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726. WPF + Direct2D + SharpDX 출력 C# 예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359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PF + Direct2D + SharpDX 출력 C# 예제

지난 글에서 사용한,

WPF + Direct2D 출력 C#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1430

Direct2DControl 컨트롤이 다 좋은데, WindowsAPICodePack.DirectX 어셈블리에 의존성을 갖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SharpDX 관련 타입들과의 연동도 힘든데요, 그래서 WindowsAPICodePack.DirectX 의존성을 떼어버리고 SharpDX로 변경한 Direct2DControl을 만들어 봤습니다. ^^

의존성만 바꿨기 때문에 사용법도 바뀐 것이 거의 없습니다. 첨부 파일은 지난 글의 예제 프로젝트를 SharpDX 의존성으로 바꾼 예제입니다.




이것만 첨부하면 아쉬우니 ^^ 역시 지난 글에서 소개한 SharpDX.WPF 버전의 경우에도,

SharpDX.WPF
; https://sharpdxwpf.codeplex.com/

4.0.1 버전의 SharpDX로 마이그레이션한 프로젝트를 첨부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865정성태2/20/201524349.NET Framework: 499. 특정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 이후부터 제공되는 타입을 사용해야 한다면?
1864정성태2/18/201529171.NET Framework: 498. C#으로 간단하게 만들어 본 ASCII Art 프로그램 [2]파일 다운로드1
1862정성태2/18/201533525.NET Framework: 497. .NET Garbage Collection에 대한 정리 [6]
1861정성태2/18/201528691.NET Framework: 496. 마우스 커서가 놓인 지점의 문자열 얻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860정성태2/18/201528950.NET Framework: 495. CorElementType의 요소 값 설명파일 다운로드1
1857정성태2/16/201526732.NET Framework: 494. 값(struct) 형식의 제네릭(Generic) 타입이 박싱되는 경우의 메타데이터 토큰 값파일 다운로드1
1856정성태2/15/201525395.NET Framework: 493. TypeRef 메타테이블에 등록되는 타입의 조건파일 다운로드1
1852정성태2/5/201527548.NET Framework: 492. .NET CLR Memory 성능 카운터의 의미파일 다운로드1
1848정성태2/4/201524167.NET Framework: 491. 닷넷 Generic 타입의 메타 데이터 토큰 값 알아내는 방법 [2]
1833정성태1/3/201533089.NET Framework: 490. System.Data.SqlClient는 SSL 3.0/TLS 1.0만 지원하는 듯! [3]
1826정성태12/11/201433667.NET Framework: 489. Socket.Listen에 전달된 backlog 인자의 의미 [6]
1825정성태12/11/201481465.NET Framework: 488. TCP 소켓 연결의 해제를 알 수 있는 방법 [10]파일 다운로드1
1824정성태12/10/201430285.NET Framework: 487. Socket.Receive 메서드의 SocketFlags.Peek 동작을 이용해 소켓 연결 유무를 확인? [8]파일 다운로드1
1823정성태12/10/201427756.NET Framework: 486. Java의 ScheduledExecutorService에 대응하는 C#의 System.Threading.Timer [2]
1820정성태11/23/201423852.NET Framework: 485. Mono Profiler에서 IL 코드 변경이 가능할까?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816정성태11/20/201425047.NET Framework: 484. Mono Profiler에서 IL 코드 변경이 가능할까?
1815정성태11/18/201422997.NET Framework: 483. 코드로 살펴 보는 ETW의 활성화 시점 [2]
1812정성태11/17/201424412.NET Framework: 482. ETW 자동 생성 코드의 VerificationException 예외 발생
1811정성태11/16/201426296.NET Framework: 481. Mono 내부의 문자열 처리 방식은 UTF-8
1810정성태11/15/201463123.NET Framework: 480. C# - 배치 파일 실행하고 출력 결과를 얻는 방법 [4]
1809정성태11/11/201427958.NET Framework: 479. Mono Profiler를 Unity의 Plugin으로 사용하는 방법
1808정성태11/11/201427600.NET Framework: 478. C# - 폴더 경로 문자열에서 "..", "." 표기를 고려한 최종 문자열을 얻는 방법 [2]
1806정성태11/10/201430653.NET Framework: 477. SeCreateGlobalPrivilege 특권과 WCF NamedPipe
1805정성태11/5/201426522.NET Framework: 476. Visual Studio에서 Mono용 Profiler 개발 [3]파일 다운로드1
1804정성태11/5/201432945.NET Framework: 475.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C#에서 사용하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793정성태10/27/201427455.NET Framework: 474. C# - chromiumembedded 사용 - 두 번째 이야기 [2]파일 다운로드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