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365. The User Profile Service service failed to the sign-in.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34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The User Profile Service service failed to the sign-in.

어느 순간부터,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하려는 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The User Profile Service service failed to the sign-in.

User profile cannot be loaded.

이때의 이벤트 로그를 보면 이런 항목들을 볼 수 있습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icrosoft-Windows-Winlogon
Date:          2016-09-28 오후 2:46:15
Event ID:      6004
Task Category: None
Level:         Warning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PC
Description:
The winlogon notification subscriber <Profiles> failed a critical notification event.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icrosoft-Windows-User Profiles Service
Date:          2016-09-28 오후 2:46:15
Event ID:      1530
Task Category: None
Level:         Information
Keywords:      
User:          SYSTEM
Computer:      TESTPC
Description:
Windows detected your registry file is still in use by other applications or services. The file will be unloaded now. The applications or services that hold your registry file may not function properly afterwards. No user action is required.  

 DETAIL - 
 0 user registry handles leaked from \Registry\User\S-1-5-21-342764240-1816105723-1710880654-1007: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icrosoft-Windows-User Profiles Service
Date:          2016-09-28 오후 2:46:15
Event ID:      1511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User:          TESTPC\test_user
Computer:      TESTPC
Description:
Windows cannot find the local profile and is logging you on with a temporary profile. Changes you make to this profile will be lost when you log off.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icrosoft-Windows-User Profiles Service
Date:          2016-09-28 오후 2:46:15
Event ID:      1500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User:          TESTPC\test_user
Computer:      TESTPC
Description:
Windows cannot log you on because your profile cannot be loaded. Check that you are connected to the network, and that your network is functioning correctly. 

 DETAIL - Access is denied.

다행히 검색해 보면 답이 나옵니다. ^^

How to Fix “User Profile Cannot be Loaded” Error in Windows 10
; http://www.techbout.com/user-profile-cannot-be-loaded-error-in-windows-10-9115/

위의 글에 따라, 기존 C:\Users\Default 폴더를 Default.old로 이름 변경하고 새로운 "Default" 폴더를 생성한 후 다음과 같이 기존 폴더의 구조를 그대로 생성해 주었습니다.

C:\Users\Default>dir
 Volume in drive C has no label.
 Volume Serial Number is 2AC4-A895

 Directory of C:\Users\Default

2016-09-28  오후 03:09    <DIR>          .
2016-09-28  오후 03:09    <DIR>          ..
2016-09-28  오후 03:08    <DIR>          Desktop
2016-09-28  오후 03:08    <DIR>          Documents
2016-09-28  오후 03:09    <DIR>          Downloads
2016-09-28  오후 03:09    <DIR>          Favorites
2016-09-28  오후 03:09    <DIR>          Links
2016-09-28  오후 03:09    <DIR>          Music
2016-09-28  오후 03:09    <DIR>          Pictures
2016-09-28  오후 03:09    <DIR>          Saved Games
2016-09-28  오후 03:09    <DIR>          Videos
               0 File(s)              0 bytes
              11 Dir(s)  31,992,270,848 bytes free

그다음,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잘 되던 계정의 NTUSER.DAT를 "C:\Users\Default\NTUSER.DAT" 파일로 복사해 주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6/2016]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41정성태12/11/20246573오류 유형: 937. error MSB4044: The "ValidateValidArchitecture" task was not given a value for the required parameter "RemoteTarget"
13840정성태12/11/20245792오류 유형: 936. msbuild - Your project file doesn't list 'win' as a "RuntimeIdentifier"
13839정성태12/11/20246869오류 유형: 936. msbuild - error CS1617: Invalid option '12.0' for /langversion. Use '/langversion:?' to list supported values.
13838정성태12/4/20246528오류 유형: 935. Windbg - Breakpoint 0's offset expression evaluation failed.
13837정성태12/3/20247591디버깅 기술: 204. Windbg - 윈도우 핸들 테이블 (3) - Windows 10 이상인 경우
13836정성태12/3/20245695디버깅 기술: 203. Windbg - x64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페이지 크기가 2MB인 경우)
13835정성태12/2/20247496오류 유형: 934. Azure - rm: cannot remove '...': Directory not empty
13834정성태11/29/20247437Windows: 275. C# - CUI 애플리케이션과 Console 윈도우 (Windows 10 미만의 Classic Console 모드인 경우) [1]파일 다운로드1
13833정성태11/29/20246750개발 환경 구성: 737. Azure Web App에서 Scale-out으로 늘어난 리눅스 인스턴스에 SSH 접속하는 방법
13832정성태11/27/20246413Windows: 274. Windows 7부터 도입한 conhost.exe
13831정성태11/27/20245456Linux: 111. eBPF - BPF_MAP_TYPE_PERF_EVENT_ARRAY, BPF_MAP_TYPE_RINGBUF에 대한 다양한 용어들
13830정성태11/25/20247505개발 환경 구성: 736. 파이썬 웹 앱을 Azure App Service에 배포하기
13829정성태11/25/20247502스크립트: 67. 파이썬 - Windows 버전에서 함께 설치되는 py.exe
13828정성태11/25/20245781개발 환경 구성: 735. Azure - 압축 파일을 이용한 web app 배포 시 디렉터리 구분이 안 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3827정성태11/25/20246748Windows: 273. Windows 환경의 파일 압축 방법 (tar, Compress-Archive)
13826정성태11/21/20247018닷넷: 2313. C# - (비밀번호 등의) Console로부터 입력받을 때 문자열 출력 숨기기(echo 끄기)파일 다운로드1
13825정성태11/21/20247957Linux: 110. eBPF / bpf2go - BPF_RINGBUF_OUTPUT / BPF_MAP_TYPE_RINGBUF 사용법
13824정성태11/20/20245784Linux: 109. eBPF / bpf2go - BPF_PERF_OUTPUT / BPF_MAP_TYPE_PERF_EVENT_ARRAY 사용법
13823정성태11/20/20247444개발 환경 구성: 734. Ubuntu에 docker, kubernetes (k3s) 설치
13822정성태11/20/20247413개발 환경 구성: 733. Windbg - VirtualBox VM의 커널 디버거 연결 시 COM 포트가 없는 경우
13821정성태11/18/20246938Linux: 108. Linux와 Windows의 프로세스/스레드 ID 관리 방식
13820정성태11/18/20247550VS.NET IDE: 195. Visual C++ - C# 프로젝트처럼 CopyToOutputDirectory 항목을 추가하는 방법
13819정성태11/15/20245506Linux: 107. eBPF - libbpf CO-RE의 CONFIG_DEBUG_INFO_BTF 빌드 여부에 대한 의존성
13818정성태11/15/20247506Windows: 272. Windows 11 24H2 - sudo 추가
13817정성태11/14/20246388Linux: 106. eBPF / bpf2go - (BPF_MAP_TYPE_HASH) Map을 이용한 전역 변수 구현
13816정성태11/14/20247643닷넷: 2312. C#, C++ - Windows / Linux 환경의 Thread Name 설정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