic 사용 시 internal 멤버에 대한 RuntimeBinderException 예외가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4033정성태10/22/20251446닷넷: 2374. C# - dynamic과 "Explicit Interface Implementation"의 문제파일 다운로드1
14032정성태10/21/20251098닷넷: 2373. C# - dynamic 예약어 사용 시 런타임에 "Microsoft.CSharp.RuntimeBinder.RuntimeBinderException"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4031정성태10/20/20251002Linux: 128. "USER ..." 설정이 된 Docker 컨테이너의 호스트 측 볼륨 권한 (2)
14030정성태10/20/20251267Linux: 127. "USER ..." 설정이 된 Docker 컨테이너의 호스트 측 볼륨 권한
14029정성태10/17/20251821닷넷: 2372. C# - ssh-ed25519 유형의 Public Key 파일 해석파일 다운로드1
14028정성태10/17/20251818오류 유형: 985. openssh - ssh_host_ed25519_key 파일을 로드하지 못하는 문제
14027정성태10/15/20251809닷넷: 2371. C# - CRC64 (System.IO.Hashing의 약식 버전)파일 다운로드1
14026정성태10/15/20252312닷넷: 2370. 닷넷 지원 정보의 "package-provided" 의미
14025정성태10/14/20252373Linux: 126. eBPF (bpf2go) - tcp_sendmsg 예제
14024정성태10/14/20252875오류 유형: 984. Whisper.net - System.Exception: 'Cannot dispose while processing, please use DisposeAsync instead.'
14023정성태10/12/20252895닷넷: 2369. C# / Whisper 모델 - 동영상의 음성을 인식해 자동으로 SRT 자막 파일을 생성 [1]파일 다운로드1
14022정성태10/10/20253196닷넷: 2368. C# / NAudio - (AI 학습을 위해) 무음 구간을 반영한 오디오 파일 분할파일 다운로드1
14021정성태10/6/20253583닷넷: 2367. C# - Youtube 동영상 다운로드 (YoutubeExplode 패키지) [1]파일 다운로드1
14020정성태10/2/20253002Linux: 125. eBPF - __attribute__((preserve_access_index)) 활용 사례
14019정성태10/1/20253281Linux: 124. eBPF - __sk_buff / sk_buff 구조체
14018정성태9/30/20252374닷넷: 2366. C# - UIAutomationClient를 이용해 시스템 트레이의 아이콘을 열거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017정성태9/29/20252863Linux: 123. eBPF (bpf2go) - BPF_PROG_TYPE_SOCKET_FILTER 예제 - SEC("socket")
14016정성태9/28/20253198Linux: 122. eBPF - __attribute__((preserve_access_index)) 사용법
14015정성태9/22/20252560닷넷: 2365. C# - FFMpegCore를 이용한 MP4 동영상으로부터 MP3 음원 추출 예제파일 다운로드1
14014정성태9/17/20252505닷넷: 2364. C# - stun.l.google.com을 사용해 공용 IP 주소와 포트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013정성태9/14/20253602닷넷: 2363. C# - Whisper.NET Library를 이용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 및 번역하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4012정성태9/9/20253806닷넷: 2362. C# - Windows.Media.Ocr: 윈도우 운영체제에 포함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