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688. NGen 모듈과 .NET Profiler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337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NGen 모듈과 .NET Profiler

테스트를 위해 다음과 같이 현재 프로세스에 올라온 NGen 이미지 목록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봅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Linq;

namespace ConsoleApp1
{
    class Program
    {
        // How to determine if assembly has been ngen'd?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167382/how-to-determine-if-assembly-has-been-ngend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Is64bit == " + Environment.Is64BitProcess);

            Process process = Process.GetCurrentProcess();

            ProcessModule[] modules = new ProcessModule[process.Modules.Count];
            process.Modules.CopyTo(modules, 0);

            var niQuery = from m in modules where m.FileName.Contains(".ni.") select m.FileName;
            bool ni = niQuery.Count() > 0 ? true : false;

            if (ni == false)
            {
                return;
            }

            foreach (var item in niQuery)
            {
                Console.WriteLine("Native Image: " + item);
            }

            Console.WriteLine("press RETURN to exit...");
            Console.ReadLine();
        }
    }
}

빌드하고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D:\temp>ConsoleApp1.exe
Is64bit == True
Native Image: C:\Windows\assembly\NativeImages_v4.0.30319_64\mscorlib\701f2b79b02a02beba70e50bb2edb212\mscorlib.ni.dll
Native Image: C:\Windows\assembly\NativeImages_v4.0.30319_64\System\32e6872e37b1f771bbe543748e6e73f0\System.ni.dll
press RETURN to exit...

정상적으로 mscorlib.dll과 system.dll에 대해 ngen-ed 이미지가 올라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 그럼 해당 프로세스에 .NET Profiler를 붙여 봅니다. 이때의 프로파일러는 COR_PRF_USE_PROFILE_IMAGES 옵션을 사용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이제 다시 예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D:\temp>ConsoleApp1.exe
Is64bit == True
press RETURN to exit...

왜냐하면 (COR_PRF_USE_PROFILE_IMAGES 옵션을 적용한) .NET Profiler는 ngen-ed 이미지 중에서도 /profile 옵션이 적용된 ngen-ed 이미지만을 로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무조건 원본 어셈블리로부터 JIT 시켜서 사용합니다.




COR_PRF_USE_PROFILE_IMAGES 옵션을 적용한 .NET Profiler가 ngen-ed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방안이 바로 /profile 옵션을 적용한 새로운 ngen-ed 이미지입니다.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ngen install mscorlib.dll /profile
Microsoft (R) CLR Native Image Generator - Version 4.0.30319.1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Installing assembly mscorlib.dll
    Compiling assembly mscorlib, Version=2.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77a5c561934e089 (CLR v2.0.50727) ...
mscorlib, Version=2.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77a5c561934e089 <profiling>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

이렇게 /profile 이미지를 마련해 주고 다시 COR_PRF_USE_PROFILE_IMAGES 옵션을 적용한 .NET Profiler를 실행시키면 ngen-ed 이미지들이 올라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temp>ConsoleApp1.exe
Is64bit == True
Native Image: C:\Windows\assembly\NativeImages_v4.0.30319_64\mscorlib\c94771552ff5ac0bc50c073bf5b71fb6\mscorlib.ni.dll
press RETURN to exit...

당연히 처음 실행과 비교해 ngen-ed 이미지들의 경로도 다릅니다.

// release 버전의 mscorlib.ni.dll
    C:\Windows\assembly\NativeImages_v4.0.30319_64\mscorlib\701f2b79b02a02beba70e50bb2edb212\mscorlib.ni.dll

// profiling 버전의 mscorlib.ni.dll
    C:\Windows\assembly\NativeImages_v4.0.30319_64\mscorlib\c94771552ff5ac0bc50c073bf5b71fb6\mscorlib.ni.dll




몇 가지 유용한 명령어를 미리 소개해 드리면, 우선 /profile 옵션이 적용된 어셈블리는 각 플랫폼/CLR 별로 해줘야 합니다. 그래서 원하는 어셈블리가 있다면 다음과 같이 실행하면 됩니다.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ngen" install d:\temp\test.dll /profile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2.0.50727\ngen" install d:\temp\test.dll /profile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4.0.30319\ngen" install d:\temp\test.dll /profile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ngen" install d:\temp\test.dll /profile

또한 /profile로 생성하는 경우 대상 어셈블리뿐만 아니라 그것이 참조/의존하고 있는 모든 어셈블리들이 함께 /profile NGen 이미지들이 생성됩니다.

이후, /profile 옵션이 적용된 어셈블리 목록을 다음의 명령어로 간결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

ngen display | find "<profiling>"

재미있는 것은, ngen display는 플랫폼 단위로 CLR 버전에 상관없이 /profile 이미지들을 보여준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플랫폼 별로만 다음과 같이 확인하면 됩니다.

// CLR 2/4에 상관없이 64비트 /profile NGEN 이미지 목록을 출력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ngen" display | find "<profiling>"

// CLR 2/4에 상관없이 32비트 /profile NGEN 이미지 목록을 출력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4.0.30319\ngen" display | find "<profiling>"

/profile NGen 이미지들을 삭제하고 싶다면 다음의 명령어로 할 수 있습니다.

ngen uninstall * /profile

display 옵션과 마찬가지로 이것 역시 플랫폼 단위로 CLR 버전에 상관없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각각의 플랫폼 별로 실행해야 전부 삭제됩니다.

// CLR 2/4에 상관없이 64비트 /profile NGEN 이미지를 삭제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ngen" uninstall * /profile

// CLR 2/4에 상관없이 32비트 /profile NGEN 이미지를 삭제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4.0.30319\ngen" uninstall * /profile

만약 개별 어셈블리를 지정한다면 다음과 같이 어셈블리 이름 형식으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

// 플랫폼에 등록된 test 프로파일 NGen 이미지를 CLR 버전에 상관없이 삭제
ngen uninstall test /profile

// 플랫폼에 등록된 "test, Version=2.3.0.0"에 해당하는 프로파일 NGen 이미지를 CLR 버전에 상관없이 삭제
ngen uninstall "test, Version=2.3.0.0" /profile




검색하다 보면, 일부 .NET Profiler 제품의 경우 profile NGEN 이미지들이 있는 경우 오동작을 한다는 글이 있습니다.

Known issues with "profile" NGEN Images
; https://dotnettools-support.jetbrains.com/hc/en-us/articles/207241935-Known-issues-with-profile-NGEN-Images

위의 글을 정리해 보면, "dotCover"나 "dotTrace"같은 제품의 경우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System.MissingMethodException: Method not found: 'Void System.Runtime.Versioning.TargetFrameworkAttribute.JetBrains_Profiler_Core_Instrumentation_Begin(UIntPtr ByRef)

개발자이다 보니 ^^ 문제의 원인이 눈에 들어옵니다.

위와 같은 제품들은 COR_PRF_USE_PROFILE_IMAGES 옵션을 사용하고 있으며 mscorlib.dll의 메서드까지도 injection할 수 있도록 mscorlib.dll에 이미 정의된 System.Runtime.Versioning.TargetFrameworkAttribute 타입에 JetBrains_Profiler_Core_Instrumentation_Begin 메서드를 "동적으로" 추가한 유형입니다.

따라서 /profile 이미지가 있는 경우 그 버전의 mscorlib.ni.dll을 로드하게 되고 당연히 "동적으로" JetBrains_Profiler_Core_Instrumentation_Begin 메서드를 TargetFrameworkAttribute 타입에 정의할 기회를 잃어버리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메서드에 대한 IL 코드를 변조해 JetBrains_Profiler_Core_Instrumentation_Begin을 호출하도록 만들게 되면 System.MissingMethodException 예외가 발생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측에서 이에 대해 다음 버전에 플래그를 추가해 줄 거라고 하는데 아마도 그 플래그가 .NET 4.5부터 추가된 COR_PRF_DISABLE_ALL_NGEN_IMAGES일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4/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08정성태4/23/201814680개발 환경 구성: 373. MSBuild를 이용해 프로젝트 배포 후 결과물을 zip 파일로 압축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07정성태4/20/201814625개발 환경 구성: 372. MSBuild - 빌드 전/후, 배포 전/후 실행하고 싶은 Task 정의
11506정성태4/20/201818552.NET Framework: 740. C#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 두 번째 이야기 [7]파일 다운로드1
11505정성태4/19/201811998개발 환경 구성: 371. Azure Web App 확장 예제 - Simple WebSite Extension
11504정성태4/19/201813303오류 유형: 465. Azure Web App 확장 - Extplorer File manager 적용 시 오류
11503정성태4/19/201814129오류 유형: 464. PowerShell - Start-Service 명령 오류 (Service 'xxx' cannot be started)
11502정성태4/17/201815106개발 환경 구성: 370. Azure VM/App Services(Web Apps)에 Let's Encrypt 무료 인증서 적용 방법 [3]
11501정성태4/17/201812118개발 환경 구성: 369. New-AzureRmADServicePrincipal로 생성한 계정의 clientSecret, key 값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00정성태4/17/201812975개발 환경 구성: 368. PowerShell로 접근하는 Azure의 Access control 보안과 Azure Active Directory의 계정 관리 서비스
11499정성태4/17/201811899개발 환경 구성: 367. Azure - New-AzureRmADServicePrincipal / New-AzureRmRoleAssignment 명령어
11498정성태4/17/201811662개발 환경 구성: 366. Azure Active Directory의 사용자 유형 구분 - Guest/Member
11497정성태4/17/201810062개발 환경 구성: 365. Azure 리소스의 액세스 제어(Access control) 별로 사용자에게 권한을 할당하는 방법 [2]
11496정성태4/17/201810472개발 환경 구성: 364. Azure Portal에서 구독(Subscriptions) 메뉴가 보이지 않는 경우
11495정성태4/16/201812916개발 환경 구성: 363. Azure의 Access control 보안과 Azure Active Directory의 계정 관리 서비스
11494정성태4/16/201810200개발 환경 구성: 362. Azure Web Apps(App Services)에 사용자 DNS를 지정하는 방법
11493정성태4/16/201811787개발 환경 구성: 361. Azure Web App(App Service)의 HTTP/2 프로토콜 지원
11492정성태4/13/201810174개발 환경 구성: 360. Azure Active Directory의 사용자 도메인 지정 방법
11491정성태4/13/201812568개발 환경 구성: 359. Azure 가상 머신에 Web Application을 배포하는 방법
11490정성태4/12/201812154.NET Framework: 739. .NET Framework 4.7.1의 새 기능 - Configuration builders [1]파일 다운로드1
11489정성태4/12/20189556오류 유형: 463. 윈도우 백업 오류 - a Volume Shadow Copy Service operation failed.
11488정성태4/12/201811891오류 유형: 462. Unhandled Exception in Managed Code Snap-in - FX:{811FD892-5EB4-4E73-A147-F1E079E36C4E}
11487정성태4/12/201811492디버깅 기술: 115. windbg - 닷넷 메모리 덤프에서 정적(static) 필드 값을 조사하는 방법
11486정성태4/11/201811051오류 유형: 461. Error MSB4064 The "ComputeOutputOnly" parameter is not supported by the "VsTsc" task
11485정성태4/11/201816615.NET Framework: 738. C# - Console 프로그램이 Ctrl+C 종료 시점을 감지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484정성태4/11/201817136.NET Framework: 737. C# - async를 Task 타입이 아닌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483정성태4/10/201819822개발 환경 구성: 358. "Let's Encrypt"에서 제공하는 무료 SSL 인증서를 IIS에 적용하는 방법 (2)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