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사물인터넷: 38.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수신기 기본 사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202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수신기 기본 사용법

우선 이 글에서 사용한 적외선 수신에 대한 부품 먼저 소개합니다.

Infrared_receiver.jpg

구매 링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두이노 KY-022 적외선 센서 수신기 모듈(AS0150)
; http://arduinostory.com/goods/goods_view.php?goodsNo=1000000150

제조사: 애니벤더
원산지: 중국
사양:
    전압: 5V
    포트: 디지털 레벨
    전송 거리: 1~8m
    플랫폼: Arduino 마이크로 컨트롤러 
    크기: 가로 14mm x 세로 20mm x 높이 10mm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하시겠지만 별도의 datasheet는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떤 핀이 어느 용도인지 어떻게 알아낼 수 있을까요? 다행히 검색을 해보면,

KY-022 Infrared IR Sensor Receiver Module For Arduino
; https://forum.banggood.com/forum-topic-28885.html

다음과 같은 그림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KY_022_Arduino_ir.png

또는 아래의 제품과 아주 동일한 것 같지는 않은데,

KY-022 Infrared Receiver Module
; https://arduinomodules.info/ky-022-infrared-receiver-module/

Operating Voltage 2.7 to 5.5V 
Operating Current 0.4 to 1.5mA 
Reception Distance 18m 
Reception Angle ±45°
Carrier Frequency 38KHz 
Low Level Voltage 0.4V 
High Level Voltage 4.5V 
Ambient Light Filter up to 500LUX 

핀에 대한 정보가 다음과 같이 있습니다.

KY-012 Arduino
S Signal
Middle +5V
- GND

실제로 제가 구매한 IR 수신기 역시 위와 같이 보드에 좌측으로 "-" 표시와 우측으로 "S"가 있었고 테스트 결과 그 핀 배열로 동작했습니다. 일단 이렇게 핀만 확인하면 해당 제품에는 저항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부가 저항 없이 곧바로 다음과 같이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ir_recv_1.png

남은 작업은 코딩인데요, Arduino IDE에서 "Sketch" / "Include Library" / "Manager Libraries..."를 이용해 "IRRemote"를 검색하면 "shirriff"라는 사람이 만든 모듈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것을 추가하고 github에 공개된 원본 소스와 예제 코드에 따라,

z3t0/Arduino-IRremote 
; https://github.com/z3t0/Arduino-IRremote

원하는 작업을 추가합니다. 제 경우에 2번 핀에 연결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초기화하고,

#include <boarddefs.h>
#include <IRremote.h>
#include <IRremoteInt.h>
#include <ir_Lego_PF_BitStreamEncoder.h>

int RECV_PIN = 2;
IRrecv irrecv(RECV_PIN);
decode_results results;

void setup() {
  Serial.begin(9600);
  irrecv.enableIRIn(); // Start the receiver
}

loop에서는 https://github.com/z3t0/Arduino-IRremote 코드에서 구한 dump 함수를 이용해 적외선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그 값을 Serial 출력에 나오도록 만들었습니다.

void dump(decode_results *results) {
  // Dumps out the decode_results structure.
  // Call this after IRrecv::decode()
  int count = results->rawlen;
  if (results->decode_type == UNKNOWN) {
    Serial.print("Unknown encoding: ");
  }
  else if (results->decode_type == NEC) {
    Serial.print("Decoded NEC: ");
  }
  else if (results->decode_type == SONY) {
    Serial.print("Decoded SONY: ");
  }
  else if (results->decode_type == RC5) {
    Serial.print("Decoded RC5: ");
  }
  else if (results->decode_type == RC6) {
    Serial.print("Decoded RC6: ");
  }
  else if (results->decode_type == PANASONIC) {
    Serial.print("Decoded PANASONIC - Address: ");
    Serial.print(results->address, HEX);
    Serial.print(" Value: ");
  }
  else if (results->decode_type == LG) {
    Serial.print("Decoded LG: ");
  }
  else if (results->decode_type == JVC) {
    Serial.print("Decoded JVC: ");
  }
  else if (results->decode_type == AIWA_RC_T501) {
    Serial.print("Decoded AIWA RC T501: ");
  }
  else if (results->decode_type == WHYNTER) {
    Serial.print("Decoded Whynter: ");
  }
  Serial.print(results->value, HEX);
  Serial.print(" (");
  Serial.print(results->bits, DEC);
  Serial.println(" bits)");
  Serial.print("Raw (");
  Serial.print(count, DEC);
  Serial.print("): ");

  for (int i = 1; i < count; i++) {
    if (i & 1) {
      Serial.print(results->rawbuf[i]*USECPERTICK, DEC);
    }
    else {
      Serial.write('-');
      Serial.print((unsigned long) results->rawbuf[i]*USECPERTICK, DEC);
    }
    Serial.print(" ");
  }
  Serial.println();
}

void loop() {
  if (irrecv.decode(&results) == true)
  {
    Serial.println(results.value, HEX);
    dump(&results);
    irrecv.resume();
    return;                  
  }

  delay(100);
}

테스트를 위해 ^^ 우리 집에 있는 형광등 On/Off 리모컨을 4번 써서 수신하니 각각 다음의 데이터가 들어왔습니다.

33E09F86
Unknown encoding: 33E09F86 (32 bits)
Raw (26): 3550 -1750 600 -400 600 -1800 550 -450 600 -450 600 -1800 550 -450 600 -450 600 -500 600 -450 600 -400 650 -400 550 

33E09F86
Unknown encoding: 33E09F86 (32 bits)
Raw (26): 3550 -1750 600 -400 600 -1800 550 -450 600 -450 600 -1800 550 -450 600 -450 600 -450 650 -450 550 -450 600 -450 550 

33E09F86
Unknown encoding: 33E09F86 (32 bits)
Raw (26): 3600 -1700 650 -400 600 -1750 600 -400 600 -500 600 -1750 600 -400 650 -400 600 -500 600 -450 600 -450 600 -400 600 

33E09F86
Unknown encoding: 33E09F86 (32 bits)
Raw (26): 3600 -1750 600 -400 600 -1750 600 -400 650 -450 600 -1750 600 -400 650 -400 600 -500 600 -450 600 -450 600 -400 600 

보는 바와 같이 매번 동일한 데이터가 들어오진 않습니다. 그래도 크게 상관은 없고 저 중에 하나를 뽑아서 IR 송신기로 그대로 보내기만 하면 동작합니다. (송신에 대해서는 다음 글에서 다룹니다.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전체 소스 코드와 회로 그림에 대한 원본 fzz 파일이 들어 있습니다. 또한 아래는 KY-022 Infrared Receiver Module에 대한 Fritzing 부품 파일입니다.

KY-022 Infrared Receiver Module Zip File
; https://arduinomodules.info/download/ky-022-infrared-receiver-module-zip-file/




참고로, 제가 가진 IR Receiver 중에는 이 글에서 소개한 보드 일체형 제품이 아닌, 아래와 같이 단지 핀 3개만을 가진 IR Receiver 단품도 있습니다.

ir_recv_3.png

위와 같은 단품을 쓸 때는 이 글에서 설명한 대로 회로를 구성하면 안 됩니다. 왜냐하면 보드의 경우에는 저항을 자체 포함해서 제공했으므로 상관이 없지만 위의 부품만을 연결할 때는 5V 입력 단자에 저항을 하나 연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게다가 핀에 대한 연결도 바뀌는데요, 왜냐하면 원래 단품 IR Receiver가 위의 그림 기준으로 왼쪽부터 Signal - GND - Vcc이기 때문입니다. (보드 일체형 제품의 경우에는 저 배열을 보드 상에서 바꿔 GND - Vcc - Signal로 제공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튀어나온 면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회로를 구성해야 합니다.

ir_recv_4.png

Fritzing Parts - Homautomation
; http://www.homautomation.org/fritzing-parts/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8/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3-01-04 09시09분
정성태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81정성태4/10/201831971개발 환경 구성: 357. CUDA의 인덱싱 관련 용어 - blockIdx, threadIdx, blockDim, gridDim
11480정성태4/9/201821971.NET Framework: 736. C# - API를 사용해 Azure에 접근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479정성태4/9/201817681.NET Framework: 735. Azure - PowerShell로 Access control(IAM)에 새로운 계정 만드는 방법
11478정성태11/8/201919890디버깅 기술: 115.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PID와 환경변수 등의 정보를 구하는 방법 [1]
11477정성태4/8/201817377오류 유형: 460. windbg - sos 명령어 수행 시 c0000006 오류 발생
11476정성태4/8/201818894디버깅 기술: 114. windbg - !threads 출력 결과로부터 닷넷 관리 스레드(System.Threading.Thread) 객체를 구하는 방법
11475정성태3/28/201821151디버깅 기술: 113. windbg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에 대한 덤프 분석
11474정성태3/27/201819288오류 유형: 459. xperf: error: TEST.Event: Invalid flags. (0x3ec).
11473정성태3/22/201824513.NET Framework: 734. C#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파일 다운로드2
11472정성태3/22/201818464개발 환경 구성: 356. GTX 1070, GTX 960, GT 640M의 cudaGetDeviceProperties 출력 결과
11471정성태3/20/201821882VC++: 125. CUDA로 작성한 RGB2RGBA 성능 [1]파일 다운로드1
11470정성태3/20/201823860오류 유형: 458. Visual Studio - CUDA 프로젝트 빌드 시 오류 C1189, expression must have a constant value
11469정성태3/19/201816863오류 유형: 457. error MSB3103: Invalid Resx file.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System.Windows.Forms, ...' or one of its dependencies.
11468정성태3/19/201816441오류 유형: 456. 닷넷 응용 프로그램 실행 시 0x80131401 예외 발생
11467정성태3/19/201815982오류 유형: 455. Visual Studio Installer - 업데이트 실패
11466정성태3/18/201817063개발 환경 구성: 355. 한 대의 PC에서 2개 이상의 DirectX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11463정성태3/15/201819473.NET Framework: 733. 스레드 간의 read/write 시에도 lock이 필요 없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1462정성태3/14/201822317개발 환경 구성: 354. HTTPS 호출에 대한 TLS 설정 확인하는 방법 [1]
11461정성태3/13/201824913오류 유형: 454. 윈도우 업데이트 설치 오류 - 0x800705b4 [1]
11460정성태3/13/201817393디버깅 기술: 112. windbg - 닷넷 메모리 덤프에서 전역 객체의 내용을 조사하는 방법
11459정성태3/13/201818165오류 유형: 453. Debug Diagnostic Tool에서 mscordacwks.dll을 찾지 못하는 문제
11458정성태2/21/201819238오류 유형: 452. This share requires the obsolete SMB1 protocol, which is unsafe and could expose your system to attack. [1]
11457정성태2/17/201823947.NET Framework: 732. C# - Task.ContinueWith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1456정성태2/17/201829654.NET Framework: 731. C# - await을 Task 타입이 아닌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하는 방법 [7]파일 다운로드1
11455정성태2/17/201818570오류 유형: 451. ASP.NET Core - An error occurred during the compilation of a resource required to process this request.
11454정성태2/12/201827441기타: 71. 만료된 Office 제품 키를 변경하는 방법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