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Math: 2. "Zhang Suen 알고리즘(세선화, Thinning/Skeletonization)"의 C# 버전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472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Zhang Suen 알고리즘(세선화, Thinning/Skeletonization)"의 C# 버전

세선화(Thinning, Skeletonization)라... ^^

[AS3] 세선화, Thinning
; http://broneri.tistory.com/entry/AS3-%EC%84%B8%EC%84%A0%ED%99%94-Thinning

재미있을 것 같아서, C#으로 포팅해 보았습니다. 로직은 위의 글에 나온 것을 그대로 적용했고 단지 이미지 파일을 직접 읽어들여서 이를 true/false 배열로 변경하는 것과 그 반대의 작업을 할 수 있는 코드를 추가했습니다.

============ 이미지 파일을 읽어서 true/false 배열로 반환 ============
Image img = Bitmap.FromFile("triangle.png");
Bitmap bmp = new Bitmap(img);

bool[,] imgBinaries = ConvertToBool(bmp);

bool[,] ConvertToBool(Bitmap bmp)
{
    bool[,] imgData = new bool[bmp.Width, bmp.Height];

    for (int x = 0; x < bmp.Width; x++)
    {
        for (int y = 0; y < bmp.Height; y++)
        {
            Color c = bmp.GetPixel(x, y);
            imgData[x, y] = (uint)c.ToArgb() != 0xff000000; // 단일 색과 비교해서 true로 설정
        }
    }

    return imgData;
}

============ true/false 배열을 이미지로 변환 ============
Bitmap ToBitmaps(bool[,] imgBinaries)
{
    int width = imgBinaries.GetLength(0);
    int height = imgBinaries.GetLength(1);

    Bitmap bmp = new Bitmap(width, height);

    for (int x = 0; x < bmp.Width; x++)
    {
        for (int y = 0; y < bmp.Height; y++)
        {
            if (imgBinaries[x, y] == true)
            {
                bmp.SetPixel(x, y, Color.Black);
            }
        }
    }

    return bmp;
}

물론, 세선화하기 위해서는 단일 색으로 가정하는 것이 코딩이 편하기 때문에 제 경우는 위에서 본 것처럼 하얀색(0xff000000)으로 지정해 두었습니다.

이하 나머지 코드는 원 글에서 공개된 ActionScript를 거의 그대로 포팅한 것인데, 첨부 파일에도 "WindowsFormsApplication1" 프로젝트로 포함해 두었지만 간단하니 아래에 그대로 실었습니다.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Image img = Bitmap.FromFile("triangle.png");
        picBefore.Image = img;

        Bitmap bmp = new Bitmap(img);

        bool[,] imgBinaries = ConvertToBool(bmp);

        this.tableLayoutPanel1.RowStyles[0].SizeType = SizeType.Absolute;
        this.tableLayoutPanel1.RowStyles[0].Height = bmp.Height + 10;

        OutputData(txtBefore, imgBinaries);

        thin_image(imgBinaries, bmp.Width, bmp.Height);

        bmp = ToBitmaps(imgBinaries);
        picAfter.Image = bmp;

        OutputData(txtAfter, imgBinaries);
    }

    void thin_image(bool[,] img, int width, int height)
    {
        while (true)
        {
            if (thin_loop1(img, width, height) == 0)
            {
                break;
            }
        }
        while (true)
        {
            if (thin_loop2(img, width, height) == 0)
            {
                break;
            }
        }
    }

    private int thin_loop1(bool[,] img, int width, int height)
    {
        bool[,] del = new bool[width, height];

        int thin_flag = 0;
        int y = 1;
        int x = 1;
        for (y = 1; y < height - 1; y++)
        {
            for (x = 1; x < width - 1; x++)
            {
                if (thin_pixel_loop1(img, x, y) == true)
                {
                    del[y, x] = true;
                }
            }
        }

        for (y = 1; y < height - 1; y++)
        {
            for (x = 1; x < width - 1; x++)
            {
                if (del[y, x] == true)
                {
                    img[y, x] = false;
                    thin_flag = 1;
                }
            }
        }
        return thin_flag;
    }

    private bool thin_pixel_loop1(bool[,] img, int x, int y)
    {
        if (thin_pixel_common(img, x, y) == 0)
            return false;

        if ((img[y - 1, x] == false || img[y, x - 1] == false || img[y, x + 1] == false) &&
                (img[y, x - 1] == false || img[y - 1, x] == false || img[y, x + 1] == false))
        {
            return true;
        }
        return false;
    }

    private int thin_pixel_common(bool[,] img, int x, int y)
    {
                // pixel removal condition
        // 1. pixel is black            
        if ( img[y, x] == false )
            return 0;
             
        bool [] near = new bool[] {
        img[y-1, x-1], img[y-1, x], img[y-1, x+1], img[y, x+1], 
        img[y+1, x+1], img[y+1, x], img[y+1, x-1], img[y, x-1], img[y-1, x-1]
        };
  
        int count = 0;
        for( int i = 0; i <= 7; i++ ) {
            if( near[i] == true ) count ++;
        }
             
            // 2. near pixels 
        // check black pixels are >=2 and <=6
        if ( count < 2 || count > 6 )
            return 0;
                                    
        int connect = 0;
        for( int i = 0; i <= 7; i++ ) {
            if( near[i] == true && near[i+1] == false ) connect ++;
        }
             
            // 3. connectivity is 1 
        if ( connect != 1 )
            return 0;
                 
        return 1;
    }

    private int thin_loop2(bool[,] img, int width, int height)
    {
        bool[,] del = new bool[width, height];
             
        int thin_flag = 0; 
        int y= 1;
        int x= 1;
        for ( y = 1; y < height-1; y++ ) {
            for ( x = 1; x < width-1; x++ ) {
                if ( thin_pixel_loop2( img, x,y ) == 1 ) {
                    del [y, x] = true;
                }
            }
        }
             
        for ( y = 1; y < height-1; y++ ) {
            for ( x = 1; x < width-1; x++ ) {
                if ( del [y, x] == true ) {
                    img[y, x] = false;
                    thin_flag = 1;
                }
            }
        }
        return thin_flag;
    }

    private int thin_pixel_loop2(bool[,] img, int x, int y)
    {
        if (thin_pixel_common(img, x, y) == 0)
            return 0;
        if ((img[y - 1, x] == false || img[y, x + 1] == false || img[y + 1, x] == false) &&
                (img[y, x - 1] == false || img[y + 1, x] == false || img[y, x + 1] == false))
        {
            return 1;
        }
        return 0;
    }

    private void OutputData(TextBox txtOutput, bool[,] imgBinaries)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b.AppendLine("{");
        for (int x = 0; x < imgBinaries.GetLength(0); x++)
        {
            sb.Append("\t{ ");
            for (int y = 0; y < imgBinaries.GetLength(1); y++)
            {
                if (imgBinaries[y, x] == true)
                {
                    sb.Append("1,");
                }
                else
                {
                    sb.Append("0,");
                }
            }

            sb.AppendLine(" },");
        }
        sb.AppendLine("}");

        txtOutput.Text = sb.ToString();
    }

    bool[,] ConvertToBool(Bitmap bmp)
    {
        bool[,] imgData = new bool[bmp.Width, bmp.Height];

        for (int x = 0; x < bmp.Width; x++)
        {
            for (int y = 0; y < bmp.Height; y++)
            {
                Color c = bmp.GetPixel(x, y);
                imgData[x, y] = (uint)c.ToArgb() != 0xff000000;
            }
        }

        return imgData;
    }

    Bitmap ToBitmaps(bool[,] imgBinaries)
    {
        int width = imgBinaries.GetLength(0);
        int height = imgBinaries.GetLength(1);

        Bitmap bmp = new Bitmap(width, height);

        for (int x = 0; x < bmp.Width; x++)
        {
            for (int y = 0; y < bmp.Height; y++)
            {
                if (imgBinaries[x, y] == true)
                {
                    bmp.SetPixel(x, y, Color.Black);
                }
            }
        }

        return bmp;
    }

}

그런데 버그가 있더군요. 원글에서 공개된 예제는 정상적으로 처리되지만, 제가 임의로 그린 아래의 98*98 이미지는,

triangle.png
(참고로, 저는 색상을 반전시켜서 하얀색을 1로 처리한 후, 검정색으로 출력했습니다.)

다음과 같이 밑변이 날아가는 오류가 있습니다. (게다가 위의 소스 코드는 입력 이미지가 정사각형 이미지만 정상적으로 처리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cs_thinning_1.png

음... 호기심이 생기더군요. 그래도 "Zhang Suen 알고리즘"이라고 불릴 정도면 이런 식의 오류가 있을 것 같지는 않은데 어쩌면 ActionScript로 포팅된 소스가 잘못 옮겨진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인터넷 검색 결과 C 버전의 "Zhang Suen 알고리즘" 코드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Zhang-Suen thinning
; http://pages.cpsc.ucalgary.ca/~parker/thin.c

오호~~~ 위의 코드로 테스트 해보니 정상적으로 삼각형 이미지에 대해서 thinning이 되었습니다. (위의 소스 코드를 Visual C++ 2010 프로젝트로 그대로 옮긴 것을 첨부 파일의 Thinning 프로젝트에 추가했으니 참고하십시오.)

C#으로는 다음과 같이 옮겼고,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OnLoad 이벤트 생략]...

    int[,] y;

    void thin_b(int[,] image, int width, int height)
    {
        int i, j, n, m, k, cont, br, ar, p1, p2;
        br = 0;
        int[] a = new int[8];

        cont = 1;
        while (cont != 0)
        {
            cont = 0;

            /*  Sub-iteration 1: */
            for (i = 0; i < width; i++)
                for (j = 0; j < height; j++)
                {       /* Scan the entire image */
                    if (image[i, j] == 0)
                    {
                        y[i, j] = 0;
                        continue;
                    }

                    ar = t1a(image, i, j, a, ref br, width, height);    /* Function A */

                    p1 = a[0] * a[2] * a[4];
                    p2 = a[2] * a[4] * a[6];
                    if ((ar == 1) && ((br >= 2) && (br <= 6)) &&
                        (p1 == 0) && (p2 == 0))
                    {
                        y[i, j] = 1;
                        cont = 1;
                    }
                    else y[i, j] = 0;
                }
            subtr(y, image, width, height);

            /* Sub iteration 2: */
            for (i = 0; i < width; i++)
                for (j = 0; j < height; j++)
                {       /* Scan the entire image */
                    if (image[i, j] == 0)
                    {
                        y[i, j] = 0;
                        continue;
                    }
                    ar = t1a(image, i, j, a, ref br, width, height);    /* Function A */

                    p1 = a[0] * a[2] * a[6];
                    p2 = a[0] * a[4] * a[6];
                    if ((ar == 1) && ((br >= 2) && (br <= 6)) &&
                        (p1 == 0) && (p2 == 0))
                    {
                        y[i, j] = 1;
                        cont = 1;
                    }
                    else y[i, j] = 0;
                }

            subtr(y, image, width, height);
        }
    }

    int t1a(int[,] image, int i, int j, int[] a, ref int b, int nn, int mm)
    {
        /*  Return the number of 01 patterns in the sequence of pixels
        P2 p3 p4 p5 p6 p7 p8 p9.                    */

        int n,m;

        for (n=0; n<8; n++) a[n] = 0;
        if (i-1 >= 0) {
            a[0] = image[i-1,j];
            if (j+1 < mm) a[1] = image[i-1,j+1];
            if (j-1 >= 0) a[7] = image[i-1,j-1];
        }
        if (i+1 < nn) {
            a[4] = image[i+1,j];
            if (j+1 < mm) a[3] = image[i+1,j+1];
            if (j-1 >= 0) a[5] = image[i+1,j-1];
        }
        if (j+1 < mm) a[2] = image[i,j+1];
        if (j-1 >= 0) a[6] = image[i,j-1];

        m= 0;   b = 0;
        for (n=0; n<7; n++) {
            if ((a[n]==0) && (a[n+1]==1)) m++;
            b = b + a[n];
        }
        if ((a[7] == 0) && (a[0] == 1)) m++;
        b = b + a[7];
        return m;
    }

    void subtr(int[,] a, int[,] b, int n, int m)
    {
        int i, j;

        for (i = 0; i < n; i++)
            for (j = 0; j < m; j++)
            {
                b[i, j] -= a[i, j];
            }
    }
}

결과는 아래와 같이 밑변이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정사각형 이미지가 아니어도 정상적으로 처리가 잘 되더군요. ^^)

cs_thinning_2.png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한 예제 프로젝트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09-05 06시28분
아 이런~ 재미난 "image to ascii" or "ascii to image" 연예인 사진들좀 하면 재미 날 것 같다.
문우영
2015-12-06 08시05분
[동국대학생] 정말 좋은자료 보고 많은것을 배워갑니다! Thinning 알고리즘에대한 궁금증이 시원하게 해결되었습니다!
[guest]
2016-06-23 12시23분
[대학생] 이진화 시킨 글자이미지를 세선화 처리 할려고 했는데, 색깔 반전도 검정색이 읽히도록 다시 반전해줬는데도 이미지를 넣어서 디버깅 시키면 깨져서 나오네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guest]
2016-06-23 12시47분
글쎄요. 그런 부분은 스스로 해결해야 할 문제 같습니다. ^^
정성태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55정성태9/22/201434175오류 유형: 241. Unity Web Player를 설치해도 여전히 설치하라는 화면이 나오는 경우 [4]
1754정성태9/22/201424521VC++: 80. 내 컴퓨터에서 C++ AMP 코드가 실행이 될까요? [1]
1753정성태9/22/201420510오류 유형: 240. Lync로 세미나 참여 시 소리만 들리지 않는 경우 [1]
1752정성태9/21/201440975Windows: 100. 윈도우 8 - RDP 연결을 이용해 VNC처럼 사용자 로그온 화면을 공유하는 방법 [5]
1751정성태9/20/201438848.NET Framework: 464. 프로세스 간 통신 시 소켓 필요 없이 간단하게 Pipe를 열어 통신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750정성태9/20/201423795.NET Framework: 463. PInvoke 호출을 이용한 비동기 파일 작업파일 다운로드1
1749정성태9/20/201423711.NET Framework: 462. 커널 객체를 위한 null DACL 생성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48정성태9/19/201425322개발 환경 구성: 238. [Synergy] 여러 컴퓨터에서 키보드, 마우스 공유
1747정성태9/19/201428352오류 유형: 239. psexec 실행 오류 -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746정성태9/18/201425982.NET Framework: 461. .NET EXE 파일을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에 상관없이 실행할 수 있을까요? - 두 번째 이야기 [6]파일 다운로드1
1745정성태9/17/201422940개발 환경 구성: 237. 리눅스 Integration Services 버전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 [1]
1744정성태9/17/201430962.NET Framework: 460. GetTickCount / GetTickCount64와 0x7FFE0000 주솟값 [4]파일 다운로드1
1743정성태9/16/201420913오류 유형: 238. 설치 오류 - Failed to get size of pseudo bundle
1742정성태8/27/201426894개발 환경 구성: 236.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2]
1741정성태8/26/201421280.NET Framework: 459. GetModuleHandleEx로 알아보는 .NET 메서드의 DLL 모듈 관계파일 다운로드1
1740정성태8/25/201432441.NET Framework: 458. 닷넷 GC가 순환 참조를 해제할 수 있을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739정성태8/24/201426456.NET Framework: 457. 교착상태(Dead-lock) 해결 방법 - Lock Leveling [2]파일 다운로드1
1738정성태8/23/201421993.NET Framework: 456. C# - CAS를 이용한 Lock 래퍼 클래스파일 다운로드1
1737정성태8/20/201419684VS.NET IDE: 93. Visual Studio 2013 동기화 문제
1736정성태8/19/201425534VC++: 79. [부연] CAS Lock 알고리즘은 과연 빠른가? [2]파일 다운로드1
1735정성태8/19/201418122.NET Framework: 455.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 두 번째 이야기
1734정성태8/13/201419774오류 유형: 237. Windows Media Player cannot access the file. The file might be in use, you might not have access to the computer where the file is stored, or your proxy settings might not be correct.
1733정성태8/13/201426243.NET Framework: 454. EmptyWorkingSet Win32 API를 사용하는 C# 예제파일 다운로드1
1732정성태8/13/201434366Windows: 99. INetCache 폴더가 다르게 보이는 이유
1731정성태8/11/201426955개발 환경 구성: 235. 점(.)으로 시작하는 파일명을 탐색기에서 만드는 방법
1730정성태8/11/201422061개발 환경 구성: 234. Royal TS의 터미널(Terminal) 연결에서 한글이 깨지는 현상 해결 방법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