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19. windbg에서 python 스크립트 실행하는 방법 - pykd
; https://www.sysnet.pe.kr/2/0/11227

디버깅 기술: 96. windbg - 풀 덤프에 포함된 모든 닷넷 모듈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97

디버깅 기술: 103.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모든 DLL에 대한 심벌 파일을 로드하는 파이썬 스크립트
; https://www.sysnet.pe.kr/2/0/11331

디버깅 기술: 143. windbg/sos - Hashtable의 bucket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 https://www.sysnet.pe.kr/2/0/12084

디버깅 기술: 145. windbg/sos - Dictionary의 entrie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 https://www.sysnet.pe.kr/2/0/12087

디버깅 기술: 178. windbg - 디버그 시작 시 스크립트 실행
; https://www.sysnet.pe.kr/2/0/12472

개발 환경 구성: 621. windbg에서 python 스크립트 실행하는 방법 - pykd (2)
; https://www.sysnet.pe.kr/2/0/12899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모든 DLL에 대한 심벌 파일을 로드하는 파이썬 스크립트

지난 글에서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DLL에 대한 심벌 파일 로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DLL의 심벌 파일 로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30

그런데, 규모가 좀 있는 프로그램이라면 DLL이 꽤나 많을 텐데 언제 저런 작업을 하고 있겠습니까? ^^

그래서 예전에 소개한 pykd를 이용해,

windbg에서 python 스크립트 실행하는 방법 - pykd
; https://www.sysnet.pe.kr/2/0/11227

다음과 같은 확장 스크립트(symbol_net.py)를 만들었습니다.

from pykd import *

def getItem(text, key):
    result = text
    for line in text.splitlines():
        if key in line:
            result = line.split(":")[1].strip()
    return result

def getAddress(text):
    return text.split("(")[0].strip()

outputText = pykd.dbgCommand("!name2ee *!enumerate_all_dlls")

for line in outputText.split("--------------------------------------"):
    moduleAddress = getItem(line, "Module:")
    moduleName = getItem(line, "Assembly:")

    if moduleName == "":
        continue

    moduleInfo = pykd.dbgCommand("!dumpmodule " + moduleAddress)

    moduleStartAdderss = getItem(moduleInfo, "MetaData start address")
    hInstance = long(getAddress(moduleStartAdderss), 16)

    hInstance = hInstance & 0xFFFFFFFFFFFF0000

    dprintln(moduleName + ": " + hex(hInstance).strip('L'))
    cmdText = ".reload /f " + moduleName + "=" + hex(hInstance).strip('L')
    dprintln("\t" + cmdText)
    pykd.dbgCommand(cmdText)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pykd를 로드하고 그냥 실행만 하면 됩니다.

// 물론 사전에 sos.dll이 로드되어 있어야 함.

0:000> .load d:\pykd\x64\pykd.dll

0:000> !py d:\pykd\symbol_net.py
mscorlib.dll: 0x7ff962690000
    .reload /f mscorlib.dll=0x7ff962690000
ConsoleApp1.exe: 0x1eae1220000
    .reload /f ConsoleApp1.exe=0x1eae1220000
ClassLibrary1.dll: 0x1eae1550000
    .reload /f ClassLibrary1.dll=0x1eae1550000

그럼 위와 같이 !name2ee 명령어로 출력되던 모든 닷넷 어셈블리에 대해 MetaData start address 값에서 64KB 단위의 정렬로 가정한 주소로 매핑시켜 줍니다. (이 가정은 마이크로소프트의 구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세요.)

제법 큰 예제 프로젝트를 통해 모든 DLL들이 64KB 정렬되었다는 가정이 잘 통했으므로 이 정도 선에서 ^^ 마무리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032정성태4/17/202220059오류 유형: 805. Github의 50MB 파일 크기 제한 - warning: GH001: Large files detected. You may want to try Git Large File Storage
13031정성태4/15/202220029.NET Framework: 1194. C# - IdealProcessor와 ProcessorAffinity의 차이점
13030정성태4/15/202216670오류 유형: 804. 정규 표현식 오류 - Quantifier {x,y} following nothing.
13029정성태4/14/202219907Windows: 203. iisreset 후에도 이전에 설정한 전역 환경 변수가 w3wp.exe에 적용되는 문제
13028정성태4/13/202219924.NET Framework: 1193. (appsettings.json처럼) web.config의 Debug/Release에 따른 설정 적용
13027정성태4/12/202219121.NET Framework: 1192. C# - 환경 변수의 변화를 알리는 WM_SETTINGCHANGE Win32 메시지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3026정성태4/11/202219344.NET Framework: 1191. C 언어로 작성된 FFmpeg Examples의 C# 포팅 전체 소스 코드 [3]
13025정성태4/11/202219673.NET Framework: 119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vaapi_encode.c, vaapi_transcode.c 예제 포팅
13024정성태4/7/202218375.NET Framework: 1189. C# - 런타임 환경에 따라 달라진 AppDomain.GetCurrentThreadId 메서드
13023정성태4/6/202219147.NET Framework: 118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ing.c 예제 포팅 [3]
13022정성태3/31/202218412Windows: 202. 윈도우 11 업그레이드 - "PC Health Check"를 통과했지만 여전히 업그레이드가 안 되는 경우 해결책
13021정성태3/31/202220149Windows: 201. Windows - INF 파일을 이용한 장치 제거 방법
13020정성태3/30/202217233.NET Framework: 1187. RDP 접속 시 WPF UserControl의 Unloaded 이벤트 발생파일 다운로드1
13019정성태3/30/202218957.NET Framework: 1186. Win32 Message를 Code로부터 메시지 이름 자체를 텍스트로 구하고 싶다면?파일 다운로드1
13018정성태3/29/202219080.NET Framework: 1185. C# - Unsafe.AsPointer가 반환한 포인터는 pinning 상태일까요? [5]
13017정성태3/28/202216686.NET Framework: 118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3]
13016정성태3/27/202220800.NET Framework: 1183. C# 11에 추가된 ref 필드의 (우회) 구현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015정성태3/26/202223121.NET Framework: 1182. C# 11 - ref struct에 ref 필드를 허용 [1]
13014정성태3/23/202217882VC++: 155. CComPtr/CComQIPtr과 Conformance mode 옵션의 충돌 [1]
13013정성태3/22/202216959개발 환경 구성: 641. WSL 우분투 인스턴스에 파이썬 2.7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
13012정성태3/21/202217031오류 유형: 803. C# - Local '...' or its members cannot have their address taken and be used inside an anonymous method or lambda expression
13011정성태3/21/202221473오류 유형: 802.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웹캠 카메라 인식이 안 되는 경우
13010정성태3/21/202216488오류 유형: 801. Oracle.ManagedDataAccess.Core - GetTypes 호출 시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System.DirectoryServices.Protocols...'" 오류
13009정성태3/20/202219393개발 환경 구성: 640. docker - ibmcom/db2 컨테이너 실행
13008정성태3/19/202219643VS.NET IDE: 176. 비주얼 스튜디오 - 솔루션 탐색기에서 프로젝트를 선택할 때 csproj 파일이 열리지 않도록 만드는 방법
13007정성태3/18/202216942.NET Framework: 1181. C# - Oracle.ManagedDataAccess의 Pool 및 그것의 연결 개체 수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