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6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19. windbg에서 python 스크립트 실행하는 방법 - pykd
; https://www.sysnet.pe.kr/2/0/11227

디버깅 기술: 96. windbg - 풀 덤프에 포함된 모든 닷넷 모듈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97

디버깅 기술: 103.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모든 DLL에 대한 심벌 파일을 로드하는 파이썬 스크립트
; https://www.sysnet.pe.kr/2/0/11331

디버깅 기술: 143. windbg/sos - Hashtable의 bucket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 https://www.sysnet.pe.kr/2/0/12084

디버깅 기술: 145. windbg/sos - Dictionary의 entrie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 https://www.sysnet.pe.kr/2/0/12087

디버깅 기술: 178. windbg - 디버그 시작 시 스크립트 실행
; https://www.sysnet.pe.kr/2/0/12472

개발 환경 구성: 621. windbg에서 python 스크립트 실행하는 방법 - pykd (2)
; https://www.sysnet.pe.kr/2/0/12899




windbg에서 python 스크립트 실행하는 방법 - pykd

windbg에서 python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다음의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Python extension for WinDbg
; http://pykd.codeplex.com/
; https://githomelab.ru/pykd

위의 홈페이지에 다운로드 받은 pykd.dll 파일을 x64/x86에 따라 다음의 windbg 폴더에 복사해 주면 됩니다.

// x64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64\winext

// x86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86\winext

(당연히 Python 2.7 버전이 설치된 상태에서) windbg 실행 후 pykd 확장을 로드한 다음,

.load pykd

c:\temp\test.py 파일을 다음과 같이 만들어,

# test.py 

print("Hello")

pykd를 통해 실행해 줄 수 있습니다.

0:005> !py c:\temp\test.py
Hello




사실, python 스크립트만 실행하는 것으로는 windbg에서 크게 효용성이 있지는 않습니다. 당연히 ^^ windbg 객체 모델을 접근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 기능은 별도로 pykd.pyd 파일에서 제공합니다. pykd.pyd 파일 설치는 windbg 내에서 다음과 같이 pip 명령어로 간단하게 끝낼 수 있습니다.

0:005> !pip install pykd
Downloading/unpacking pykd
Installing collected packages: pykd
Successfully installed pykd
Cleaning up...

0:005> !pip install pykd --upgrade
Requirement already up-to-date: pykd in c:\python27\lib\site-packages
Cleaning up...

pykd.pyd 파일은 "C:\Python27\Lib\site-packages\pykd" 폴더에 생성되고, 이후로는 windbg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의 python 소스 파일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 test.py

from pykd import *
dprintln("Hello2")

0:005>  !py c:\temp\test.py
Hello2

그리고, 이런 Python 스크립트로 windbg를 잘 활용하도록 만들어진 사례가 바로 mona입니다.

Mona
; http://expdev-kiuhnm.rhcloud.com/2015/05/19/mona-2/

따라서 다음의 경로에 있는 python 소스 코드 2개를 내려받아,

https://raw.githubusercontent.com/corelan/windbglib/master/windbglib.py
https://raw.githubusercontent.com/corelan/mona/master/mona.py

Python 2.7 설치 경로 하위의 Lib 폴더에 복사해 주면 됩니다.

C:\Python27\Lib

이후, mona.py의 기능을 활용해 windbg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시점(2017-06-19)에 x64 버전의 windbg에서는 !py mona를 실행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경고 메시지가 뜰 수 있습니다.

0:006> !py mona heap
*******************************************************************************************
 You are running a newer version of pykd.pyd
 mona.py was tested against v0.2.0.29
 and not against v0.3.2.6
 This version may not work properly.
 If you are having issues, I recommend to download the correct version from
   https://github.com/corelan/windbglib/raw/master/pykd/pykd.zip
   (unzip with 7zip)

 NOTE: PyKD v0.3.2.6 requires msdia120.dll, which only gets installed via Visual Studio 2013 (yup, I know)
 Alternatively, you can use the copy of msdia120.dll from the pykd.pyd file
  (https://github.com/corelan/windbglib/raw/master/pykd/pykd03.zip), but use this file at your own risk
*******************************************************************************************
...[생략]...

이유는, mona.py가 0.2.0.29 버전의 pykd.pyd 모듈에 대해 테스트되었다는 것인데 현재 "c:\python27\lib\site-packages" 경로에 설치된 pykd.pyd 버전은 0.3.2.6이기 때문입니다.

메시지에서는 "https://github.com/corelan/windbglib/raw/master/pykd/pykd.zip" 경로에서 0.2.0.29 버전의 pykd.pyd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는 x86 버전이기 때문에 x64에는 적용할 수 없습니다. (아마도, x64 버전은 0.2.0.29 버전이 아닌 곧바로 0.3.2.6 버전부터 개발된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현재는 x64 버전으로 실행하는 경우 감수해야 하는 경고 메시지입니다. (아니면, mona.py 소스 코드에서 삭제하거나!)

참고로, 원하는 버전의 모듈이 있는 경우라면 버전을 지정해 "pip install"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0:006> !pip install pykd==0.2.0.29
Collecting pykd==0.2.0.29
  Could not find a version that satisfies the requirement pykd==0.2.0.29 (from versions: 0.3.0.11, 0.3.0.12, 0.3.0.13, 0.3.0.14, 0.3.0.15, 0.3.0.16, 0.3.0.17, 0.3.0.18, 0.3.0.19, 0.3.0.20, 0.3.0.21, 0.3.0.22, 0.3.0.23, 0.3.0.24, 0.3.0.25, 0.3.0.26, 0.3.0.27, 0.3.0.28, 0.3.0.29, 0.3.0.30, 0.3.0.31, 0.3.0.32, 0.3.0.33, 0.3.0.34, 0.3.0.35, 0.3.0.36, 0.3.0.37, 0.3.1.3, 0.3.1.4, 0.3.1.5, 0.3.1.6, 0.3.1.7, 0.3.1.8, 0.3.1.9, 0.3.1.10, 0.3.2.0, 0.3.2.1, 0.3.2.2, 0.3.2.4, 0.3.2.5, 0.3.2.6)
No matching distribution found for pykd==0.2.0.29

보는 바와 같이, x64에서는 0.2.0.29 버전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설치가 안됩니다.




만약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0:005> !py c:\temp\test.py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HKEY_LOCAL_MACHINE 또는 HKEY_CURRENT_USER 노드 하위에 "SOFTWARE\\Python\\PythonCore" 설정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없는 경우, 다음의 내용을 .reg 파일로 저장한 후 등록해 줍니다.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LOCAL_MACHINE\SOFTWARE\Python]

[HKEY_LOCAL_MACHINE\SOFTWARE\Python\PythonCore]

[HKEY_LOCAL_MACHINE\SOFTWARE\Python\PythonCore\2.7]

[HKEY_LOCAL_MACHINE\SOFTWARE\Python\PythonCore\2.7\Help]

[HKEY_LOCAL_MACHINE\SOFTWARE\Python\PythonCore\2.7\Help\Main Python Documentation]
@="c:\\Python27\\Doc\\python2710.chm"

[HKEY_LOCAL_MACHINE\SOFTWARE\Python\PythonCore\2.7\InstallPath]
@="c:\\Python27\\"

[HKEY_LOCAL_MACHINE\SOFTWARE\Python\PythonCore\2.7\InstallPath\InstallGroup]
@="Python 2.7"

[HKEY_LOCAL_MACHINE\SOFTWARE\Python\PythonCore\2.7\Modules]

[HKEY_LOCAL_MACHINE\SOFTWARE\Python\PythonCore\2.7\PythonPath]
@="c:\\Python27\\Lib;c:\\Python27\\DLLs;c:\\Python27\\Lib\\lib-tk"

혹은,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0:006> .load pykd
0:006> !py c:\temp\test.py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temp\test.py", line 1, in <module>
    from pykd import *

ImportError: No module named pykd

이런 경우는 pykd.pyd 파일 설치가 안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본문에서 설명한 pip install을 이용해 pykd를 설치해 주면 됩니다.

혹은,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0:006> !py mona heap
Do not run this script outside of a debugger !

위와 같이 나오면 pykd.pyd 파일의 유무와 플랫폼이 맞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가령, x86 버전의 pykd.pyd 파일을 x64 버전 환경에서 로딩되도록 설정한 상태일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3/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06-22 02시30분
[Lyn] 크... 꾸준히 연구하시는 모습이 멋집니다
[guest]
2017-06-22 04시12분
아니... ^^ 그냥 따라해 본 정도인데요.
정성태
2017-06-30 12시39분
Debugger Updates in the 16225 SDK Preview
; https://blogs.msdn.microsoft.com/windbg/2017/06/29/debugger-updates-in-the-16225-sdk-preview/

* Thread Description in Minidumps
* Function Aliases in JavaScript
정성태
2017-10-25 05시01분
[horensic] 좋은 글 감사합니다~ 덕분에 많은 도움 받아갑니다!
[guest]
2019-04-25 03시46분
정성태
2021-05-24 02시46분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67정성태7/7/20246608닷넷: 2273. C# - 리눅스 환경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AF_VSOCK)파일 다운로드1
13666정성태7/7/20247686Linux: 74. C++ - Vsock 예제 (Hyper-V Socket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665정성태7/6/20247863Linux: 73. Linux 측의 socat을 이용한 Hyper-V 호스트와의 vsock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3663정성태7/5/20247470닷넷: 2272.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의 VMID Wildcards 유형파일 다운로드1
13662정성태7/4/20247477닷넷: 2271. C# - WSL 2 VM의 VM ID를 알아내는 방법 - Host Compute System API파일 다운로드1
13661정성태7/3/20247398Linux: 72. g++ - 다른 버전의 GLIBC로 소스코드 빌드
13660정성태7/3/20247504오류 유형: 912. Visual C++ - Linux 프로젝트 빌드 오류
13659정성태7/1/20247843개발 환경 구성: 715. Windows - WSL 2 환경의 Docker Desktop 네트워크
13658정성태6/28/20248217개발 환경 구성: 714.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3657정성태6/27/20247894닷넷: 2270.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을 위한 EndPoint 사용자 정의
13656정성태6/27/20248055Windows: 264. WSL 2 VM의 swap 파일 위치
13655정성태6/24/20247833닷넷: 2269. C# - Win32 Resource 포맷 해석파일 다운로드1
13654정성태6/24/20247787오류 유형: 911. shutdown - The entered computer name is not valid or remote shutdown is not supported on the target computer.
13653정성태6/22/20247925닷넷: 2268. C# 코드에서 MAKEINTREOURCE 매크로 처리
13652정성태6/21/20249232닷넷: 2267. C# - Linux 환경에서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3651정성태6/19/20248472닷넷: 2266. C# -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50정성태6/18/20248397개발 환경 구성: 713. "WSL --debug-shell"로 살펴보는 WSL 2 VM의 리눅스 환경
13649정성태6/18/20247947오류 유형: 910. windbg - !py 확장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2)
13648정성태6/17/20248263오류 유형: 909. C# - DynamicMethod 사용 시 System.TypeAccessException
13647정성태6/16/20249323개발 환경 구성: 712. Windows -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같은 IP를 공유하는 WSL 2 인스턴스) [1]
13646정성태6/14/20247741오류 유형: 908. Process Explorer - "Error configuring dump resources: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3645정성태6/13/20248197개발 환경 구성: 711. Visual Studio로 개발 시 기본 등록하는 dev tag 이미지로 Docker Desktop k8s에서 실행하는 방법
13644정성태6/12/20248855닷넷: 2265. C# - System.Text.Json의 기본적인 (한글 등에서의) escape 처리 [1]
13643정성태6/12/20248294오류 유형: 907. MySqlConnector 사용 시 System.IO.FileLoadException 오류
13642정성태6/11/20248196스크립트: 65. 파이썬 - asgi 버전(2, 3)에 따라 달라지는 uvicorn 호스팅
13641정성태6/11/20248659Linux: 71. Ubuntu 20.04를 22.04로 업데이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