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429. 이벤트 로그 - User Policy could not be updated successfully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35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이벤트 로그 - User Policy could not be updated successfully

gpupdate /force 명령어 수행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C:\WINDOWS\system32>gpupdate /force
Updating policy...

Computer Policy update has completed successfully.
User Policy could not be updated successfully. The following errors were encountered:

The processing of Group Policy failed. Windows could not determine if the user and computer accounts are in the same forest. Ensure the user domain name matches the name of a trusted domain that resides in the same forest as the computer account.

To diagnose the failure, review the event log or run GPRESULT /H GPReport.html from the command line to access information about Group Policy results.

이와 함께 이벤트 로그에 관련 항목이 기록됩니다.

Log Name:      System
Source:        Microsoft-Windows-GroupPolicy
Date:          2017-11-23 오후 12:04:28
Event ID:      1110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User:          TESTAD\TestUser
Computer:      TESTMAIN.TESTAD.com
Description:
The processing of Group Policy failed. Windows could not determine if the user and computer accounts are in the same forest. Ensure the user domain name matches the name of a trusted domain that resides in the same forest as the computer account.
Event Xml:
<Event xmlns="http://schemas.microsoft.com/win/2004/08/events/event">
  <System>
    <Provider Name="Microsoft-Windows-GroupPolicy" Guid="{AEA1B4FA-97D1-45F2-A64C-4D69FFFD92C9}" />
    <EventID>1110</EventID>
    <Version>0</Version>
    <Level>2</Level>
    <Task>0</Task>
    <Opcode>1</Opcode>
    <Keywords>0x8000000000000000</Keywords>
    <TimeCreated SystemTime="2017-11-23T03:04:28.048164700Z" />
    <EventRecordID>70550</EventRecordID>
    <Correlation ActivityID="{17E672BE-0F2B-4DFD-99F6-D53F42876BFD}" />
    <Execution ProcessID="1028" ThreadID="1352" />
    <Channel>System</Channel>
    <Computer>TESTMAIN.TESTAD.com</Computer>
    <Security UserID="S-1-5-21-1990051354-560935109-2448667075-1104" />
  </System>
  <EventData>
    <Data Name="SupportInfo1">1</Data>
    <Data Name="SupportInfo2">2639</Data>
    <Data Name="ProcessingMode">0</Data>
    <Data Name="ProcessingTimeInMilliseconds">15</Data>
    <Data Name="ErrorCode">1722</Data>
    <Data Name="ErrorDescription">The RPC server is unavailable. </Data>
  </EventData>
</Event>

gpresult를 실행해,

C:\WINDOWS\system32> GPRESULT /H GPReport.html

생성된 gpreport.html를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During last computer policy refresh on 2017-11-23 오후 12:33:32
Error: Computer determined to be not in a site. Error code 0x77F.

During last user policy refresh on 2017-11-23 오후 12:33:32
The processing of Group Policy failed. Windows could not determine if the user and computer accounts are in the same forest. Ensure the user domain name matches the name of a trusted domain that resides in the same forest as the computer account.

딱히 해결 방법을 못 찾다가 결국 다음의 글에 따라,

Event ID 1110 - Group Policy Preprocessing (Active Directory)
; https://docs.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windows/it-pro/windows-server-2008-R2-and-2008/cc727342(v=ws.10)

Disjoin and join the computer to the domain. Then log on with the same user account that experienced the problem.

해당 컴퓨터를 AD로부터 분리한 후 다시 연결하는 것으로 해결했습니다. (그러고 보면 잘 해결되지 않는 AD 문제는 다시 연결하면 해결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참고로, 다음과 같이 실행할 때마다 경고가 뜰 수 있습니다.

C:\WINDOWS\system32> gpupdate /force
Updating policy...

Computer Policy update has completed successfully.
User Policy update has completed successfully.

The following warnings were encountered during user policy processing:

The Group Policy Client Side Extension Folder Redirection was unable to apply one or more settings because the changes must be processed before system startup or user logon. The system will wait for Group Policy processing to finish completely before the next startup or logon for this user, and this may result in slow startup and boot performance.

For more detailed information, review the event log or run GPRESULT /H GPReport.html from the command line to access information about Group Policy results.

Certain user policies are enabled that can only run during logon.

OK to log off? (Y/N)

로그오프/온 이후에도 gpupdate /force를 수행하면 다시 동일하게 경고가 뜨며, gpreport.html에도 다음과 같은 정도의 메시지만 들어 있습니다.

Folder Redirection did not complete policy processing because the user needs to log on again for the settings to be applied. Group Policy will attempt to apply the settings at the user's next logon.

Additional information may have been logged. Review the Policy Events tab in the console or the application event log for events between 2017-11-23 오후 1:51:33 and 2017-11-23 오후 1:51:34.

그런데 이 경고는 그냥 무시하면 됩니다.

The Group Policy Client Side Extension Folder Redirection Issue 
; https://social.technet.microsoft.com/Forums/windowsserver/en-US/2ff78117-8d11-42b4-b5cd-07c1e3fab6d2/the-group-policy-client-side-extension-folder-redirection-issue?forum=winserverGP

위의 글에도 나오지만 원래 "Folder Redirection" 설정은 로그온 시에만 동기적으로 적용되는 정책이기 때문에 비동기 식으로 업데이트하는 gpupdate /force로 강제 설정을 하면 경고로 뜨는 것에 불과합니다. 즉, 어쨌든 로그온 시에 적용이 될 것이고 다시 gpupdate /force를 실행하면 그사이 또 바뀐 것에 대해 다음번 로그온 시에 적용하겠다는 경고일 뿐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57정성태11/15/201727108개발 환경 구성: 336. 윈도우 10 Bash 쉘에서 C++ 컴파일하는 방법
11356정성태11/15/201728656사물인터넷: 8.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4]
11355정성태11/15/201724501사물인터넷: 7.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2
11354정성태11/14/201728655사물인터넷: 6.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8]
11353정성태11/14/201725863사물인터넷: 5.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이더넷 카드로 쓰는 방법 [1]
11352정성태11/14/201721945사물인터넷: 4. Samba를 이용해 윈도우와 Raspberry Pi간의 파일 교환 [1]
11351정성태11/7/201725208.NET Framework: 698. C# 컴파일러 대신 직접 구현하는 비동기(async/await) 코드 [6]파일 다운로드1
11350정성태11/1/201721171디버깅 기술: 108. windbg 분석 사례 - Redis 서버로의 호출을 기다리면서 hang 현상 발생
11349정성태10/31/201721639디버깅 기술: 107. windbg - x64 SOS 확장의 !clrstack 명령어가 출력하는 Child SP 값의 의미 [1]파일 다운로드1
11348정성태10/31/201718136디버깅 기술: 106. windbg - x64 역어셈블 코드에서 닷넷 메서드 호출의 인자를 확인하는 방법
11347정성태10/28/201721718오류 유형: 424. Visual Studio - "클래스 다이어그램 보기" 시 "작업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해당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발생
11346정성태10/25/201718273오류 유형: 423. Windows Server 2003 - The client-side extension could not remove user policy settings for 'Default Domain Policy {...}' (0x8007000d)
11338정성태10/25/201716675.NET Framework: 697. windbg - SOS DumpMT의 "BaseSize", "ComponentSiz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7정성태10/24/201718811.NET Framework: 696. windbg - SOS DumpClass/DumpMT의 "Vtable Slots", "Total Method Slots", "Slots in VTabl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6정성태10/20/201719581.NET Framework: 695. windbg - .NET string의 x86/x64 메모리 할당 구조
11335정성태10/18/201718587.NET Framework: 694. 닷넷 - <Module> 클래스의 용도
11334정성태10/18/201719629디버깅 기술: 105. windbg - k 명령어와 !clrstack을 조합한 호출 스택을 얻는 방법
11333정성태10/17/201718786오류 유형: 422. 윈도우 업데이트 - Code 9C48 Windows update encountered an unknown error.
11332정성태10/17/201719799디버깅 기술: 104. .NET Profiler + 디버거 연결 + .NET Exceptions = cpu high
11331정성태10/16/201718147디버깅 기술: 103.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모든 DLL에 대한 심벌 파일을 로드하는 파이썬 스크립트
11330정성태10/16/201717401디버깅 기술: 102.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DLL의 심벌 파일 로드 방법 [1]
11329정성태10/15/201721506.NET Framework: 693. C# - 오피스 엑셀 97-2003 .xls 파일에 대해 32비트/64비트 상관없이 접근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8정성태10/15/201724429.NET Framework: 692. C# - 하나의 바이너리로 환경에 맞게 32비트/64비트 EXE를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7정성태10/15/201718204.NET Framework: 691. AssemblyName을 .csproj에서 바꾼 경우 빌드 오류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26정성태10/15/201718508.NET Framework: 690. coreclr 소스코드로 알아보는 .NET 4.0의 모듈 로딩 함수 [1]
11325정성태10/14/201719392.NET Framework: 689. CLR 4.0 환경에서 DLL 모듈의 로드 주소(Base address) 알아내는 방법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