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2)

예전에 쓴 글이 있지만,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120

너무 난잡해서 간결하게 써 봅니다. ^^

지난번 글을 이용하면,

ASP.NET Core 프로젝트를 명령행에서 빌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24

명령행을 통해 다음과 같이 ASP.NET Core 프로젝트를 빌드 후 배포본을 만들 수 있습니다.

dotnet restore .\aspnet_core_proj
msbuild ".\aspnet_core_proj\aspnet_core_proj.csproj" /property:Platform=x64;Configuration=Release /t:Rebuild
dotnet publish .\aspnet_core_proj

그런 다음 배포 폴더를 robocopy로 대상 IIS 서버에 복사합니다.

robocopy ".\aspnet_core_proj\bin\Debug\net47\publish" \\192.168.100.50\d$\core_web_app /S

배포는 저것으로 끝입니다. 나머지는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글에서 설명한 대로 ".NET Core Windows Server Hosting bundle" 모듈만 설치되어 있다면 IIS에서 정상적으로 호스팅됩니다.

Host ASP.NET Core on Windows with IIS
; https://docs.microsoft.com/en-us/aspnet/core/publishing/iis?tabs=aspnetcore2x

.NET Core Windows Server Hosting bundle 
; https://aka.ms/dotnetcore-2-windowshosti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4/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52정성태8/14/201820937사물인터넷: 25. 컬렉터 9V, 베이스에 5V와 3.3V 전압으로 테스트하는 C1815 트랜지스터파일 다운로드1
11651정성태8/14/201827194사물인터넷: 24. 9V 전압에서 테스트하는 C1815 트랜지스터 [1]파일 다운로드3
11650정성태8/14/201820870사물인터넷: 23. 가변저항으로 분압파일 다운로드1
11649정성태8/12/201822184사물인터넷: 22. 저항에 따른 전류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1648정성태8/12/201823321사물인터넷: 21. 퓨즈를 이용한 회로 보호파일 다운로드3
11647정성태8/8/201825637오류 유형: 476. 음수의 음수는 여전히 음수가 되는 수(절대값이 음수인 수)
11646정성태8/8/201819974오류 유형: 475. gacutil.exe 실행 시 "Failure initializing gacutil" 오류 발생
11645정성태8/8/201823023오류 유형: 474. 닷넷 COM+ - Failed to load the runtime. [1]
11644정성태8/6/201826924디버깅 기술: 118. windbg - 닷넷 개발자를 위한 MEX Debugging Extension 소개
11643정성태8/6/201826185사물인터넷: 20. 아두이노 레오나르도 R3 호환 보드의 3.3v 핀의 LED 전압/전류 테스트 [1]파일 다운로드1
11642정성태8/3/201823741Graphics: 20. Unity - LightMode의 ForwardBase에 따른 _WorldSpaceLightPos0 값 변화
11641정성태8/3/201829416Graphics: 19.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10) - 빌보드 구현 [1]파일 다운로드1
11640정성태8/3/201826449Graphics: 18. Unity - World matrix(unity_ObjectToWorld)로부터 Position, Rotation, Scale 값을 복원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39정성태8/2/201824789디버깅 기술: 117.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추출한 DLL을 참조하는 방법
11638정성태8/2/201822944오류 유형: 473.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추출한 DLL 참조 시 "Resolved file has a bad image, no metadata, or is otherwise inaccessible." 빌드 오류
11637정성태8/1/201827642Graphics: 17. Unity - World matrix(unity_ObjectToWorld)로부터 TRS(이동/회전/크기) 행렬로 복원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36정성태8/1/201834045Graphics: 16. 3D 공간에서 두 점이 이루는 각도 구하기파일 다운로드1
11635정성태8/1/201823430오류 유형: 472. C# 컴파일 오류 - Your project is not referencing the ".NETFramework,Version=v3.5" framework.
11634정성태8/1/201827257.NET Framework: 790. .NET Thread 상태가 Cooperative일 때 GC hang 현상 재현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33정성태7/29/201829082Graphics: 15. Unity - shader의 World matrix(unity_ObjectToWorld)를 수작업으로 구성 [2]파일 다운로드1
11632정성태7/28/201832960Graphics: 14. C# - Unity에서 캐릭터가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카메라의 위치 이동 및 회전하는 방법
11631정성태7/27/201833751Graphics: 13.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9) - 투명 배경이 있는 텍스처 입히기 [1]
11630정성태7/27/201829204개발 환경 구성: 391. (GitHub 등과 직접 연동해) 소스 코드 디버깅을 쉽게 해 주는 SourceLink [3]
11629정성태7/26/201828867.NET Framework: 789. C# 컴파일 옵션 - Check for arithmetic overflow/underflow [2]
11628정성태7/25/201829404Graphics: 12.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8) - 다중 패스(Multi-Pass Shader)
11627정성태7/25/201824075개발 환경 구성: 390. C# - 컴파일러 옵션 OSS signing / Public Signing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