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726. WPF + Direct2D + SharpDX 출력 C# 예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094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PF + Direct2D + SharpDX 출력 C# 예제

지난 글에서 사용한,

WPF + Direct2D 출력 C#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1430

Direct2DControl 컨트롤이 다 좋은데, WindowsAPICodePack.DirectX 어셈블리에 의존성을 갖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SharpDX 관련 타입들과의 연동도 힘든데요, 그래서 WindowsAPICodePack.DirectX 의존성을 떼어버리고 SharpDX로 변경한 Direct2DControl을 만들어 봤습니다. ^^

의존성만 바꿨기 때문에 사용법도 바뀐 것이 거의 없습니다. 첨부 파일은 지난 글의 예제 프로젝트를 SharpDX 의존성으로 바꾼 예제입니다.




이것만 첨부하면 아쉬우니 ^^ 역시 지난 글에서 소개한 SharpDX.WPF 버전의 경우에도,

SharpDX.WPF
; https://sharpdxwpf.codeplex.com/

4.0.1 버전의 SharpDX로 마이그레이션한 프로젝트를 첨부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487정성태1/13/202118071.NET Framework: 100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486정성태1/12/202121492.NET Framework: 1003. x64 환경에서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1]
12484정성태1/9/202123320.NET Framework: 1002. C# - ReadOnlySequence<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82정성태1/8/202120865.NET Framework: 1001. C# - 제네릭 타입/메서드에서 사용 시 경우에 따라 CS8377 컴파일 에러
12481정성태1/7/202120701.NET Framework: 1000. C# - CS8344 컴파일 에러: ref struct 타입의 사용 제한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12480정성태1/6/202123390.NET Framework: 999. C# - ArrayPool<T>와 MemoryPool<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79정성태1/6/202120833.NET Framework: 998. C# - OWIN 예제 프로젝트 만들기
12478정성태1/5/202124691.NET Framework: 997. C# - ArrayPool<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76정성태1/5/202120146.NET Framework: 996. C# - 닷넷 코어에서 다른 스레드의 callstack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475정성태1/5/202125678.NET Framework: 995. C# - Span<T>와 Memory<T> [1]파일 다운로드1
12474정성태1/4/202121553.NET Framework: 994. C# - (.NET Core 2.2부터 가능한) 프로세스 내부에서 CLR ETW 이벤트 수신 [1]파일 다운로드1
12473정성태1/4/202120879.NET Framework: 993. .NET 런타임에 따라 달라지는 정적 필드의 초기화 유무 [1]파일 다운로드1
12471정성태1/1/202121518.NET Framework: 992. C# - .NET Core 3.0 이상부터 제공하는 runtimeOptions의 rollForward 옵션 [1]
12470정성태12/30/202021198.NET Framework: 991. .NET 5 응용 프로그램에서 WinRT API 호출 [1]파일 다운로드1
12469정성태12/30/202025311.NET Framework: 990. C# - SendInput Win32 API를 이용한 가상 키보드/마우스 [1]파일 다운로드1
12467정성태12/29/202022740.NET Framework: 989. HttpContextAccessor를 통해 이해하는 AsyncLocal<T> [1]파일 다운로드1
12466정성태12/29/202019961.NET Framework: 988. C# - 지연 실행이 꼭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singleton 패턴에서 DCLP보다는 static 초기화를 권장 [1]파일 다운로드1
12465정성태12/29/202023501.NET Framework: 987. .NET Profiler - FunctionID와 연관된 ClassID를 구할 수 없는 문제
12464정성태12/29/202020588.NET Framework: 986. pptfont.exe - PPT 파일에 숨겨진 폰트 설정을 일괄 삭제
12461정성태12/21/202021936.NET Framework: 985. .NET 코드 리뷰 팁 [3]
12453정성태12/14/202022294.NET Framework: 984. C# - bool / BOOL / VARIANT_BOOL에 대한 Interop [1]파일 다운로드1
12450정성태12/13/202021096.NET Framework: 983. C# - TIME_WAIT과 ephemeral port 재사용파일 다운로드1
12449정성태12/11/202022071.NET Framework: 982. C# - HttpClient에서의 ephemeral port 재사용 [2]파일 다운로드1
12448정성태12/11/202023826.NET Framework: 981. C# - HttpWebRequest, WebClient와 ephemeral port 재사용파일 다운로드1
12447정성태12/10/202022018.NET Framework: 980. C# - CopyFileEx API 사용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446정성태12/10/202023354.NET Framework: 979. C# - CoCreateInstanceEx 사용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