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140. unattended.xml/autounattend.xml 파일을 마련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485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unattended.xml/autounattend.xml 파일을 마련하는 방법

우선, 간단하게 다음의 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Windows 10 Answer File Generator for x86 and x64 processors
; http://windowsafg.no-ip.org/win10x86_x64.html

Windows 8.1 Answer File Generator for x86 and x64 processors
; http://windowsafg.no-ip.org/win8.1x86_x64.html

URL에서 윈도우 버전 부분만 적절하게 바꿔주면 여러분이 원하는 윈도우 운영체제의 autounattend.xml 파일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게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




다른 방법이 또 하나 있는데요. 이것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하는 ADK 도구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ADK 도구는 윈도우 버전 별로 제공되는데, 예를 들어 "Windows 8.1 with Update" ISO 설치 파일이 있다면 다음의 ADK 도구를 다운로드해야 합니다.

Windows Assessment and Deployment Kit (Windows ADK) for Windows 8.1 Update 
; https://www.microsoft.com/en-US/download/details.aspx?id=39982

실제로 한번 해볼까요? ^^

"Unattended.xml" 응답 파일을 생성하려면, 우선 "윈도우 설치 ISO 이미지"에 포함된 install.wim 파일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iso 파일을 마운팅하고 /sources/install.wim 파일을 로컬 폴더로 복사합니다. (이 글에서는 d:\adk 폴더로 복사합니다.)

이제 ADK 도구를 설치한 경우 다음의 폴더에 위치한 "Windows System Image Manager"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킵니다.

C:\Program Files\Windows Kits\8.1\Assessment and Deployment Kit\Deployment Tools\WSIM\imgmgr.exe

실행 후 "File" / "Select Windows Image..." 메뉴를 선택해 d:\adk\install.wim 파일을 선택합니다. 제 경우에 해당 ISO 이미지에 2개의 버전(Pro, Home)이 있어 어떤 것을 선택할지 묻는 창이 떴습니다. 저는 "Windows 8.1 Pro"를 선택했습니다. 그럼 다시 다음의 창이 뜨고,

win81_unattended_1.png

"Yes"를 선택해 주면 됩니다.

그다음, "File" / "New Answer File..."을 선택해 "unattended.xml" 파일을 하나 생성하고 세세한 설정을 하면 됩니다. 아래는 그 한 예를 보여줍니다.

// 참고: https://jacobsalmela.com/2016/03/30/how-to-image-a-computer-with-windows-10-using-dism/

- Windows 8.1 Pro / x86_Microsoft_Windows_Deployment_[...]_neutral
    - "Add Setting to Pass 4 specialize"

        * unattended / x86_Microsoft_Windows_Deployment_[...]_neutral / ExtendOSPartition
            - Settings / Extend = true

- Windows 8.1 Pro / x86_Microsoft-Windows-Shell-Setup_[...]_neutral
    - "Add Setting to Pass 4 specialize"

        * unattended / x86_Microsoft-Windows-Shell-Setup_[...]_neutral
            - Settings / "Computer Name" = %COMPUTERNAME%
            - Settings / ProductKey = ...제품 키...
            - Settings / ProductKey = Korea Standard Time

    - "Add Setting to Pass 7 oobeSystem…"

- Windows 8.1 Pro / x86_Microsoft-Windows-Shell-Setup_[...]_neutral / OOBE

    - "Add Setting to Pass 7 oobeSystem…"

        * unattended / x86_Microsoft-Windows-Shell-Setup_[...]_neutral / OOBE
            - Settings / HideEULAPage = true
            - Settings / HideLocalAccountScreen = true
            - Settings / HideOEMRegistrationScreen = true
            - Settings / HideOnlineAccountScreens = true
            - Settings / HideWirelessSetupInOOBE = true
            - Settings / NetworkLocation = Home
            - Settings / ProtectYourPC = 1
            - Settings / SkipMachineOOBE = true
            - Settings / SkipUserOOBE = true

        * unattended / x86_Microsoft-Windows-Shell-Setup_[...]_neutral / UserAccounts / LocalAccounts
            - "Insert New Local Account"

        * unattended / x86_Microsoft-Windows-Shell-Setup_[...]_neutral / UserAccounts / LocalAccounts / LocalAccount
            - Settings / Description = Local admin account
            - Settings / DisplayName = tester
            - Settings / Group = Administrators
            - Settings / Name = tester

        * unattended / x86_Microsoft-Windows-Shell-Setup_[...]_neutral / UserAccounts / LocalAccounts / LocalAccount / Password
            - Settings / Value = tester_pass

- Windows 8.1 Pro / x86_Microsoft-Windows-International-Core_[...]_neutral
    - Add Setting to Pass 7 oobeSystem…

        * unattended / x86_Microsoft-Windows-International-Core_[...]_neutral
            - Settings / "InputLocale" = en-US
            - Settings / "SystemLocale" = en-US
            - Settings / "UILanguage" = en-US
            - Settings / "UserLocale" = en-US

위의 설정으로 저장하면 대충 다음과 같은 식의 unattended.xml 파일이 구성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unattend xmlns="urn:schemas-microsoft-com:unattend">
    <settings pass="specialize">
        <component name="Microsoft-Windows-Deployment" processorArchitecture="x86" publicKeyToken="31bf3856ad364e35" language="neutral" versionScope="nonSxS" xmlns:wcm="http://schemas.microsoft.com/WMIConfig/2002/Stat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ExtendOSPartition>
                <Extend>true</Extend>
            </ExtendOSPartition>
        </component>
        <component name="Microsoft-Windows-Shell-Setup" processorArchitecture="x86" publicKeyToken="31bf3856ad364e35" language="neutral" versionScope="nonSxS" xmlns:wcm="http://schemas.microsoft.com/WMIConfig/2002/Stat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ComputerName>%COMPUTERNAME%</ComputerName>
            <ProductKey>...[생략]...</ProductKey>
            <TimeZone>Korea Standard Time</TimeZone>
        </component>
    </settings>
    <settings pass="oobeSystem">
        <component name="Microsoft-Windows-International-Core" processorArchitecture="x86" publicKeyToken="31bf3856ad364e35" language="neutral" versionScope="nonSxS" xmlns:wcm="http://schemas.microsoft.com/WMIConfig/2002/Stat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InputLocale>en-US</InputLocale>
            <SystemLocale>en-US</SystemLocale>
            <UILanguage>en-US</UILanguage>
            <UserLocale>en-US</UserLocale>
        </component>
        <component name="Microsoft-Windows-Shell-Setup" processorArchitecture="x86" publicKeyToken="31bf3856ad364e35" language="neutral" versionScope="nonSxS" xmlns:wcm="http://schemas.microsoft.com/WMIConfig/2002/Stat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OOBE>
                <HideEULAPage>true</HideEULAPage>
                <HideLocalAccountScreen>true</HideLocalAccountScreen>
                <HideOEMRegistrationScreen>true</HideOEMRegistrationScreen>
                <HideOnlineAccountScreens>true</HideOnlineAccountScreens>
                <HideWirelessSetupInOOBE>true</HideWirelessSetupInOOBE>
                <NetworkLocation>Home</NetworkLocation>
                <ProtectYourPC>1</ProtectYourPC>
                <SkipMachineOOBE>true</SkipMachineOOBE>
                <SkipUserOOBE>true</SkipUserOOBE>
            </OOBE>
            <UserAccounts>
                <LocalAccounts>
                    <LocalAccount wcm:action="add">
                        <Password>
                            <Value>dABlAHMAdABlAHIAXwBwAGEAcwBzAFAAYQBzAHMAdwBvAHIAZAA=</Value>
                            <PlainText>false</PlainText>
                        </Password>
                        <Description>Local admin account</Description>
                        <DisplayName>tester</DisplayName>
                        <Name>tester</Name>
                        <Group>Administrators</Group>
                    </LocalAccount>
                </LocalAccounts>
            </UserAccounts>
        </component>
    </settings>
    <cpi:offlineImage cpi:source="wim:d:/adk/install.wim#Windows 8.1 Pro" xmlns:cpi="urn:schemas-microsoft-com:cpi" />
</unattend>

세밀하게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Windows Answer File Generator"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더 간편하고 쉽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889정성태3/17/201527932Windows: 107. (2015-03-12) 업데이트 이후 작업 표시줄 또는 탐색기의 반응이 느려지는 문제 [1]
2888정성태3/17/201525919.NET Framework: 508. Visual Studio 빌드 - fatal error C1033: cannot open program database ''
2887정성태3/13/201523190.NET Framework: 507. CoreFx 빌드하는 방법
2886정성태3/13/201525246오류 유형: 274. CoreFx, CoreCLR 빌드 시 "error CS0518: Predefined type 'System.Object' is not defined or imported" 오류 해결 방법
2885정성태3/13/201535834VS.NET IDE: 99. Visual Studio는 2019는 32비트, 2022부터 64비트 버전입니다. [2]
2884정성태3/12/201529727.NET Framework: 506. .NETCore = CoreFX + CoreCLR [5]
2883정성태3/10/201526654.NET Framework: 505. OpenCover 소스 코드 분석을 Visual Studio 2013에서 하는 방법 [1]
2882정성태3/10/201525323.NET Framework: 504. OpenCover 코드 커버리지 도구의 동작 방식을 통해 살펴보는 Calli IL 코드 사용법
2881정성태3/9/201526025개발 환경 구성: 261. OpenCover 오픈 소스를 이용한 .NET 코드 커버리지(Code coverage)
2880정성태3/7/201524056개발 환경 구성: 260. C# Code Coverage 도구 - Semantic Designs 소개
2879정성태3/3/201529259개발 환경 구성: 259. Visual Studio 없이 Visual C++ 컴파일하는 방법
2878정성태2/28/201530170.NET Framework: 503. == 연산자보다는 Equals 메서드의 호출이 더 권장됩니다. [3]파일 다운로드1
2877정성태2/28/201523294.NET Framework: 502. 연산자 재정의(operator overloading)와 메서드 재정의(method overriding)의 다른 점 - 가상 함수 호출 여부 [3]파일 다운로드1
2876정성태2/27/201526240VS.NET IDE: 98. IntegraStudio - Visual Studio에서 Java 프로그램 개발
2875정성태2/26/201525934디버깅 기술: 72. Visual Studio 2013에서의 sos.dll 사용 제한
2874정성태2/26/201521657디버깅 기술: 71. windbg + 닷넷 디버깅 (2) - null 체크 패턴
2873정성태2/25/201539831.NET Framework: 501. FtpWebRequest 타입을 이용해 FTP 파일 업로드 [4]파일 다운로드1
2872정성태2/25/201523868디버깅 기술: 70. windbg + 닷넷 디버깅 (1) - 배열 인덱스 사용 패턴
2871정성태2/24/201527494개발 환경 구성: 258. 윈도우 8.1에서 방화벽과 함께 FTP 서버 여는 (하지만, 권장하지 않는) 방법 [1]
2870정성태2/24/201528858개발 환경 구성: 257. 윈도우 8.1에서 방화벽과 함께 FTP 서버 여는 방법
2869정성태2/23/201522378.NET Framework: 500. struct로 정의한 값 형식(Value Type)의 경우 Equals 재정의를 권장합니다.파일 다운로드1
2868정성태2/23/201527290VS.NET IDE: 97. Visual C++ 프로젝트 디버깅 시에 Step-Into(F11) 동작이 원치 않는 함수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 방법 [2]
2867정성태2/23/201520916오류 유형: 273. File History - Failed to initiate user data backup (error 80070005)
2866정성태2/23/201522753오류 유형: 272. WAT080 : Failed to locate the Windows Azure SDK. Please make sure the Windows Azure SDK v2.1 is installed.
1868정성태2/20/201519495오류 유형: 271. The type '...' cannot be used as type parameter 'TContext' in the generic type or method 'System.ServiceModel.DomainServices.EntityFramework.LinqToEntitiesDomainService&lt;T&gt;
1866정성태2/20/201520747오류 유형: 270. "aspnet_regiis -i" 실행 시 0x00000006 오류 해결 방법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