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이벤트 로그 - Time Provider NtpClient: No valid response has been received from domain controller

이벤트 로그에 다음과 같은 경고가 있습니다.

Log Name:      System
Source:        Microsoft-Windows-Time-Service
Date:          2017-12-02 오후 11:31:08
Event ID:      24
Task Category: None
Level:         Warning
Keywords:      
User:          LOCAL SERVICE
Computer:      TESTPC.TESTAD.com
Description:
Time Provider NtpClient: No valid response has been received from domain controller PDC1.TESTAD.com after 8 attempts to contact it. This domain controller will be discarded as a time source and NtpClient will attempt to discover a new domain controller from which to synchronize. The error was: The peer is unreachable. 

위의 메시지를 보면 Active Directory의 PDC1 도메인 컨트롤러로부터 시간 동기화를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정작 오류가 발생하는 PC에서 w32tm으로 시간 동기화를 하면 다음과 같이 잘 실행이 됩니다.

C:\WINDOWS\system32> w32tm /resync
Sending resync command to local computer
The command completed successfully.

C:\WINDOWS\system32> w32tm /query /status
Leap Indicator: 0(no warning)
Stratum: 5 (secondary reference - syncd by (S)NTP)
Precision: -6 (15.625ms per tick)
Root Delay: 0.4771762s
Root Dispersion: 7.9354356s
ReferenceId: 0x34A88A91 (source IP:  52.168.138.145)
Last Successful Sync Time: 2017-12-04 오전 10:04:33
Source: time.windows.com,0x9
Poll Interval: 6 (64s)

이것은 PDC1 도메인 컨트롤러로부터 시간 동기화는 실패했지만 2차 선택으로 time.windows.com을 통해 시간 동기화를 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즉, 어쨌든 결과적으로 PDC1으로부터의 시간 동기화는 실패하고 있는 것입니다.

참고로, PDC1 도메인 컨트롤러로 시간 동기화 가능 여부를 다음과 같이 직접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C:\WINDOWS\system32> w32tm /stripchart /computer:PDC1.TESTAD.com /dataonly
Tracking PDC1.TESTAD.com [192.168.100.80:123].
The current time is 2017-12-08 오전 11:02:08.
11:02:08, error: 0x800705B4
11:02:11, error: 0x800705B4

0x800705B4 == This operation returned because the timeout period expired. 

이유는 간단합니다. PDC1 서버의 NtpServer가 동작하지 않도록 지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레지스트리 값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로: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W32Time\TimeProviders\NtpServer
키이름: Enabled
타입: DWORD 
값: 0

저 값을 1로 바꿔준 후 "Windows Time" 서비스를 재시작하면 이제 PDC1의 NtpServer 기능이 활성화됩니다. 이후, 이벤트 경고가 발생한 PC에서 다시 PDC1에 시간 테스트를 하면 다음과 같이 잘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WINDOWS\system32> w32tm /stripchart /computer:PDC1.TESTAD.com /dataonly
Tracking PDC1.TESTAD.com [192.168.100.80:123].
The current time is 2017-12-08 오후 12:01:17.
12:01:17, +00.0638259s
12:01:19, +00.0776507s
12:01:21, +00.0777778s

물론 이벤트 로그에도 정상적으로 PDC1이 동기화 대상으로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항목이 남습니다.

Log Name:      System
Source:        Microsoft-Windows-Time-Service
Date:          2017-12-08 오전 11:47:23
Event ID:      35
Task Category: None
Level:         Information
Keywords:      
User:          LOCAL SERVICE
Computer:      TESTPC.TESTAD.com
Description:
The time service is now synchronizing the system time with the time source PDC1.TESTAD.com (ntp.d|0.0.0.0:123->192.168.100.95:123).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8/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87정성태6/24/200619358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7.1. 외부 빌드 머신 구성 - 다른 블로그 자료
275정성태6/7/200627383디버깅 기술: 4. VC++ 8.0 원격 디버깅 구성 - Side-by-Side DLL 문제.
269정성태6/6/200624256Team Foundation Server: 6.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70정성태6/5/200621682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6.1.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73정성태6/6/200624339    답변글 Team Foundation Server: 6.2. 두번째 방법 - HTTPS 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1]
267정성태6/4/200623715Team Foundation Server: 5. 인터넷으로 Team Server 접근 [2]
266정성태6/8/200620025오류 유형: 7. [설치] mpoai9.dll 관련 오류
265정성태6/1/200627775디버깅 기술: 3. 원격 컴퓨터 디버깅 - VPC 설정
314정성태8/11/200625087    답변글 디버깅 기술: 3.1. Managed 원격 디버깅과 WinDBG 원격 디버깅
264정성태6/1/200634500오류 유형: 6. [VC++ 컴파일] already defined in ntdll.lib(ntdll.dll)
263정성태6/1/200635197디버깅 기술: 2. 커널 구조체 살펴보기 [5]
262정성태6/1/200628003오류 유형: 5. [설치] WinFX Beta2 - 설치시 문제점 해결
261정성태6/1/200623919웹: 3. IIS 6.0 - AppPool을 활용하여 실 서버(운영 서버)에서 디버깅
258정성태6/1/200631863디버깅 기술: 1. 디버깅 방법 - CLR 프로파일러 [1]파일 다운로드1
274정성태6/7/200624763    답변글 디버깅 기술: 1.1. 디버깅 방법 - CLR 프로파일러 ( on Vista )
254정성태6/1/200621115개발 환경 구성: 2. VPC에 Vista 설치하는 방법 [2]
255정성태6/1/20062113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2.1. msconfig 설정과 Windows Activation
259정성태6/1/20061999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2.2. Vista VPC에 터미널 서비스 - 원격 접속
253정성태6/1/200617739기타: 14. .NET 2.0 이 지원되는 NDoc 2.0 을 배포합니다.
251정성태6/1/200621141오류 유형: 4. [OS 지원 API] SHParseDisplayName과 Windows 2000
252정성태6/1/200620471    답변글 오류 유형: 4.1. NET BCL 에서 제공되는 FolderBrowserDialog [2]
249정성태6/1/200620474.NET Framework: 71. VB.NET 이외의 언어에서 My 네임스페이스 사용
250정성태6/1/200623491    답변글 .NET Framework: 71.1. VB.NET 이외의 언어에서 My 네임스페이스 사용
248정성태6/1/200621831기타: 13. Code Center Premium에서 Win32 API 소스 찾기
245정성태6/1/200629183오류 유형: 3. [C# / VC++] error C2146: syntax error : missing ';' before identifier 'GetType'
247정성태5/3/200626546    답변글 .NET Framework: 3.1. Interface를 사용하면. [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