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6개 있습니다.)

C# 7.3 - 초기화 식에서 변수 사용 가능(expression variables in initializers)

이번 글로써 C# 7.3 기능 명세에 나온,

Language Feature Status
; https://github.com/dotnet/roslyn/blob/master/docs/Language%20Feature%20Status.md

모든 내용을 다루게 됩니다.

C# 7.3 (1) - 개선된 문법 4개(Support == and != for tuples, Ref Reassignment, Constraints, Stackalloc initializers)
; https://www.sysnet.pe.kr/2/0/11552

C# 7.3 (2) - 개선된 메서드 선택 규칙 3가지(Improved overload candidates)
; https://www.sysnet.pe.kr/2/0/11553

C# 7.3 (3) - 자동 구현 속성에 특성 적용 가능(Attribute on backing field)
; https://www.sysnet.pe.kr/2/0/11554

C# 7.3 (4) - 사용자 정의 타입에 fixed 적용 가능(Custom fixed)
; https://www.sysnet.pe.kr/2/0/11555

C# 7.3 (5) - 구조체의 고정 크기를 갖는 fixed 배열 필드에 대한 직접 접근 가능(Indexing movable fixed buffers)
; https://www.sysnet.pe.kr/2/0/11556

C# 7.3 (6) - blittable 제네릭 제약(blittable)
; https://www.sysnet.pe.kr/2/0/11558

C# 7.3 (7) - 초기화 식에서 변수 사용 가능(expression variables in initializers)
; https://www.sysnet.pe.kr/2/0/11560

이 중에서 문서에 나오지 않는 것으로 "strongname"이 있는데 딱히 이렇다 할 부가적인 문서가 없어 현시점(2018-06-25)에서 다룰 수가 없습니다. 여기저기 흩어진 내용으로 볼 때 어셈블리에 대한 "강력한 형식 이름" 부여와 관련해 C# 컴파일러의 옵션이 추가되는 듯한데, 따라서 문법적인 변화와는 상관이 없는 것 같습니다. 결국 실질적인 변화로는 위의 7개 글에서 모두 다룬 것입니다.




자, 그럼 마지막 항목을 가볍게 다뤄볼까요? ^^ 아래의 코드는 속성, 필드 및 생성자의 초기화를 비롯해 LINQ 쿼리 절에서 식(expression)을 사용하고 있는 예제입니다.

// 코드 참조: https://github.com/dotnet/csharplang/issues/32
using System;

class UserType
{
    // 속성 초기화에 식 사용 가능
    int Number { get; set; } = int.TryParse("5", out int _) ? 0 : -1;

    // 필드 초기화에 식 사용 가능
    private readonly bool _field1 = int.TryParse("5", out _);
}

class Base
{
    bool _isFive;

    public Base(bool isFive)
    {
        _isFive = isFive;
    }
}

class UserCtor : Base
{
    // 생성자의 초기화 구문에 식 사용 가능
    public UserCtor(string s) : base(int.TryParse("5", out _))
    {
    }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
    {
        string[] strings = new string[] { "test", "is", "good" };

        // LINQ 쿼리 내에 식 사용 가능
        var query1 = from text in strings
                     where int.TryParse(text, out int _)
                     select text;
    }
}

그런데, 위와 같은 식 안에서 변수를 사용하는 경우(expression variables)에는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using System;

class UserType
{
    // 속성 초기화 시 변수 사용 불가능
    // C# 7.2까지 컴파일 오류 - Error CS8200 Out variable and pattern variable declarations are not allowed within constructor initializers, field initializers, or property initializers.
    int Number { get; set; } = int.TryParse("5", out int i) ? i : -1;

    // 필드 초기화 시 변수 사용 불가능
    // C# 7.2까지 컴파일 오류 - Error CS8200 Out variable and pattern variable declarations are not allowed within constructor initializers, field initializers, or property initializers.
    private readonly int _field1 = int.TryParse("5", out int value) ? value : -1;
}

class Base
{
    int _number;

    public Base(int number)
    {
        _number = number;
    }
}

class UserCtor : Base
{
    // 생성자의 초기화 식에서 변수 사용 불가능
    // C# 7.2까지 컴파일 오류 - Error CS8200 Out variable and pattern variable declarations are not allowed within constructor initializers, field initializers, or property initializers.
    public UserCtor(string s) : base(int.TryParse("5", out int i) ? i : -1)
    {
    }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
    {
        string[] strings = new string[] { "5", "6", "good" };

        // LINQ Query 절에서 변수 사용 불가능
        // C# 7.2까지 컴파일 오류 - Error CS8201 Out variable and pattern variable declarations are not allowed within a query clause.
        {
            var numbers = from text in strings
                         let t = (int.TryParse(text, out var v), v)
                         where t.Item1
                         select t.Item2;

            foreach (var item in numbers)
            {
                Console.WriteLine(item);
            }
        }
    }
}

그리고 이러한 제약이 C# 7.3부터 풀렸다고 합니다.

expression variables in initializers
; https://github.com/dotnet/csharplang/blob/master/proposals/csharp-7.3/expression-variables-in-initializers.md

We extend the features introduced in C# 7 to permit expressions containing expression variables (out variable declarations and declaration patterns) in field initializers, property initializers, ctor-initializers, and query clauses.

즉 다음의 4가지 구문에서,

  1. field initializers
  2. property initializers
  3. ctor-initializers
  4. query clauses

"out variable declarations and declaration patterns"의 사용이 가능해진 것입니다. 보니까, out 변수 말고도 "declaration patterns"도 사용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테스트는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

// 초기화 구문에서 패턴 매칭 시 변수 사용 불가능
// C# 7.2까지 컴파일 오류 - Error CS8200 Out variable and pattern variable declarations are not allowed within constructor initializers, field initializers, or property initializers.
int Number3 { get; set; } = 5 is int value ? value : 0;

// LINQ Query 절에서 패턴 매칭 시 변수 사용 불가능
// C# 7.2까지 컴파일 오류 - Error CS8201 Out variable and pattern variable declarations are not allowed within a query clause.
{
    object[] list = new object[] { 5, 6, "good" };
    var numbers =
        from item in list
        let t = item is int value ? (true, value) : (false, 0)
        where t.Item1
        select t.Item2;

    foreach (var item in numbers)
    {
        Console.WriteLine(item);
    }
}

물론, 위의 코드는 C# 7.3부터 정상적으로 컴파일이 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40정성태2/17/202118493.NET Framework: 1024. C# - Win32 API에 대한 P/Invoke를 대신하는 Microsoft.Windows.CsWin32 패키지
12539정성태2/16/202118348Windows: 189. WM_TIMER의 동작 방식 개요파일 다운로드1
12538정성태2/15/202118833.NET Framework: 1023. C# - GC 힙이 아닌 Native 힙에 인스턴스 생성 - 0SuperComicLib.LowLevel 라이브러리 소개 [2]
12537정성태2/11/202119474.NET Framework: 1022.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 두 번째 이야기 [2]
12536정성태2/9/202118320개발 환경 구성: 542. BDP(Bandwidth-delay product)와 TCP Receive Window
12535정성태2/9/202117401개발 환경 구성: 541. Wireshark로 확인하는 LSO(Large Send Offload), RSC(Receive Segment Coalescing) 옵션
12534정성태2/8/202117936개발 환경 구성: 540.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closesocket 동작 [1]파일 다운로드1
12533정성태2/8/202116970개발 환경 구성: 539.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shutdown 동작파일 다운로드1
12532정성태2/6/202118143개발 환경 구성: 538.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ReceiveBufferSize(SO_RCVBUF), SendBufferSize(SO_SNDBUF) [3]
12531정성태2/5/202116901개발 환경 구성: 537.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PSH flag와 Nagle 알고리듬파일 다운로드1
12530정성태2/4/202120764개발 환경 구성: 536.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Receive Window
12529정성태2/4/202118633개발 환경 구성: 535.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IN RTO [1]
12528정성태2/1/202118244개발 환경 구성: 534.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윈도우 환경
12527정성태2/1/202118311개발 환경 구성: 533.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리눅스 환경파일 다운로드1
12526정성태2/1/202115140개발 환경 구성: 532. Azure Devops의 파이프라인 빌드 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Secure file
12525정성태2/1/202114065개발 환경 구성: 531. Azure Devops - 파이프라인 실행 시 빌드 이벤트를 생략하는 방법
12524정성태1/31/202115202개발 환경 구성: 530.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빌드 Pipeline에 연결하는 방법 [1]
12523정성태1/31/202116203개발 환경 구성: 529.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Board에 연결하는 방법
12522정성태1/31/202118380개발 환경 구성: 528. 오라클 클라우드의 리눅스 VM - 9000 MTU Jumbo Frame 테스트
12521정성태1/31/202117355개발 환경 구성: 527. 이더넷(Ethernet) 환경의 TCP 통신에서 MSS(Maximum Segment Size) 확인 [1]
12520정성태1/30/202116166개발 환경 구성: 526.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에 ping ICMP 여는 방법
12519정성태1/30/202114932개발 환경 구성: 525.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을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 포트 여는 방법
12518정성태1/30/202133075Linux: 37. Ubuntu에 Wireshark 설치 [2]
12517정성태1/30/202120712Linux: 36. 윈도우 클라이언트에서 X2Go를 이용한 원격 리눅스의 GUI 접속 - 우분투 20.04
12516정성태1/29/202117161Windows: 188. Windows - TCP default template 설정 방법
12515정성태1/28/202118860웹: 41. Microsoft Edge - localhost에 대해 http 접근 시 무조건 https로 바뀌는 문제 [3]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