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VC++: 108. DLL에 정의된 C++ template 클래스의 복사 생성자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1153

VC++: 109. DLL에서 STL 객체를 인자/반환값으로 갖는 함수를 제공할 때, 그 함수를 외부에서 사용하는 경우 비정상 종료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1154

VC++: 115. Visual Studio에서 C++ DLL을 대상으로 단위 테스트할 때 비정상 종료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1173

오류 유형: 683. Visual C++ - error LNK2038: mismatch detected for 'RuntimeLibrary': value 'MT_StaticRelease' doesn't match value 'MDd_DynamicDebug'
; https://www.sysnet.pe.kr/2/0/12418




DLL에서 STL 객체를 인자/반환값으로 갖는 함수를 제공할 때, 그 함수를 외부에서 사용하는 경우 비정상 종료한다면?

제목이 복잡하니, 이해를 돕기 위해 예제를 한번 들어볼까요? ^^

DLL에서 다음과 같은 함수를 export하고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include <string>
using namespace std;

__declspec(dllexport) int GetLength1(wstring text);

int GetLength1(wstring text)
{
    return text.length();
}

이 함수를 EXE 또는 다른 DLL 프로젝트에서 이렇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int main()
{
    wstring txt = L"1.0";
    GetLength1(txt);
}

그런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Debug Assertion Failed!

Program: ...\test.exe
File: f:\dd\vctools\crt\crtw32\misc\dbgdel.cpp
Line: 52

Expression: _BLOCK_TYPE_IS_VALID(pHead->nBlockUse)

또는 메시지가 이렇게도 나옵니다.

Debug Assertion Failed!

Program: ...\test.dll
File: minkernel\crts\ucrt\src\appcrt\heap\debug_heap.cpp
Line: 980

Expression: __acrt_first_block == header

실제로 위의 문제는 콘솔 프로젝트를 Debug 모드로, DLL 프로젝트를 Release 모드로 빌드했을 때(또는 그 반대로) 재현이 가능하고, Platform Toolset을 변경하는 경우, 구 버전의 Visual Studio로 빌드한 DLL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이전의 글에 자세하게 설명했습니다.

DLL에 정의된 C++ template 클래스의 복사 생성자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1153

즉, STL 객체(이 글의 예제에서는 wstring)가 근본적으로 template 클래스이고 내부에 new/delete 대상이 되는 멤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것을 DLL 너머로 전달했을 때 MSVCRT DLL의 불일치로 발생하는 것입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문제 관련해서 검색해 보니 다음과 같은 글이 나오는군요.

DLL내부에서 메모리 할당하고 DLL외부에서 메모리 해제
; http://jglee.egloos.com/1015547

해결책은 맞는데, STL 객체 내의 static data 멤버로 발생한다는 원인 분석이 살짝 아쉽군요. ^^ 참고로 위의 블로그에 소개된 마이크로소프트의 KB 자료가 재미있습니다.

How to export an instantiation of a Standard Template Library (STL) class and a class that contains a data member that is an STL object
; http://support.microsoft.com/kb/168958/

You may experience an access violation when you access an STL object through a pointer or reference in a different DLL or EXE
; http://support.microsoft.com/kb/q172396/

어지간히 많이도 문의가 왔던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5/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03-08 01시42분
[spowner] 요즘 C++으로 프로그래밍 하시나봐요.. ^^;
[guest]
2017-03-09 12시31분
C++:C#의 비율이 2:8 정도 됩니다. ^^

------------------

The move constructor that you have to declare, even though you don’t want anyone to actually call it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30612-00/?p=108329
정성태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587정성태6/10/200828716VS.NET IDE: 56. C#에서 아쉬운 __DATE__, __TIME__ 매크로 [2]
586정성태6/4/200826368오류 유형: 56. WPF 디자이너 - The string was not recognized as a valid DateTime [2]
585정성태6/4/200834632.NET Framework: 101. WPF - ActiveX 컨트롤 호스팅하는 방법 [2]
582정성태5/16/200826377오류 유형: 55. Windowless ActiveX controls are not supported
580정성태4/24/200825425VC++: 34. 64비트 윈도우즈에서의 이벤트 후킹
579정성태4/24/200825256VC++: 33. 변환 후의 RGS 파일 내용을 얻는 방법
577정성태4/16/200826188.NET Framework: 100. XML Serializer를 이용한 값 복사 [5]
575정성태4/7/200823381오류 유형: 54. TFS Source Control - 명령을 사용할 수 없음 [2]
574정성태3/31/200821493오류 유형: 53. TFS 연결 오류 - The workspace [...] exists on computer [...]
573정성태3/25/200825538Windows: 31. TS Web Access와 UAC [1]
570정성태3/17/200824678오류 유형: 52. TFS 연결 오류 - TF31001 [2]
569정성태3/16/200825862Team Foundation Server: 24. TFS 2008로 마이그레이션 (2) [2]
566정성태2/28/200826969.NET Framework: 99. AppDomain.GetEntryAssembly()를 우회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564정성태2/16/200826593Windows: 30. TS Web Access + Vista SP1 [2]
563정성태2/16/200825959오류 유형: 51. Vista(UAC) + 웹 프로젝트 디버깅: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562정성태2/12/200830202Windows: 29. Windows Server 2008 설치 [4]
561정성태1/10/200823924오류 유형: 50. IE 7 + 잘못된 HTC 파일 경로 = File not found [5]
559정성태1/1/200828729Windows: 28. Vista에서 끌어다 놓기로 GAC 등록하는 방법 [2]
558정성태1/1/200845901개발 환경 구성: 33. 32bit/64bit OLE DB Provider [1]
557정성태12/22/200724236개발 환경 구성: 32. WSCF와 VS.NET 2008
556정성태12/16/200722336기타: 22.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1000 회 이상
555정성태12/16/200725323기타: 21.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500 ~ 999회 글 목록
554정성태12/16/200729698기타: 20.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250 ~ 499회 글 목록
553정성태12/16/200730078기타: 19.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100 ~ 249회 글 목록
552정성태12/16/200723683기타: 18.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000 ~ 099 회 글 목록
550정성태12/16/200722920Team Foundation Server: 23. TFS 2005에서 TFS 2008로 마이그레이션 [2]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