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365. The User Profile Service service failed to the sign-in.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34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The User Profile Service service failed to the sign-in.

어느 순간부터,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하려는 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The User Profile Service service failed to the sign-in.

User profile cannot be loaded.

이때의 이벤트 로그를 보면 이런 항목들을 볼 수 있습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icrosoft-Windows-Winlogon
Date:          2016-09-28 오후 2:46:15
Event ID:      6004
Task Category: None
Level:         Warning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PC
Description:
The winlogon notification subscriber <Profiles> failed a critical notification event.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icrosoft-Windows-User Profiles Service
Date:          2016-09-28 오후 2:46:15
Event ID:      1530
Task Category: None
Level:         Information
Keywords:      
User:          SYSTEM
Computer:      TESTPC
Description:
Windows detected your registry file is still in use by other applications or services. The file will be unloaded now. The applications or services that hold your registry file may not function properly afterwards. No user action is required.  

 DETAIL - 
 0 user registry handles leaked from \Registry\User\S-1-5-21-342764240-1816105723-1710880654-1007: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icrosoft-Windows-User Profiles Service
Date:          2016-09-28 오후 2:46:15
Event ID:      1511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User:          TESTPC\test_user
Computer:      TESTPC
Description:
Windows cannot find the local profile and is logging you on with a temporary profile. Changes you make to this profile will be lost when you log off.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icrosoft-Windows-User Profiles Service
Date:          2016-09-28 오후 2:46:15
Event ID:      1500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User:          TESTPC\test_user
Computer:      TESTPC
Description:
Windows cannot log you on because your profile cannot be loaded. Check that you are connected to the network, and that your network is functioning correctly. 

 DETAIL - Access is denied.

다행히 검색해 보면 답이 나옵니다. ^^

How to Fix “User Profile Cannot be Loaded” Error in Windows 10
; http://www.techbout.com/user-profile-cannot-be-loaded-error-in-windows-10-9115/

위의 글에 따라, 기존 C:\Users\Default 폴더를 Default.old로 이름 변경하고 새로운 "Default" 폴더를 생성한 후 다음과 같이 기존 폴더의 구조를 그대로 생성해 주었습니다.

C:\Users\Default>dir
 Volume in drive C has no label.
 Volume Serial Number is 2AC4-A895

 Directory of C:\Users\Default

2016-09-28  오후 03:09    <DIR>          .
2016-09-28  오후 03:09    <DIR>          ..
2016-09-28  오후 03:08    <DIR>          Desktop
2016-09-28  오후 03:08    <DIR>          Documents
2016-09-28  오후 03:09    <DIR>          Downloads
2016-09-28  오후 03:09    <DIR>          Favorites
2016-09-28  오후 03:09    <DIR>          Links
2016-09-28  오후 03:09    <DIR>          Music
2016-09-28  오후 03:09    <DIR>          Pictures
2016-09-28  오후 03:09    <DIR>          Saved Games
2016-09-28  오후 03:09    <DIR>          Videos
               0 File(s)              0 bytes
              11 Dir(s)  31,992,270,848 bytes free

그다음,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잘 되던 계정의 NTUSER.DAT를 "C:\Users\Default\NTUSER.DAT" 파일로 복사해 주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6/2016]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66정성태10/14/20245577C/C++: 178. C++ - 파일에 대한 Text 모드의 "translated" 동작파일 다운로드1
13765정성태10/12/20247243오류 유형: 928. go build 시 "package maps is not in GOROOT" 오류
13764정성태10/11/20248062Linux: 85. Ubuntu - 원하는 golang 버전 설치
13763정성태10/11/20246499Linux: 84. WSL / Ubuntu 20.04 - bpftool 설치
13762정성태10/11/20246700Linux: 83. WSL / Ubuntu 22.04 - bpftool 설치
13761정성태10/11/20246326오류 유형: 927. WSL / Ubuntu - /usr/include/linux/types.h:5:10: fatal error: 'asm/types.h' file not found
13760정성태10/11/20247558Linux: 82. Ubuntu - clang 최신(stable) 버전 설치
13759정성태10/10/20248610C/C++: 177. C++ - 자유 함수(free function) 및 주소 지정 가능한 함수(addressable function) [6]
13758정성태10/8/20247135오류 유형: 926. dotnet tools를 sudo로 실행하는 경우 command not found
13757정성태10/8/20247551닷넷: 2306. Linux - dotnet tool의 설치 디렉터리가 PATH 환경변수에 자동 등록이 되는 이유
13756정성태10/8/20247828오류 유형: 925. ssh로 docker 접근을 할 때 "... malformed HTTP status code ..." 오류 발생
13755정성태10/7/20248334닷넷: 2305. C# 13 - (9) 메서드 바인딩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OverloadResolutionPriority 특성 도입 (Overload resolution priority)파일 다운로드1
13754정성태10/4/20247290닷넷: 2304. C# 13 - (8) 부분 메서드 정의를 속성 및 인덱서에도 확대파일 다운로드1
13753정성태10/4/20246869Linux: 81. Linux - PATH 환경변수의 적용 규칙
13752정성태10/2/20248224닷넷: 2303. C# 13 - (7) ref struct의 interface 상속 및 제네릭 제약으로 사용 가능 [6]파일 다운로드1
13751정성태10/2/20246595C/C++: 176. C/C++ - ARM64로 포팅할 때 유의할 점
13750정성태10/1/20246523C/C++: 175. C++ - WinMain/wWinMain 호출 전의 CRT 초기화 단계
13749정성태9/30/20246600닷넷: 2302.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rivate Key와 Public Key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748정성태9/29/20247130닷넷: 2301. C# - BigInteger 타입이 byte 배열로 직렬화하는 방식
13747정성태9/28/20248126닷넷: 2300. C# - OpenSSH의 공개키 파일에 대한 "BEGIN OPENSSH PUBLIC KEY" / "END OPENSSH PUBLIC KEY" PEM 포맷파일 다운로드1
13746정성태9/28/20246941오류 유형: 924. Python - LocalProtocolError("Illegal header value ...")
13745정성태9/28/20246835Linux: 80.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lldb)
13744정성태9/27/20247474닷넷: 2299. C# - Windows Hello 사용자 인증 다이얼로그 표시하기파일 다운로드1
13743정성태9/26/20248081닷넷: 2298. C# - Console 프로젝트에서의 await 대상으로 Main 스레드 활용하는 방법 [1]
13742정성태9/26/20248081닷넷: 2297.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ecdsa 유형의 Public Key 파일 해석 [1]파일 다운로드1
13741정성태9/25/20247447디버깅 기술: 202. windbg - ASP.NET MVC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의 덤프 분석 시 요령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