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윈도우 폼을 열고 닫는 것만으로 메모리 leak이 발생할까?

마침 지난번에 쓴 글과,

DataTable에 대해서 Dispose 메서드를 호출할 필요가 있을까?
; https://www.sysnet.pe.kr/2/0/1141

비슷한 질문이 올라왔군요. ^^

C# 메모리 관리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 http://www.devpia.com/MAEUL/Contents/Detail.aspx?BoardID=17&MAEULNO=8&no=140384&ref=140384

위의 질문의 요지는, 윈도우 폼을 열고 닫기만 해도 메모리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건 상당히 민감한 사항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중요도가 떨어집니다. 왜냐하면, 윈도우 폼 프로그램에서 윈도우는 너무나 빈번하게 사용되는 자원이기 때문에 메모리 누수가 있다는 것은 굉장한 이슈거리이긴 하지만,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치고 윈도우를 수만개 띄우는 일은 드물기 때문에 설령 어느 정도의 누수가 있다고 해도 보통의 프로그램에서 심각한 수준의 상황을 겪는 것은 흔치 않습니다.

어쨌든. ^^ 메모리 누수가 있다고 하니 한번 테스트를 해봐야 겠지요.

제가 테스트 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단, Form2를 다음과 같이 만들고, (Finalizer 구현은 굳이 할 필요가 없지만 질문한 사람의 예제 코드와 최대한 비슷하게 구성하기 위해 남겨두었습니다.)

public partial class Form2 : Form
{
    public Form2()
    {
        InitializeComponent();
    }

    ~Form2()
    {
    }
}

Form1에서는 버튼을 누르면 윈도우 폼을 생성/닫기 를 반복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코드를 구성했습니다.

private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NewWindowTest();
}

int windowCount;
private void NewWindowTest()
{
    windowCount++;
    Form2 form = new Form2();
    form.Show();
    form.Shown += new EventHandler(form_Shown);
}

void form_Shown(object sender, EventArgs e)
{
    ((sender) as Form).Close();
    NewWindowTest();
}

이와 함께, 지난번 글에서 써 먹었던 리소스 출력 코드를 별도의 스레드로 구성했습니다.

Thread thread = new Thread(ThreadFunc);
thread.IsBackground = true;
thread.Start();

void ThreadFunc(object state)
{
    while (true)
    {
        Process currentProcess = Process.GetCurrentProcess();

        string txt = string.Format("{0,6}, {1,6}, {2,6}, {3,10}, {4,10}, {5,10}, {6,10}", GC.CollectionCount(0),
            GC.CollectionCount(1), GC.CollectionCount(2), GC.GetTotalMemory(false),
            currentProcess.WorkingSet64,
            currentProcess.PrivateMemorySize64, windowCount);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txt);

        Thread.Sleep(1000 * 2);
    }
}

누수를 위한 메모리 체크는 Private 메모리 크기를 출력하는 것으로 만족될 수 있습니다. 자, 그럼 이 정도로 끝내고 실제로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결과를 확인해 볼까요? ^^

           GC #0   GC #1    GC #2   Heap    WorkingSet    Private        # of Window
[6384]      1,      1,      1,    5039452,   26103808,   23621632,          0 
[6384]      1,      1,      1,    5813380,   26984448,   24203264,         12 
[6384]      1,      1,      1,    7114760,   26562560,   22048768,        145 
[6384]      2,      2,      2,    2109168,   26783744,   22421504,        357 
[6384]      2,      2,      2,    3825176,   27041792,   22855680,        572 
[6384]      2,      2,      2,    5547620,   27959296,   23957504,        784 
[6384]      3,      2,      2,    3847020,   28241920,   24375296,        990 
[6384]      3,      2,      2,    5409380,   28405760,   24707072,       1172 
...
[6384]      4,      3,      2,    7102076,   29995008,   26935296,       1882 
...
[6384]      5,      4,      3,    1159908,   28655616,   24010752,       2039 
...
[6384]     13,      8,      5,    6469808,   30392320,   26259456,       7874 
...
[6384]     23,     13,      7,    6685392,   31055872,   27586560,      14427 
[6384]     23,     13,      7,    8596928,   29704192,   24686592,      14684 
...
[6384]     50,     27,     14,    7716320,   31125504,   27545600,      32973 
[6384]     51,     27,     14,    6413320,   31272960,   27865088,      33245 
[6384]     52,     28,     15,    2847524,   29925376,   24977408,      33518 


보시는 것처럼, Private 메모리가 널을 뛰기는 하지만 결국 다시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만 개가 넘는 윈도우 생성/삭제를 반복했으니 실험값으로는 충분한 자료라고 보이는데.... 어떠세요? 이 정도면, 윈도우 생성/삭제로 인한 메모리 누수가 없다고 볼 수 있겠지요. ^^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한 예제 프로젝트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10-11 02시37분
[lancers] 요즘 진짜 심심한가 보군요.
devpia까지 다시 보는 걸 보면.. (아님 재선정을 위한 대비? ㅋㅋㅋ)
[guest]
2011-10-12 02시15분
음... 심심할 여유 없이 살고는 있는데, ^^ 후자라고 봐야겠지요. ^^ 많은 활동을 할 수는 없고, 질문/답변만이라도... ^^;
(그나저나, 딱히 추가할 만한/적절한 활동후보가 없네요. ^^)
정성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93정성태11/8/200619448오류 유형: 17. Unable to start debugging - The binding handle is invalid.
371정성태10/23/200618592오류 유형: 16. STS Communication failed.
370정성태11/12/200622517.NET Framework: 75. Windows CardSpace 이야기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5정성태10/25/200624462    답변글 .NET Framework: 75.1. 개인 발행 카드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6정성태10/27/200624128    답변글 .NET Framework: 75.2. "Windows CardSpace"와 "인증서 서비스"의 만남(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7정성태10/26/200623750    답변글 .NET Framework: 75.3. Managed Card 발행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 (1) - CardWriter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85정성태11/6/200626375    답변글 .NET Framework: 75.4. Managed Card 발행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 (2) - STS 구현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7]
387정성태11/2/200627157    답변글 .NET Framework: 75.5. Windows CardSpace와 SYSNET 사이트의 만남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1]
397정성태11/11/200624723    답변글 .NET Framework: 75.6. CardWriter.csproj와 함께 알아보는 인증서 식별 방법(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98정성태11/12/200623217    답변글 .NET Framework: 75.7. 카드에 암호 거는 방법(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99정성태11/12/200625471    답변글 .NET Framework: 75.8. 인증서/스마트 카드에 기반한 Managed Card - STS 구현(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5]
369정성태10/22/200620957오류 유형: 15. 자동 업데이트 실패
367정성태10/22/200636735Windows: 3. IIS 7.0 다중 바인딩 설정하는 방법 [1]
365정성태10/21/200620468Windows: 2. 서버(build 5600)에 IIS 7.0 서비스와 .NET 3.0 설치 방법
359정성태10/17/200616597오류 유형: 14. VS.NET 빌드 오류 - FxCopCmd.exe returned error code 65.
358정성태10/17/200621774오류 유형: 13. WSE 3.0 서비스 관련 WSE101 오류 / Destination Unreachable
357정성태12/1/200624038.NET Framework: 74. WCF 이야기 [4]
378정성태10/28/200628836    답변글 .NET Framework: 74.1. WCF와 WSE 3.0의 활용 [4]파일 다운로드1
379정성태11/3/200627773    답변글 .NET Framework: 74.2. WCF로 구현하는 .NET Remoting [4]파일 다운로드1
380정성태10/28/200626681    답변글 .NET Framework: 74.3. 웹 서비스와 닷넷 리모팅으로써의 WCF 구현파일 다운로드1
381정성태10/28/200629091    답변글 .NET Framework: 74.4. WCF 서비스 참조 추가 메뉴 [2]
382정성태10/28/200635161    답변글 .NET Framework: 74.5. WCF 서비스를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383정성태10/28/200629942    답변글 .NET Framework: 74.6. IIS 6.0: 다중 Endpoint 제공파일 다운로드1
384정성태10/28/200626796    답변글 .NET Framework: 74.7. IIS 7.0: 다중 Endpoint 제공
389정성태11/11/200629660    답변글 .NET Framework: 74.8. WCF에 SSL 적용 (1) - Httpcfg.exe 도구를 이용한 SSL 설정
390정성태11/6/200626794    답변글 .NET Framework: 74.9. WCF에 SSL 적용 (2) - 서비스 제작파일 다운로드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