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667. bypassTrustedAppStrongNames 옵션 설명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926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522. 닷넷의 어셈블리 서명 데이터 확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816

.NET Framework: 667. bypassTrustedAppStrongNames 옵션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1257

.NET Framework: 668. 지연 서명된 DLL과 서명된 DLL의 차이점
; https://www.sysnet.pe.kr/2/0/11258

.NET Framework: 669. 지연 서명된 어셈블리를 sn.exe -Vr 등록 없이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59

디버깅 기술: 91.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강력한 이름의 어셈블리 추출 후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61

개발 환경 구성: 390. C# - 컴파일러 옵션 OSS signing / Public Signing
; https://www.sysnet.pe.kr/2/0/11627




bypassTrustedAppStrongNames 옵션 설명

프로그램을 실행했을 때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IO.FileLoadException: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ClassLibrary1, Version=1.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90aac46759611727' or one of its dependencies. Strong name validation failed. (Exception from HRESULT: 0x8013141A) ---> System.Security.SecurityException: Strong name validation failed. (Exception from HRESULT: 0x8013141A)
   --- End of inner exception stack trace ---
   at ClassLibrary1.Class1.Do()
   at ConsoleApp1.Program.Main(String[] args) in C:\ConsoleApp1\Program.cs:line 11

원인은 간단합니다. 강력한 이름(Strong-named)으로 서명된 어셈블리를 로드하려고 했지만 해당 어셈블리의 내용이 임의로 변경된 경우 서명된 내용과 달라 로딩 시 예외가 발생한 것입니다.

재현을 한번 해볼까요? ^^

우선 다음과 같은 코드를 가진 라이브러리를 생성하고 서명을 한 후,

// ClassLibrary1.dll 프로젝트
using System;

namespace ClassLibrary1
{
    public class Class1
    {
        public void Do()
        {
            Console.WriteLine("TEST IS GOOD");
        }
    }
}

콘솔 EXE에서 이렇게 사용합니다.

// .NET 4.0 이상의 ConsoleApp1.exe 프로젝트
using System;

namespace ConsoleApp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lassLibrary1.Class1 cl = new ClassLibrary1.Class1();
            cl.Do();

            Console.WriteLine("Press...");
            Console.ReadLine();
        }
    }
}

빌드한 결과물에서, dnSpy.exe 등을 이용해 Class1.Do 메서드의 내용을 임의로 수정하거나 다음의 글에 따라,
닷넷의 어셈블리 서명 데이터 확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816

서명 데이터를 임의로 바꿔주면 됩니다.




그런데, 이렇게 변조된 DLL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정상적으로 실행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NET 3.5 SP1부터는 "Full Trust" 상태의 AppDomain에 어셈블리가 로딩될 때는 서명을 검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들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How to: Disable the Strong-Name Bypass Feature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app-domains/how-to-disable-the-strong-name-bypass-feature

Strong Name Bypass
; https://learn.microsoft.com/ko-kr/archive/blogs/shawnfa/strong-name-bypass

정리하면 다음의 조건인데요.

  1. Fully signed (delay signed assemblies still require a skip verification entry)
  2. Fully trusted (without considering its strong name evidence)
  3. Loaded into a Fully trusted AppDomain
  4. Loaded from a location under the AppDomain's ApplicationBase

따라서 "Fully trusted"로 실행되는 ConsoleApp.exe 내의 "Fully trusted AppDomain" 내에 (변조되었지만) ClassLibrary1.dll이 로드되기 때문에 서명 확인 절차가 생략되므로 Class1.Do 메서드의 내용을 임의로 수정했어도 별다른 영향 없이 잘 실행이 된 것입니다.

만약 이전처럼 무조건 서명 데이터를 검증하도록 만들고 싶다면 app.config 파일에 bypassTrustedAppStrongNames 옵션을 다음과 같이 설정해 주면 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runtime>
        <bypassTrustedAppStrongNames enabled="false" />
    </runtime>

</configuration>

즉, .NET 3.5 SP1 이후부터는 bypassTrustedAppStrongNames 옵션의 기본 값이 true인 체로 실행되고 있는 것입니다.




반면, 변조된 ClassLibrary1.dll을 ASP.NET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참조하는 경우에는 상황이 달라집니다. 로컬에서 IIS 또는 IIS Express에 상관없이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System.IO.FileLoadException: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file:///C:\WebApplication1\bin\ClassLibrary1.dll' or one of its dependencies. Strong name signature could not be verified. The assembly may have been tampered with, or it was delay signed but not fully signed with the correct private key. (Exception from HRESULT: 0x80131045)'


재미있는 것은, 검증이 이뤄지는 DLL의 위치가 ASP.NET의 "/bin" 폴더 및 그 하위인 경우로만 제한된다는 것입니다. 즉, 그 이외의 위치에 있는 DLL인 경우는 검증 대상이 아니라는 것인데, 가령 ClassLibrary1.dll 파일을 몇몇 폴더에 복사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직접 테스트해 볼 수 있습니다.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string path = AppDomain.CurrentDomain.BaseDirectory; // "C:\\WebApplication1"

    {
        string filePath = Path.Combine(path, "ClassLibrary1.dll");
        Assembly asm = Assembly.LoadFrom(filePath, null); // OK - c:\WebApplication1\ClassLibrary1.dll
    }

    {
        string filePath = Path.Combine(path, "Test", "ClassLibrary1.dll");
        Assembly asm = Assembly.LoadFrom(filePath, null); // OK - c:\WebApplication1\Test\ClassLibrary1.dll
    }

    {
        string filePath = Path.Combine(path, "bin", "Test", "ClassLibrary1.dll");
        Assembly asm = Assembly.LoadFrom(filePath, null); // 검증 실패 - c:\WebApplication1\bin\Test\ClassLibrary1.dll
    }
}

더욱 재미있는 것은, ASP.NET의 경우 bypassTrustedAppStrongNames 조건을 false로 주어도 여전히 bin 폴더(및 그 하위) 이외에 배포된 DLL은 검증 과정 없이 직접 로딩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또한 그 반대로 bypassTrustedAppStrongNames 조건을 true로 주어도 bin 폴더(및 그 하위)의 경우에는 검증 작업이 생략되지 않습니다. (아쉽게도 그 이유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ASP.NET이 특별 대우인 것인지, 아니면 bypassTrustedAppStrongNames를 타기 위한 4가지 조건에 안 맞는 것이 있는지!)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830정성태1/10/201023528개발 환경 구성: 69. Windows Internal Database
829정성태1/7/201022910개발 환경 구성: 68. ODP.NET + OraMTS 사용
828정성태1/7/201030784개발 환경 구성: 67. 환경 변수를 이용한 다중 ODAC 버전 테스트
827정성태1/4/201023022개발 환경 구성: 66.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64비트 Oracle Data Access Components 사용 (2)
826정성태1/3/201030476기타: 28. 2009년 인기 순위 정리
825정성태1/3/201047249개발 환경 구성: 65.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64비트 Oracle Data Access Components 사용 [5]
823정성태1/1/201024450개발 환경 구성: 64. ODP.NET 설치 작업 없이 ASP.NET 응용 프로그램 배포파일 다운로드1
822정성태1/1/201086658개발 환경 구성: 63. ODP.NET 설치 없이 .NET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배포하는 방법 [6]파일 다운로드2
821정성태1/1/201049525개발 환경 구성: 62.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Oracle XE 사용 [1]
820정성태12/29/200920948개발 환경 구성: 61. Oxite 소스 코드를 Visual Studio 2010으로 마이그레이션파일 다운로드1
818정성태12/27/200919631개발 환경 구성: 60. Cassini 서버를 localhost 이외의 주소에서 접근하도록 변경
817정성태12/21/200921116개발 환경 구성: 59. WebDev 2.0에서 실행하는 Pet Shop 4.0
816정성태12/19/200922829개발 환경 구성: 58. Pet Shop 4.0을 IIS 없이 실행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815정성태12/18/200925671개발 환경 구성: 57. Pet Shop 4.0 - SQL Server Compact Edition Version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814정성태12/16/200920997오류 유형: 91. VS2010 beta2 - The application cannot start
812정성태12/11/200924622개발 환경 구성: 56. Pet Shop 4.0 - SQL Server Compact Edition Version파일 다운로드2
811정성태12/2/200938149.NET Framework: 169. [in, 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8]파일 다운로드2
810정성태12/1/200934596.NET Framework: 168. [in,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3]
809정성태11/27/200924552오류 유형: 90. Method not found: 'Void System.Reflection.Emit.DynamicMethod..ctor(System.String, System.Type, System.Type[])'.
808정성태11/26/200933406VC++: 38. X64 빌드 오류: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COMDLL]_ProxyFileInfo
807정성태11/23/200927147웹: 14. 로컬에 있는 HTML 페이지를 보호 모드에서 여는 방법
802정성태11/19/200929190.NET Framework: 167. 다른 스레드의 호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801정성태11/18/200936843개발 환경 구성: 55. Hyper-V와 고성능 그래픽 카드의 성능 문제 해결 [1]
800정성태11/13/200929609VS.NET IDE: 66. 수동으로 구성해 본 VC++ 프로젝트 설정: ReleaseMinDependency
798정성태11/10/200928263개발 환경 구성: 54. .NET 개발자가 처음 설치해 본 TOMCAT [2]
797정성태11/9/200924647개발 환경 구성: 53. 물리 PC에 설치된 Windows 7을 Hyper-V로 이전하면?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