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빌드 실패 - The OutputPath property is not set for project

다음과 같은 메시지와 함께 빌드 실패가 난다면?

d:\temp\MyApp\bin>msbuild "..\TestWebApp\TestWebApp.csproj" /property:Platform=x86 /t:Rebuild /property:OutDir=d:\temp\MyApp\bin
Microsoft (R) Build Engine version 4.6.1586.0
[Microsoft .NET Framework, version 4.0.30319.4200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Build started 2017-03-14 오후 2:25:56.
The target "MvcBuildViews" listed in a BeforeTargets attribute at "C:\Program Files (x86)\MSBuild\Microsoft\VisualStudio\v14.0\Web\Microsoft.Web.Publishing.targets (845,131)" does not exist in the project, and will be ignored.
Project "d:\temp\MyApp\TestWebApp\TestWebApp.csproj" on node 1 (Rebuild target(s)).
Project "d:\temp\MyApp\TestWebApp\TestWebApp.csproj" (1) is building "d:\temp\MyApp\RefObjectLib\RefObjectLib.csproj" (5) on node 1 (Clean target(s)).
Project file contains ToolsVersion="15.0". This toolset may be unknown or missing, in which case you may be able to resolve this by installing the appropriate version of MSBuild, or the build may have been forced to a particular ToolsVersion for policy reasons. Treating the project as if it had ToolsVersion="4.0". For more information, please see http://go.microsoft.com/fwlink/?LinkId=291333.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4.0.30319\Microsoft.Common.targets(609,5): error : The OutputPath property is not set for project 'RefObjectLib.csproj'.  Please check to make sure that you have specified a valid combination of Configuration and Platform for this project.  Configuration='Debug'  Platform='x86'.  You may be seeing this message because you are trying to build a project without a solution file, and have specified a non-default Configuration or Platform that doesn't exist for this project. [d:\temp\MyApp\RefObjectLib\RefObjectLib.csproj]
Done Building Project "d:\temp\MyApp\RefObjectLib\RefObjectLib.csproj" (Clean target(s)) -- FAILED.

Done Building Project "d:\temp\MyApp\TestWebApp\TestWebApp.csproj" (Rebuild target(s)) -- FAILED.


Build FAILED.

"d:\temp\MyApp\TestWebApp\TestWebApp.csproj" (Rebuild target) (1) ->
"d:\temp\MyApp\RefObjectLib\RefObjectLib.csproj" (Clean target) (5) ->
(_CheckForInvalidConfigurationAndPlatform target) ->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4.0.30319\Microsoft.Common.targets(609,5): error : The OutputPath property is not set for project 'RefObjectLib.csproj'.  Please check to make sure that you have specified a valid combination of Configuration and Platform for this project.  Configuration='Debug'  Platform='x86'.  You may be seeing this message because you are trying to build a project without a solution file, and have specified a non-default Configuration or Platform that doesn't exist for this project. [d:\temp\MyApp\RefObjectLib\RefObjectLib.csproj]

    0 Warning(s)
    1 Error(s)

Time Elapsed 00:00:00.48

오류 메시지를 잘 보시면 그 원인을 알 수 있습니다.

The OutputPath property is not set for project 'RefObjectLib.csproj'. Please check to make sure that you have specified a valid combination of Configuration and Platform for this project. Configuration='Debug' Platform='x86'. You may be seeing this message because you are trying to build a project without a solution file, and have specified a non-default Configuration or Platform that doesn't exist for this project.


그러니까, 위의 상황은 TestWebApp.csproj 프로젝트에서 RefObjectLib.csproj 프로젝트를 참조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TestWebApp.csproj를 msbuild로 Rebuild 명령을 내리니 의존 관계에서 따라 RefObjectLib.csproj 프로젝트부터 빌드를 시작한 것입니다.

문제는, RefObjectLib.csproj에 "OutputPath" 속성을 다음 Configuration='Debug' Platform='x86' 빌드 구성이 누락되어 있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실제로 RefObjectLib.csproj 프로젝트를 보면, PropertyGroup으로 "Debug|AnyCPU"와 "Release|AnyCPU"만 있을 뿐 "x86" 구성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pertyGroup Condition=" '$(Configuration)|$(Platform)' == 'Debug|AnyCPU' ">
    <DebugSymbols>true</DebugSymbols>
    <DebugType>full</DebugType>
    <Optimize>false</Optimize>
    <OutputPath>bin\Debug\</OutputPath>
    <DefineConstants>DEBUG;TRACE</DefineConstants>
    <ErrorReport>prompt</ErrorReport>
    <WarningLevel>4</WarningLevel>
  </PropertyGroup>
  <PropertyGroup Condition=" '$(Configuration)|$(Platform)' == 'Release|AnyCPU' ">
    <DebugType>pdbonly</DebugType>
    <Optimize>true</Optimize>
    <OutputPath>bin\Release\</OutputPath>
    <DefineConstants>TRACE</DefineConstants>
    <ErrorReport>prompt</ErrorReport>
    <WarningLevel>4</WarningLevel>
  </PropertyGroup>

문제 해결은 간단합니다. RefObjectLib.csproj 파일의 "AnyCPU" 구성 외에 "x86" 구성을 만들어 주면 되는데, 이런 경우 Visual Studio의 "Configuration Manager"에서 할 수도 있지만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로 추가를 못하는 수가 종종 있습니다.

This platform could not be created because a solution platform of the same name already exists.

당황하지 마시고, 그냥 메모장에서 .csproj 파일을 열고 'Debug|AnyCPU'와 'Release|AnyCPU' 구성을 그대로 복사해서 'x86'으로 만들어 주면 됩니다.

  <PropertyGroup Condition=" '$(Configuration)|$(Platform)' == 'Debug|x86' ">
    <DebugSymbols>true</DebugSymbols>
    <DebugType>full</DebugType>
    <Optimize>false</Optimize>
    <OutputPath>bin\Debug\</OutputPath>
    <DefineConstants>DEBUG;TRACE</DefineConstants>
    <ErrorReport>prompt</ErrorReport>
    <WarningLevel>4</WarningLevel>
    <PlatformTarget>x86</PlatformTarget>
  </PropertyGroup>
  <PropertyGroup Condition=" '$(Configuration)|$(Platform)' == 'Release|x86' ">
    <DebugType>pdbonly</DebugType>
    <Optimize>true</Optimize>
    <OutputPath>bin\Release\</OutputPath>
    <DefineConstants>TRACE</DefineConstants>
    <ErrorReport>prompt</ErrorReport>
    <WarningLevel>4</WarningLevel>
    <PlatformTarget>x86</PlatformTarget>
  </PropertyGroup>

위의 내용만 추가하고 다시 빌드하면 정상적으로 바이너리가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4/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35정성태8/20/200635056디버깅 기술: 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
334정성태8/20/200629745디버깅 기술: 7. VS.NET 2003/2005의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
333정성태8/20/200630625개발 환경 구성: 11. COM+ 서버 활성화 보안 설정
331정성태8/27/200623848개발 환경 구성: 10. 최대 절전 모드와 VPC 네트워크 문제
330정성태8/20/200624140개발 환경 구성: 9. VPC로 구성하는 개인 환경
328정성태8/20/200641988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
327정성태8/16/200638641개발 환경 구성: 7.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1]
326정성태8/16/200632409Team Foundation Server: 13. Sysnet 웹 사이트 TFS Migration
322정성태8/15/200627436개발 환경 구성: 6. 4GB 메모리 구성 [1]
316정성태9/20/200647187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6]
309정성태12/27/200648020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 [7]
310정성태8/5/20063493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파일 다운로드1
311정성태8/10/200634906    답변글 디버깅 기술: 5.2.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Application Project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312정성태8/5/20063719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3.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Site Model 유형의 프로젝트
313정성태8/12/20063589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4.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1)
317정성태8/12/20063286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5.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2)
318정성태8/12/20063987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6.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19정성태8/12/20063437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7.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2) [1]
320정성태8/12/20063878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8.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21정성태8/13/200643726    답변글 디버깅 기술: 5.9. Microsoft의 PDB 파일 관리
323정성태8/15/20064484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0. Symbol Server 생성 [4]
324정성태8/15/20064110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1. PDB 파일과 소스 코드
325정성태9/8/200634495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2.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329정성태8/19/20063296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3. 소스 서버 구성 [1]
332정성태8/20/20063451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4. GAC 에 등록된 Assembly 디버그 [2]
341정성태9/16/20062673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5. [내용 예약]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