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726. WPF + Direct2D + SharpDX 출력 C# 예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664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PF + Direct2D + SharpDX 출력 C# 예제

지난 글에서 사용한,

WPF + Direct2D 출력 C#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1430

Direct2DControl 컨트롤이 다 좋은데, WindowsAPICodePack.DirectX 어셈블리에 의존성을 갖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SharpDX 관련 타입들과의 연동도 힘든데요, 그래서 WindowsAPICodePack.DirectX 의존성을 떼어버리고 SharpDX로 변경한 Direct2DControl을 만들어 봤습니다. ^^

의존성만 바꿨기 때문에 사용법도 바뀐 것이 거의 없습니다. 첨부 파일은 지난 글의 예제 프로젝트를 SharpDX 의존성으로 바꾼 예제입니다.




이것만 첨부하면 아쉬우니 ^^ 역시 지난 글에서 소개한 SharpDX.WPF 버전의 경우에도,

SharpDX.WPF
; https://sharpdxwpf.codeplex.com/

4.0.1 버전의 SharpDX로 마이그레이션한 프로젝트를 첨부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29정성태6/13/202020348.NET Framework: 910.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 Mouse 가상 장치 만들기 [1]
12228정성태6/12/202019636.NET Framework: 909. C# - Source Generator를 적용한 XmlCodeGenerator파일 다운로드1
12223정성태6/9/202024128.NET Framework: 908. C# - Source Generator 소개 [10]파일 다운로드2
12220정성태6/3/202021120.NET Framework: 907. C# DLL로부터 TLB 및 C/C++ 헤더 파일(TLH)을 생성하는 방법
12219정성태6/1/202019878.NET Framework: 906. C# - lock (this), lock (typeof(...))를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파일 다운로드1
12218정성태5/27/202019176.NET Framework: 905. C# - DirectX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중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3]
12216정성태5/15/202020869.NET Framework: 904.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가상 장치 만들기 [14]파일 다운로드1
12210정성태4/20/202020958.NET Framework: 903. .NET Framework의 Strong-named 어셈블리 바인딩 (1) - app.config을 이용한 바인딩 리디렉션 [1]파일 다운로드1
12195정성태3/16/202018551.NET Framework: 902.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 세 번째 이야기
12182정성태3/11/202019360.NET Framework: 901. C# Windows Forms - Vista/7 이후의 Progress Bar 업데이트가 느린 문제파일 다운로드1
12165정성태3/2/202018572.NET Framework: 900.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네 번째 이야기(Monitor.Enter 후킹)파일 다운로드1
12163정성태2/27/202018019.NET Framework: 899. 익명 함수를 가리키는 delegate 필드에 대한 직렬화 문제
12153정성태2/23/202019571.NET Framework: 898. Trampoline을 이용한 후킹의 한계파일 다운로드1
12152정성태2/23/202018588.NET Framework: 89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세 번째 이야기(Trampoline 후킹)파일 다운로드1
12151정성태2/22/202019416.NET Framework: 896.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원본 함수 호출)파일 다운로드1
12150정성태2/21/202019702.NET Framework: 895.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149정성태2/20/202018445.NET Framework: 894. eBEST C# XingAPI 래퍼 - 연속 조회 처리 방법 [1]
12146정성태2/18/202019426.NET Framework: 893. eBEST C# XingAPI 래퍼 - 로그인 처리파일 다운로드1
12145정성태2/18/202019313.NET Framework: 892. eBEST C# XingAPI 래퍼 - Sqlite 지원 추가파일 다운로드1
12144정성태2/13/202019543.NET Framework: 891.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2143정성태2/13/202016040.NET Framework: 89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64파일 다운로드1
12142정성태2/12/202018444.NET Framework: 889. C# 코드로 접근하는 MethodDesc, MethodTable파일 다운로드1
12141정성태2/10/202017435.NET Framework: 888. C# -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가로채기 [2]파일 다운로드1
12140정성태2/10/202018049.NET Framework: 887. C# -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가로채기파일 다운로드1
12139정성태2/9/202019234.NET Framework: 886. C# - Console 응용 프로그램에서 UI 스레드 구현 방법
12138정성태2/9/202023279.NET Framework: 885.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SQLite 사용 [6]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