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726. WPF + Direct2D + SharpDX 출력 C# 예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675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PF + Direct2D + SharpDX 출력 C# 예제

지난 글에서 사용한,

WPF + Direct2D 출력 C#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1430

Direct2DControl 컨트롤이 다 좋은데, WindowsAPICodePack.DirectX 어셈블리에 의존성을 갖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SharpDX 관련 타입들과의 연동도 힘든데요, 그래서 WindowsAPICodePack.DirectX 의존성을 떼어버리고 SharpDX로 변경한 Direct2DControl을 만들어 봤습니다. ^^

의존성만 바꿨기 때문에 사용법도 바뀐 것이 거의 없습니다. 첨부 파일은 지난 글의 예제 프로젝트를 SharpDX 의존성으로 바꾼 예제입니다.




이것만 첨부하면 아쉬우니 ^^ 역시 지난 글에서 소개한 SharpDX.WPF 버전의 경우에도,

SharpDX.WPF
; https://sharpdxwpf.codeplex.com/

4.0.1 버전의 SharpDX로 마이그레이션한 프로젝트를 첨부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915정성태4/13/20251940닷넷: 2331.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9)파일 다운로드1
13912정성태4/9/20251116닷넷: 2330.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5 ~ .NET 8)파일 다운로드1
13909정성태4/7/20252022닷넷: 2329.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Framework 4.8)파일 다운로드1
13908정성태4/2/20252521닷넷: 2328. C# - MailKit: SMTP, POP3, IMAP 지원 라이브러리
13906정성태3/27/20252810닷넷: 2327. C# - 초기화되지 않은 메모리에 접근하는 버그?파일 다운로드1
13897정성태3/5/20252704닷넷: 2326.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3892정성태2/24/20253445닷넷: 2325.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91정성태2/23/20252794닷넷: 2324. C# - 프로세스의 성능 카운터용 인스턴스 이름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90정성태2/21/20252596닷넷: 2323.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Win32 API)파일 다운로드1
13889정성태2/20/20253523닷넷: 2322.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성능 카운터, WMI) [1]파일 다운로드1
13888정성태2/17/20252749닷넷: 2321. Blazor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13887정성태2/17/20253479닷넷: 2320. Blazor의 razor 페이지에서 code-behind 파일로 코드를 분리 및 DI 사용법
13885정성태2/14/20253573닷넷: 2319. ASP.NET Core Web API / Razor 페이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13884정성태2/13/20253872닷넷: 2318. C# - (async Task가 아닌) async void 사용 시의 부작용파일 다운로드1
13883정성태2/12/20253560닷넷: 2317. C# - Memory Mapped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파일 다운로드1
13881정성태2/7/20253058닷넷: 2316. C# - Port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파일 다운로드1
13877정성태1/25/20253556닷넷: 2315. C# - PCI 장치 열거 (레지스트리, SetupAPI)파일 다운로드1
13876정성태1/25/20254239닷넷: 2314. C# - ProcessStartInfo 타입의 Arguments와 ArgumentList파일 다운로드1
13826정성태11/21/20245628닷넷: 2313. C# - (비밀번호 등의) Console로부터 입력받을 때 문자열 출력 숨기기(echo 끄기)파일 다운로드1
13816정성태11/14/20245891닷넷: 2312. C#, C++ - Windows / Linux 환경의 Thread Name 설정파일 다운로드1
13814정성태11/13/20245560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파일 다운로드1
13813정성태11/12/20245325닷넷: 2310. .NET의 Rune 타입과 emoji 표현파일 다운로드1
13803정성태11/7/20245630닷넷: 2309. C# - .NET Core에서 바뀐 DateTime.Ticks의 정밀도
13800정성태11/3/20246646닷넷: 2308. C# - ICU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문자열의 대소문자 변환 [2]파일 다운로드1
13794정성태10/30/20245518닷넷: 2307.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