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윈도우 10 Version 1709 (OS Build 16299.64) 업그레이드 시 발생한 문제 2가지

기존 "Version 1703 (OS Build 15063.674)" 빌드에서 오늘 "Version 1709 (OS Build 16299.64)"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를 했습니다. 이 버전부터, 드디어 "Windows Subsystem for Linux"가 베타 딱지를 떼게 되는데, 덕분에 Linux 관련 응용 프로그램 개발이 좀 더 자연스럽게 통합이 됩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

Windows 10으로 시작하는 Java 개발
; https://medium.com/@rkttu/start-java-dev-with-win-10-402cb91126fd

그런데, 업그레이드 후 2가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하나는, NVIDIA GTX960 그래픽 카드가 인식은 되는데 정상적으로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습니다. NVidia 측에서 최신 드라이버를 설치하려 해도 다음과 같은 오류 창이 떨어질 뿐입니다.

[그림 출처: https://www.custompcguide.net/2-methods-to-fix-nvidia-installer-failed-issue-for-geforce-video-cards/]
winupdate_16299_0.png

NVIDIA Installer failed

윈도우의 장치 관리자를 보면 다음과 같이 "Video Controller (VGA Compatible)"라고 나오는데,

winupdate_16299_1.png

저 항목을 우 클릭해 "Update driver" 메뉴를 통해 다운로드 한 NVidia display driver를 지정해도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와 함께 진행이 안됩니다.

NVIDIA Display settings are not available.
You are not currently using a display attached to an NVIDIA GPU.

재미있는 것은, 다음의 페이지를 이용해 확인을 하면 분명히 GTX960으로 인식은 된다는 점입니다.

http://www.nvidia.com/Download/Scan.aspx

Product Current
Installed Driver Recommended
Update 
GeForce GTX 960 -- GeForce Game Ready Driver
Version: 388.31  WHQL
Release Date: 15.11.2017 

실패한 드라이버 설치 시의 오류 로그를 보면 다음과 같은 항목이 있는데, 딱히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지 알 수가 없습니다.

C:\NvidiaLogging\LOG.setup.exe.log

     15.982 |    ERROR: [NVI2.InstallThread] 54@CInstallThread::ThreadProc : Install failed - Exception {0x80070002 -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File: InstallationStepper.cpp; Line: 769; Extension failed during call toAnalyze} - going to fail state. 

     20.758 |    ERROR: [NVI2.NVInstaller] 240@CNVInstaller::PerformSteps : Installation failed with error Exception {0x80070002 -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File: SimpleThread.h; Line: 228}. 

웹 상에서 여러 개를 검색했는데, 모두 실패했고 유일하게 다음의 글에 있는 도구를 이용해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Wagnard Tools (DDU,GMP,TDR Manipulator, *new* CPU Core Analyzer)-(Updated 11/01/2017) 
; https://forums.geforce.com/default/topic/550192/geforce-drivers/wagnard-tools-ddu-gmp-tdr-manupulator-updated-02-19-2015-/post/3846165/#3846165

제가 원래 ^^;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에서 뭔가 다운로드하는 것을 싫어하지만... 이번 경우는 어쩔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DDU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Display Driver Uninstaller (DDU) / Cleaner made for Display Drivers.(NVIDIA/AMD/INTEL)
; https://www.wagnardsoft.com/forums/viewtopic.php?f=5&t=925
; https://www.wagnardsoft.com/DDU/download/DDU%20v17.0.7.9.exe

윈도우를 안전 모드로 부팅한 후, DDU를 실행해 "Clean and restart" 메뉴를 실행했습니다. 그런 다음 다시 재부팅되고 이후 NVidia 설치 파일을 실행했더니 이번에는 "NVIDIA Installer failed" 메시지 없이 잘 설치가 진행되었습니다.




두 번째 문제는 윈도우 업그레이드 이후 새롭게 적용된 Hyper-V가 무조건 생성한 "Default Switch"로 인한 네트워크 오작동입니다.

아래의 그림에서 기존에 설정했던 Hyper-V의 인터넷 가능한 네트워크 스위치 이름은 vpc-switch였습니다. 그리고 그 아래에 강제로 생성된 "Default Switch"가 있는데 재미있는 것은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 화면에서 "vpc-switch"는 삭제되었고 "Default Switch"가 대신 자리 잡고 있다는 것입니다.

winupdate_16299_2.png

즉, vpc-switch가 살아 있었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었을 텐데 그것이 삭제되면서 인터넷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또는, "Default Switch"가 인터넷 가능하도록 설정되었다면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상하게도 IP가 다음과 같은 식으로 잡혀 있었습니다.

IP: 172.21.172.33
Subnet: 255.255.255.240

(IP를 변경하면 되겠지만) 그대로 두고 Hyper-V의 switch 관리자에서 기존 vpc-switch를 삭제 후 다시 생성하는 것으로 해결을 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7/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05정성태1/23/201421239개발 환경 구성: 212. Visual Studio Online과 "Monaco" 서비스 연동
1604정성태1/23/201421618오류 유형: 216. 윈도우 서버 백업 - Hyper-V 가상 머신이 백업되지 않는 경우 (2)
1603정성태1/23/201433688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1]
1602정성태1/22/201423824디버깅 기술: 62. windbg - 사용자 모드 원격 디버깅
1601정성태1/22/201427434오류 유형: 215. windbg - Symbol file could not be found. Defaulted to export symbols
1600정성태1/19/201424089.NET Framework: 410.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을 Paralle.For와 함께? [1]파일 다운로드1
1599정성태1/18/201432198.NET Framework: 409.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598정성태1/17/201425528디버깅 기술: 61.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
1597정성태1/17/201424117Phone: 9. Xamarin Android에 구글 AdMob 사용하는 방법 [1]
1596정성태1/17/201423049오류 유형: 214. Local SYSTEM 계정으로 실행된 IE에서 다운로드가 안 되는 문제
1595정성태1/16/201420045오류 유형: 213. attrib - Not resetting system file
1594정성태1/15/201422191오류 유형: 212. 마이크로소프트 라이브 계정 로그인 실패하는 경우
1593정성태1/14/201420826오류 유형: 211.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IIS Express에서 디버깅할 때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오류 발생
1592정성태1/14/201421112오류 유형: 210. 2대의 AD가 있는 경우 도메인에 컴퓨터 추가를 실패한다면? [1]
1591정성태1/14/201423281오류 유형: 209. DebugDiag: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version...].dll
1590정성태1/14/201423950오류 유형: 208. VSS Writer - NTDS 오류
1589정성태1/14/201432895Windows: 85.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2]
1588정성태1/14/201429681Windows: 84. 윈도우 7/8 - 메뉴 항목이 잔상으로 남는 문제
1587정성태1/14/201425591디버깅 기술: 60.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
1586정성태1/14/201427306디버깅 기술: 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1]
1585정성태1/14/201430201VS.NET IDE: 84. Visual Studio를 이용한 파일 비교(diff)
1584정성태1/13/201432506Windows: 83. 윈도우 8 - UI가 있는 프로그램을 Local SYSTEM 권한의 세션 0 데스크톱에서 실행하는 방법
1583정성태1/13/201430511Windows: 82. 윈도우 8 - "Interactive Services Detection" 서비스 시작하는 방법 [1]
1582정성태1/12/201428971개발 환경 구성: 210. 원격 데스크톱(RDP) 접속 프로그램 - Royal TS [1]
1581정성태1/12/201430318.NET Framework: 408. 자바와 닷넷의 제네릭 차이점 - 중간 언어 및 공변/반공변 처리 [8]
1580정성태1/12/201440336.NET Framework: 40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