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730. dotnet user-secrets 명령어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89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dotnet user-secrets 명령어

지난 글에 이어,

dotnet ef 명령어 사용을 위한 준비
; https://www.sysnet.pe.kr/2/0/11433

이번에는 dotnet user-secrets 명령어에 대한 간단한 사용법을 기록으로 남깁니다. ^^

Safe storage of app secrets during development in ASP.NET Core
; https://docs.microsoft.com/en-us/aspnet/core/security/app-secrets?tabs=visual-studio

이 명령어의 경우 이름에서 약간 오해가 생길 수 있는 데 "secret"이라고 해서 암호화를 포함하지는 않고 단지 값에 대한 내용을 공통 소스 코드가 아닌 개발자 각자의 PC에 저장할 수 있는 정도의 기능만 포함하고 있습니다. (가령, 운영 서버에서 사용하는 암호까지 포함된 DB 연결 문자열 같은.)

사용을 위해서는 Visual Studio에서 해당 프로젝트를 마우스 우 클릭해 "Manage User Secrets" 메뉴를 선택하면 됩니다. 그럼 시스템에 다음과 같은 2가지 변화가 일어납니다.

첫 번째로 프로젝트 파일(.csproj)에 다음과 같이 UserSecretsId 항목이 생깁니다.

<PropertyGroup>
    <TargetFramework>net47</TargetFramework>
    <RefVersion>2.1.0-preview1-28012</RefVersion>
    <UserSecretsId>2c0e055e-b285-401c-99cf-83f27128f081</UserSecretsId>
</PropertyGroup>

두 번째로 "%APPDATA%\Microsoft\UserSecrets" 폴더가 생성되고 그 하위에 .csproj 파일에 포함된 UserSecretsId 값의 서브 폴더가 생성됩니다. 예를 들어 이 글의 상황에서는 다음의 폴더가 생성됩니다.

%APPDATA%\Microsoft\UserSecrets\aad49e62-db13-4301-a0c9-d00bb910875d

이와 함께 저 폴더 하위에 "secrets.json" 파일이 다음과 같이 빈 설정을 담아 생성됩니다.

{

}

물론, 저 작업들을 Visual Studio의 메뉴 선택이 아닌 수작업으로 직접 해줘도 됩니다.




위의 준비를 해도 "dotnet user-secrets" 명령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프로젝트 파일(.csproj)에 다음의 내용을 수작업으로 추가해야 합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Web">

  <PropertyGroup>
    <TargetFramework>netcoreapp2.0</TargetFramework>
    <UserSecretsId>aad49e62-db13-4301-a0c9-d00bb910875d</UserSecretsId>
  </PropertyGroup>

  <ItemGroup>
    <Folder Include="wwwroot\" />
  </ItemGroup>

  <ItemGroup>
    <PackageReference Include="Microsoft.AspNetCore.All" Version="2.0.0" />
  </ItemGroup>

  <ItemGroup>
    <DotNetCliToolReference Include="Microsoft.VisualStudio.Web.CodeGeneration.Tools" Version="2.0.0" />
    <DotNetCliToolReference Include="Microsoft.Extensions.SecretManager.Tools" Version="2.0.0" />
  </ItemGroup>

</Project>

이렇게 한 후에야 "dotnet user-secrets" 명령어가 사용 가능합니다. 가령 다음과 같이 키/값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F:\WebApplication1\WebApplication1> dotnet user-secrets set test "myValue"
Successfully saved test = myValue to the secret store.

그럼, secrets.json 파일에 이렇게 값이 추가됩니다.

{
  "test": "myValue"
}

물론 저런 식으로 명령행을 통해 값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단순히 %APPDATA%\Microsoft\UserSecrets\aad49e62-db13-4301-a0c9-d00bb910875d\secrets.json 파일을 직접 읽어 편집해도 무방합니다.




"user-secrets"에 설정한 값을 접근하는 것은 appsettings.json에 설정했을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뤄집니다. 가령 ASP.NET Core 프로젝트의 Web API 방식으로 생성한 기본 예제에서 Controller 클래스에 의존성 주입으로 IConfiguration을 넘겨 받아 처리할 수 있습니다.

using Microsoft.AspNetCore.Mvc;
using Microsoft.Extensions.Configuration;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namespace WebApplication1.Controllers
{
    [Route("api/[controller]")]
    public class ValuesController : Controller
    {
        IConfiguration _config;

        public ValuesController(IConfiguration config)
        {
            _config = config;
        }

        // GET api/values
        [HttpGet]
        public IEnumerable<string> Get()
        {
            return new string[] { _config["test"], "value1", "value2" };
        }

        // ...[생략]...
    }
}

이후 실 서버 배포에서는 저 정보를 "appsettings.json"에 동일한 키/값으로 포함시키면 됩니다. 가령 위의 소스 코드와 같은 상황이라면 다음과 같이 appsettings.json에 정보를 넣어줍니다.

{
    "test": "myValue3",

    "Logging": {
        "IncludeScopes": false,
        "Debug": {
            "LogLevel": {
                "Default": "Warning"
            }
        },
        "Console": {
            "LogLevel": {
                "Default": "Warning"
            }
        }
    }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0/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3-04 05시23분
[ssss] appsettings.Development에 넣는게 앞부분을 추가할 필요가 없으니 더 좋은 방법 아닌가요?
[guest]
2022-03-04 09시31분
물론, 단순히 실 서버와 개발 서버의 환경 정보를 나누는 식이라면 그렇게 해도 될 것입니다. 단지, "팀" 단위의 정보 공유가 아니라 "개인" 단위의 정보라면 user-secrets를 사용해야 합니다. 가령, 아래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구현한다고 가정할 때,

C# - REST API를 이용해 NuGet 저장소 제어
; https://www.sysnet.pe.kr/2/0/11696

API Key의 경우 appsettings.Development에 넣어두고 github의 공용 repo에 체크인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정성태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831정성태1/1/201528533디버깅 기술: 66.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1) [1]
1830정성태1/1/201527572오류 유형: 265. svchost.exe 프로세스(IP Helper: IPHLPSVC)의 CPU 100% 현상
1829정성태12/16/201431340VC++: 86. Windows Vista부터 바뀐 Credential Provider 예제 분석 (2) [2]파일 다운로드1
1828정성태12/15/201427805VC++: 85. Windows Vista부터 바뀐 Credential Provider 예제 분석 (1) [4]파일 다운로드1
1827정성태12/12/201424155VC++: 84. CredUIPromptForWindowsCredentials Win32 API 사용법 정리
1826정성태12/11/201428629.NET Framework: 489. Socket.Listen에 전달된 backlog 인자의 의미 [6]
1825정성태12/11/201475797.NET Framework: 488. TCP 소켓 연결의 해제를 알 수 있는 방법 [10]파일 다운로드1
1824정성태12/10/201425850.NET Framework: 487. Socket.Receive 메서드의 SocketFlags.Peek 동작을 이용해 소켓 연결 유무를 확인? [8]파일 다운로드1
1823정성태12/10/201422798.NET Framework: 486. Java의 ScheduledExecutorService에 대응하는 C#의 System.Threading.Timer [2]
1822정성태12/3/201425440개발 환경 구성: 252. Xamarin 라이선스 관리 [8]
1821정성태12/1/201431882VS.NET IDE: 96. Visual Studio에서 /* ~ */ 주석을 위한 단축키(매크로)
1820정성태11/23/201420604.NET Framework: 485. Mono Profiler에서 IL 코드 변경이 가능할까?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819정성태11/22/201420598오류 유형: 264. MSBuild 에러 - warning MSB3052: The parameter to the compiler is invalid,
1818정성태11/22/201423012개발 환경 구성: 251. NUMA 노드 수에 따른 IIS Worker Process(w3wp.exe) 설정 [1]
1817정성태11/22/201426165VS.NET IDE: 95. Macros for Visual Studio 2013 [1]
1816정성태11/20/201420853.NET Framework: 484. Mono Profiler에서 IL 코드 변경이 가능할까?
1815정성태11/18/201418854.NET Framework: 483. 코드로 살펴 보는 ETW의 활성화 시점 [2]
1814정성태11/18/201420391오류 유형: 263. Unable to find the requested .Net Framework Data Provider. It may not be installed.
1813정성태11/18/201422213오류 유형: 262. Build Events에 robocopy 작업이 있는 경우 "VCEnd exited with code 3" 오류 발생
1812정성태11/17/201419675.NET Framework: 482. ETW 자동 생성 코드의 VerificationException 예외 발생
1811정성태11/16/201420998.NET Framework: 481. Mono 내부의 문자열 처리 방식은 UTF-8
1810정성태11/15/201457649.NET Framework: 480. C# - 배치 파일 실행하고 출력 결과를 얻는 방법 [4]
1809정성태11/11/201422892.NET Framework: 479. Mono Profiler를 Unity의 Plugin으로 사용하는 방법
1808정성태11/11/201423218.NET Framework: 478. C# - 폴더 경로 문자열에서 "..", "." 표기를 고려한 최종 문자열을 얻는 방법 [2]
1807정성태11/10/201429351개발 환경 구성: 250. 서버용 Socket에서 사용하는 포트가 충돌한다면?파일 다운로드1
1806정성태11/10/201425135.NET Framework: 477. SeCreateGlobalPrivilege 특권과 WCF NamedPipe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