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92. 윈도우 환경에서 curl.exe를 이용한 elasticsearch 6.x 기본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1663

개발 환경 구성: 393. 윈도우 환경에서 elasticsearch의 한글 형태소 분석기 설치
; https://www.sysnet.pe.kr/2/0/11664

개발 환경 구성: 394. 윈도우 환경에서 elasticsearch의 한글 블로그 검색 인덱스 구성
; https://www.sysnet.pe.kr/2/0/11669

.NET Framework: 791. C# - ElasticSearch를 위한 Client 라이브러리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1676

개발 환경 구성: 507. Elasticsearch 6.6부터 기본 추가된 한글 형태소 분석기 노리(nori)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2309




윈도우 환경에서 curl.exe를 이용한 elasticsearch 6.x 기본 사용법

사용을 위해 elasticsearch를 설치해야겠죠? ^^ 윈도우 10 운영체제에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1. Java 8 (x64) 설치 (JDK 또는 JRE)

2. https://www.elastic.co/downloads/elasticsearch로부터 ".zip" 파일 다운로드
 
    6.3.2 버전
    https://artifacts.elastic.co/downloads/elasticsearch/elasticsearch-6.3.2.zip

3. bin\elasticsearch.bat 파일을 메모장에서 편집(자신의 환경에 맞게 경로 설정)

    SET JAVA_HOME=C:\Program Files\Java\jdk1.8.0_131

4. bin\elasticsearch.bat 파일 실행

5. 다음의 명령어를 실행해서 정상 동작하는지 확인

    curl http://localhost:9200/

    그 결과로 아래와 같은 식의 내용이 출력되면 OK!

    {
      "name" : "Vld1Cby",
      "cluster_name" : "elasticsearch",
      "cluster_uuid" : "WYC...[생략]...WXQ",
      "version" : {
        "number" : "6.3.2",
        "build_flavor" : "default",
        "build_type" : "zip",
        "build_hash" : "053779d",
        "build_date" : "2018-07-20T05:20:23.451332Z",
        "build_snapshot" : false,
        "lucene_version" : "7.3.1",
        "minimum_wire_compatibility_version" : "5.6.0",
        "minimum_index_compatibility_version" : "5.0.0"
      },
      "tagline" : "You Know, for Search"
    }

이것으로 설치가 모두 끝났습니다. ^^




이제 사용법을 알아야 하겠죠? ^^

근데, 사용법이 정말 쉽습니다. 약간의 웹 검색만 해보면 대충 알 수 있을 정도입니다. 물론 고급 사용자의 위치까지 가려면 어느 정도 더 공부를 해야겠지만 초기 개념만 잡는 식이라면 쉽게 테스트하면서 익힐 수 있습니다.

기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사용자를 위해 DB와 비교해서 설명하면 대충 다음과 같습니다.

elasticsearch의 index == DB의 데이터베이스
elasticsearch의 type == DB의 테이블

그리고 이를 위한 RESTful 쿼리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제공됩니다.

http://host:port/(index)/(type)/(action|id)

여기서 host:port는 elasticsearch를 localhost에서 테스트하는 경우 (특별히 바꾸지 않았다면) 다음과 같이 정해집니다.

http://localhost:9200/

(index)와 (type)은 명시적으로 생성해 주거나 아니면, 그냥 데이터를 전달해서 스키마를 elasticsearch가 자동으로 추론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들이 가진 데이터 중에 "회원 목록"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회원에 대한 DB 스키마는 다음과 같습니다.

name: string
age: int
address: string
registered: date

자동 추론 방법으로 (index)/(type)을 생성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그냥 데이터를 HTTP PUT 메서드를 이용해 elasticsearch에 던지면 됩니다.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1"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name" : "tester", 
    "age": 16, 
    "address": "seoul KOREA", 
    "registered" : "2017-04-29T10:16:00" 
}"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1"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name\" : \"tester\", \"age\": 16, \"address\": \"seoul KOREA\", \"registered\" : \"2017-04-29T10:16:00\" }"

{"_index":"my_org","_type":"member","_id":"1","_version":1,"result":"created","_shards":{"total":2,"successful":1,"failed":0},"_seq_no":0,"_primary_term":1}

// 서버 로그
[2018-08-09T09:26:19,168][INFO ][o.e.c.m.MetaDataMappingService] [Vld1Cby] [my_org/g55350WDSDaHKWMBm9Yi8Q] create_mapping [member]

그럼, elasticsearch는 URL의 (index)에 해당하는 "my_org" 인덱스가 있는지 검사하고 없으면 생성합니다. 그다음 URL의 (type)에 해당하는 스키마가 있는지 역시 검사해 보고 없으면 HTTP PUT의 Body로 들어온 JSON 데이터를 보고 스키마를 유추해 "member"라는 이름으로 생성해 둡니다. 마지막의 (action|id)는 해당 데이터에 대한 식별자가 됩니다.

혹시 저 회원의 주소(address)가 변경되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당연히 (index), (type), (action|id)만 알고 있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덮어쓰는 것이 가능합니다.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1"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name" : "tester", 
    "age": 16, 
    "address": "daejeon KOREA", 
    "registered":"2017-04-29T10:16:00" 
}"

C:\temp>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1"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name\" : \"tester\", \"age\": 16, \"address\": \"daejeon KOREA\", \"registered\":\"2017-04-29T10:16:00\" }"

{"_index":"my_org","_type":"member","_id":"1","_version":2,"result":"updated","_shards":{"total":2,"successful":1,"failed":0},"_seq_no":1,"_primary_term":1}

혹은, 특정 필드만 변경되었다면 그것만 전달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1"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address\": \"dae3jeon KOREA\" }"

{"_index":"my_org","_type":"member","_id":"1","_version":2,"result":"updated","_shards":{"total":2,"successful":1,"failed":0},"_seq_no":1,"_primary_term":1}

정보를 가져오는 것도 GET 명령어로 가능합니다.

curl -XGE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1"

{"_index":"my_org","_type":"member","_id":"1","_version":1,"found":true,"_source":{ "name" : "tester", "age": 16, "address": "dae3jeon KOREA", "registered":"2017-04-29T10:16:00" }}

대충 어떤 식인지 아시겠죠? ^^




elasticsearch가 추론 기능이 있다고는 하지만 당연히 완벽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text 타입으로 판정되는 field에 대해서는 색인 작업을 하는 것이 기본 설정입니다. 따라서, "member" 타입의 경우 "name", "address"는 모두 색인 작업을 거치게 됩니다. 그런데, 만약 여기서 "name" 필드가 색인 작업이 필요 없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렇다면 성능을 위해서는 당연히 "name" 필드의 문자열에 대해서는 색인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런 식으로 개발자가 이미 해당 스키마를 잘 알고 있는 경우 최적화된 (type)을 지정해 주는 것이 가능합니다.

실습을 위해 이전에 설정한 인덱스(DB)를 삭제해 보겠습니다.

curl -XDELETE "http://localhost:9200/my_org/"

{"acknowledged":true}

// 서버 로그
[2018-08-09T09:39:46,322][INFO ][o.e.c.m.MetaDataDeleteIndexService] [Vld1Cby] [my_org/g55350WDSDaHKWMBm9Yi8Q] deleting index

자, 다시 처음부터 시작한다고 가정하고 (index)를 먼저 생성합니다. (아래는 기본값으로 index를 생성하는데, 고급 사용자라면 좀 더 사용자 정의할 수 있는 설정들이 있습니다.)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my_org": {
        "settings" : {
            "index" : {
            }
        }
    }
}"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my_org\": { \"settings\" : { \"index\" : { } } } }"

{"acknowledged":true,"shards_acknowledged":true,"index":"my_org"}

// 서버 로그
[2018-08-09T10:05:33,163][INFO ][o.e.c.m.MetaDataCreateIndexService] [Vld1Cby] [my_org] creating index, cause [api], templates [], shards [5]/[1], mappings []

그다음 해당 (index)에 소속된 (type)인 member에 대해 스키마를 지정해 줍니다.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_mapping"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member" : {
        "properties" : {
            "name" : {"type" : "text", "index" : "false"},
            "age" : {"type" : "integer"},
            "address" : {"type" : "text"},
            "registered" : {"type" : "date"}
        }
    }
}"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_mapping"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member\" : { \"properties\" : { \"name\" : {\"type\" : \"text\", \"index\" : \"false\"}, \"age\" : {\"type\" : \"integer\"}, \"address\" : {\"type\" : \"text\"}, \"registered\" : {\"type\" : \"date\"} } } }"

{"acknowledged":true}

// 서버 로그
[2018-08-09T10:20:05,995][INFO ][o.e.c.m.MetaDataMappingService] [Vld1Cby] [my_org/RNr83v64ROSaqqTcvamZoA] create_mapping [member]

해당 type이 잘 정의가 되었는지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curl -XGE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_mapping"

{"my_org":{"mappings":{"member":{"properties":{"address":{"type":"text"},"age":{"type":"integer"},"name":{"type":"text","index":false},"registered":{"type":"date"}}}}}}

// 없는 경우,
{
    "error":
        {
            "root_cause":
                [
                    {
                        "type":"type_missing_exception",
                        "reason":"type[[member]] missing",
                        "index_uuid":"_na_","index":"_all"
                    }
                ],
                "type":"type_missing_exception",
                "reason":"type[[member]] missing",
                "index_uuid":"_na_",
                "index":"_all"
        },
        "status":404
}

(index)와 (type) 스키마가 생성되었으니, 이제 예전과 똑같이 데이터를 넣어주면 됩니다.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1"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name" : "tester",
    "age": 16,
    "address": "daejeon KOREA",
    "registered":"2017-04-29T10:16:00"
}"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1"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name\" : \"tester\", \"age\": 16, \"address\": \"daejeon KOREA\", \"registered\":\"2017-04-29T10:16:00\" }"

{"_index":"my_org","_type":"member","_id":"1","_version":1,"result":"created","_shards":{"total":2,"successful":1,"failed":0},"_seq_no":0,"_primary_term":1}

참고로, 타입(type)을 삭제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Delete Mapping
; https://www.elastic.co/guide/en/elasticsearch/reference/current/indices-delete-mapping.html

It is no longer possible to delete the mapping for a type. Instead you should delete the index and recreate it with the new mappings.

삭제하려고 했을 때의 반환 메시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curl -XDELETE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_mapping"

{
    "error":"Incorrect HTTP method for uri [/my_org/member/_mapping] and method [DELETE], allowed: [GET, PUT, POST]",
    "status":405
}

curl -XDELETE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
{
    "error":"Incorrect HTTP method for uri [/my_org/member] and method [DELETE], allowed: [POST]",
    "status":405
}

어차피 index 하나에 type 하나만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type을 지울 의도라면 index를 지우는 걸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검색 엔진을 설치한 최종 목적인 "검색"을 해봐야 할 것입니다.

가령, 주소(address)가 "daejon"을 포함하고 있는 사람을 검색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HTTP 쿼리를 날리면 됩니다.

curl -XGE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_search"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query": {
        "match": { "address": "daejeon" }
    }
}"

curl -XGE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_search"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query\": { \"match\": { \"address\": \"daejeon\" } } }"

{"took":87,"timed_out":false,"_shards":{"total":5,"successful":5,"skipped":0,"failed":0},"hits":{"total":1,"max_score":0.2876821,"hits":[{"_index":"my_org","_type":"member","_id":"1","_score":0.2876821,"_source":{ "name" : "tester", "age": 16, "address": "daejeon KOREA", "registered":"2017-04-29T10:16:00" }}]}}

보는 바와 같이 "hits"의 "total" 속성을 통해 몇 건의 데이터가 검색되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반면, 검색 결과가 없다면 다음과 같은 응답을 받게 됩니다.

curl -XGE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_search"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query\": { \"match\": { \"address\": \"dae3jeon\" } } }"

{"took":9,"timed_out":false,"_shards":{"total":5,"successful":5,"skipped":0,"failed":0},"hits":{"total":0,"max_score":null,"hits":[]}}

보다 자세한 검색 옵션은 다음의 글을 참조하세요. ^^

엘라스틱서치 쿼리 DSL 기초
; http://bakyeono.net/post/2016-08-20-elasticsearch-querydsl-basic.html

이것으로 전체적인 CRUD 작업을 한 번씩 해봤으니 감이 잡히실 거라고 봅니다. ^^ 생각보다 그다지 어렵지 않죠? 아마도 그래서 더 ElasticSearch가 유명해진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외에, 웹 UI로 ElasticSearch를 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ElasticSearch plug-in이 있습니다. (도움말로 봐서는 Elasticsearch 버전 6 이후는 지원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ElasticSearch 5.0 Plugin Head 설치
; http://jjig810906.tistory.com/5




(이하의 글은 오류나 시행착오 내용입니다.)

제 컴퓨터에 다음과 같은 설정을 했더니,

영문 설정의 Windows 10 명령행 창(cmd.exe)의 한글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1559

elasticsearch.bat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2018-08-09 09:06:00,629 main ERROR Unable to inject fields into builder class for plugin type class org.apache.logging.log4j.core.appender.ConsoleAppender, element Console. java.nio.charset.UnsupportedCharsetException: cp65001
        at java.nio.charset.Charset.forName(Charset.java:531)
        at org.apache.logging.log4j.util.PropertiesUtil.getCharsetProperty(PropertiesUtil.java:146)
        at org.apache.logging.log4j.util.PropertiesUtil.getCharsetProperty(PropertiesUtil.java:134)
        at org.apache.logging.log4j.core.appender.ConsoleAppender$Target.getCharset(ConsoleAppender.java:85)
        at org.apache.logging.log4j.core.appender.ConsoleAppender$Target$1.getDefaultCharset(ConsoleAppender.java:71)
        ...[생략]...
        at org.elasticsearch.bootstrap.Elasticsearch.main(Elasticsearch.java:91)
        at org.elasticsearch.bootstrap.Elasticsearch.main(Elasticsearch.java:84)

Unable to get Charset 'sun.stdout.encoding', using default UTF-8
java.nio.charset.UnsupportedCharsetException: cp65001
        at java.nio.charset.Charset.forName(Charset.java:531)
        at org.apache.logging.log4j.util.PropertiesUtil.getCharsetProperty(PropertiesUtil.java:172)
        at org.apache.logging.log4j.core.appender.ConsoleAppender$Target.getCharset(ConsoleAppender.java:89)
        ...[생략]...
        at org.elasticsearch.bootstrap.Elasticsearch.main(Elasticsearch.java:93)
        at org.elasticsearch.bootstrap.Elasticsearch.main(Elasticsearch.java:86)

윈도우에서의 65001 지원을 아직 모르는 것 같습니다. ^^ 일단, 다음과 같이 elasticsearch.bat 파일을 수정하는 걸로 임시 조치할 수 있습니다.

@echo off

chcp 949
SET JAVA_HOME=C:\Program Files\Java\jdk1.8.0_161

SETLOCAL enabledelayedexpansion
TITLE Elasticsearch 5.4.0

SET params='%*'
...[생략]...




오픈 소스 쪽 응용 프로그램을 다루다 보면, 마이크로소프트의 "하위 호환성"을 지켜주는 것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를 알게 되는데요. elasticsearch를 5.x 버전에서 다루다가 6.x로 올렸더니 예전에 작성해 둔 스크립트들을 실행 중에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error": 
    {
        "root_cause":
            [
                {
                    "type":"mapper_parsing_exception",
                    "reason":"No handler for type [string] declared on field [name]"
                }
            ],
            "type":"mapper_parsing_exception",
            "reason":"No handler for type [string] declared on field [name]"},
            "status":400
    }"

"error":
    {
        "root_cause":
            [
                {
                    "type":"illegal_argument_exception",
                    "reason":"Could not convert [name.index] to boolean"
                }
            ],
            "type":"illegal_argument_exception",
            "reason":"Could not convert [name.index] to boolean",
            "caused_by":
                {
                    "type":"illegal_argument_exception",
                    "reason":"Failed to parse value [not_analyzed] as only [true] or [false] are allowed."
                }
        },
        "status":400
    }

물론, 검색하면 다 나옵니다.

No handler for type [string] declared on field [name]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7452770/no-handler-for-type-string-declared-on-field-name

index 지정의 string 타입이 없어졌으니 "text"를 사용하라는 것과, "not_analyzed" 대신 false를 사용하라는 식입니다.




하위 호환성이 깨진 것 중 또 하나 의미 있는 것이 있습니다. 본문에서 index == db, type == table이라고 설명했는데요, 그래서 index 하나에 다중 type을 정의할 수 있어 보이지만 이 정책이 ES 버전 6부터 index 하나에 type 하나만을 정의할 수 있도록 바뀌었습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my_org 인덱스에 member를 생성했다면,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my_org\": { \"settings\" : { \"index\" : { } } } }"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member/_mapping"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member\" : { \"properties\" : { \"name\" : {\"type\" : \"text\", \"index\" : \"false\"}, \"age\" : {\"type\" : \"integer\"}, \"address\" : {\"type\" : \"text\"}, \"registered\" : {\"type\" : \"date\"} } } }"

이후, 동일한 인덱스에 다른 type을 생성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curl -XPUT "http://localhost:9200/my_org/test/_mapping?pretty"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test\" : { \"properties\" : { \"qwer\" : {\"type\" : \"text\", \"index\" : \"false\"} } } }"

{
  "error" : {
    "root_cause" : [
      {
        "type" : "illegal_argument_exception",
        "reason" : "Rejecting mapping update to [my_org] as the final mapping would have more than 1 type: [test, member]"
      }
    ],
    "type" : "illegal_argument_exception",
    "reason" : "Rejecting mapping update to [my_org] as the final mapping would have more than 1 type: [test, member]"
  },
  "status" : 400
}

Can't create two Types to same index elasticsearch & Kibana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7632846/cant-create-two-types-to-same-index-elasticsearch-kibana

누가 알겠습니까? 향후에는 index, table 따로 정의하던 것을 하나로 합칠지도 모릅니다. 그러다 다시 index 따로 table 따로 정의할 수 있게 만들어 서로 조합할 수 있게 할지도.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6/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43정성태12/13/20244366오류 유형: 938. Docker container 내에서 빌드 시 error MSB3021: Unable to copy file "..." to "...". Access to the path '...' is denied.
13842정성태12/12/20244508디버깅 기술: 205. Windbg - KPCR, KPRCB
13841정성태12/11/20244841오류 유형: 937. error MSB4044: The "ValidateValidArchitecture" task was not given a value for the required parameter "RemoteTarget"
13840정성태12/11/20244414오류 유형: 936. msbuild - Your project file doesn't list 'win' as a "RuntimeIdentifier"
13839정성태12/11/20244841오류 유형: 936. msbuild - error CS1617: Invalid option '12.0' for /langversion. Use '/langversion:?' to list supported values.
13838정성태12/4/20244581오류 유형: 935. Windbg - Breakpoint 0's offset expression evaluation failed.
13837정성태12/3/20245037디버깅 기술: 204. Windbg - 윈도우 핸들 테이블 (3) - Windows 10 이상인 경우
13836정성태12/3/20244610디버깅 기술: 203. Windbg - x64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페이지 크기가 2MB인 경우)
13835정성태12/2/20245040오류 유형: 934. Azure - rm: cannot remove '...': Directory not empty
13834정성태11/29/20245267Windows: 275. C# - CUI 애플리케이션과 Console 윈도우 (Windows 10 미만의 Classic Console 모드인 경우) [1]파일 다운로드1
13833정성태11/29/20244950개발 환경 구성: 737. Azure Web App에서 Scale-out으로 늘어난 리눅스 인스턴스에 SSH 접속하는 방법
13832정성태11/27/20244899Windows: 274. Windows 7부터 도입한 conhost.exe
13831정성태11/27/20244368Linux: 111. eBPF - BPF_MAP_TYPE_PERF_EVENT_ARRAY, BPF_MAP_TYPE_RINGBUF에 대한 다양한 용어들
13830정성태11/25/20245165개발 환경 구성: 736. 파이썬 웹 앱을 Azure App Service에 배포하기
13829정성태11/25/20245133스크립트: 67. 파이썬 - Windows 버전에서 함께 설치되는 py.exe
13828정성태11/25/20244423개발 환경 구성: 735. Azure - 압축 파일을 이용한 web app 배포 시 디렉터리 구분이 안 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3827정성태11/25/20245075Windows: 273. Windows 환경의 파일 압축 방법 (tar, Compress-Archive)
13826정성태11/21/20245306닷넷: 2313. C# - (비밀번호 등의) Console로부터 입력받을 때 문자열 출력 숨기기(echo 끄기)파일 다운로드1
13825정성태11/21/20245648Linux: 110. eBPF / bpf2go - BPF_RINGBUF_OUTPUT / BPF_MAP_TYPE_RINGBUF 사용법
13824정성태11/20/20244742Linux: 109. eBPF / bpf2go - BPF_PERF_OUTPUT / BPF_MAP_TYPE_PERF_EVENT_ARRAY 사용법
13823정성태11/20/20245271개발 환경 구성: 734. Ubuntu에 docker, kubernetes (k3s) 설치
13822정성태11/20/20245134개발 환경 구성: 733. Windbg - VirtualBox VM의 커널 디버거 연결 시 COM 포트가 없는 경우
13821정성태11/18/20245065Linux: 108. Linux와 Windows의 프로세스/스레드 ID 관리 방식
13820정성태11/18/20245231VS.NET IDE: 195. Visual C++ - C# 프로젝트처럼 CopyToOutputDirectory 항목을 추가하는 방법
13819정성태11/15/20244477Linux: 107. eBPF - libbpf CO-RE의 CONFIG_DEBUG_INFO_BTF 빌드 여부에 대한 의존성
13818정성태11/15/20245243Windows: 272. Windows 11 24H2 - sudo 추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