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사물인터넷: 39.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송신기 기본 사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85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5개 있습니다.)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송신기 기본 사용법

지난 글에 IR 수신기를 알아봤으니,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수신기 기본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1670

이제 당연히 그 수신했던 데이터를 송신해 볼 차례입니다. ^^ 이를 위해 송신기에 사용한 부품 먼저 소개합니다.

Infrared_led.jpg

구매 링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두이노 KY-005 적외선 발광 센서 모듈(AS0164)
; http://arduinostory.com/goods/goods_view.php?goodsNo=1000000164

제조사: 애니벤더
원산지: 중국
사양:
    펄스 순방향 전류: 0.3 ~ 1A
    역방향 전압: 5V
    온도 범위: -25 ~ +80
    크기: 가로 19mm x 세로 15mm

역시 별다른 datasheet가 없는데요, 동일하진 않지만 유사한 모델로 보이는 다음의 문서를 찾을 수 있어 사용하는데 지장은 없습니다.

KY-005 Infrared Transmitter Module
; https://arduinomodules.info/ky-005-infrared-transmitter-sensor-module/

Operating Voltage 5V 
Forward Current 30 ~ 60 mA 
Power Consumption 90mW 
Operating Temperature -25°C to 80°C [-13°F to 176°F] 
Dimensions  18.5mm x 15mm [0.728in x 0.591in] 

게다가 Pin 배치 역시 지난 IR 수신기 때와 비슷하므로,

KY-005 Arduino
S Signal
Middle +5V
- GND

이에 맞게 배치를 하면 됩니다.

ir_send_1.png

보는 바와 같이 제 경우에는 Signal 핀을 아두이노의 13번 핀에 연결하고 추가로 4번 핀을 Push 버튼으로 입력받는 용도로 했습니다. 즉, Push 버튼을 한 번 누르면 IR 송신을 하도록 만들고 싶은 것입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IR 송신을 위한 핀이 아두이노의 CPU에 종류에 따라 이미 정해져 있다는 것입니다. (기본 핀을 바꾸려면 헤더 파일의 코드를 변경해야 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IRRemote 라이브러리의 readme에 자세하게 나와 있습니다.

z3t0/Arduino-IRremote 
; https://github.com/z3t0/Arduino-IRremote

제가 테스트하는 아두이노 레오나르도 호환 보드는 Atmega32u4를 사용하기 때문에 "Atmega32u4 5, 9, 13"에 해당하고 이 중에서 굵은 글씨로 되어 있는 13번을 따른 것입니다. 이제 코딩을 해야 하는데요, 지난번과 동일하게 IRRemote 라이브러리를 포함한 다음 이전에 수신해 두었던 데이터를,

33E09F86
Unknown encoding: 33E09F86 (32 bits)
Raw (26): 3550 -1750 600 -400 600 -1800 550 -450 600 -450 600 -1800 550 -450 600 -450 600 -500 600 -450 600 -400 650 -400 550 

(Unknown 인코딩이므로) Raw 데이터 그대로 전송하면 됩니다 따라서 이것을 음수 표현 없이 다음과 같이 배열로 만들어 줍니다.

#include <boarddefs.h>
#include <IRremote.h>
#include <IRremoteInt.h>
#include <ir_Lego_PF_BitStreamEncoder.h>

const int buttonPin = 4;
const int khz = 38;

IRsend irsend;

unsigned int light_onoff_signal_buf[] = { 3550, 1750, 600, 400, 600, 1800, 550, 450, 600, 450, 600, 1800, 550, 450, 600, 450, 600, 500, 600, 450, 600, 400, 650, 400, 550 };

그다음, 이것을 4번 핀에 연결한 버튼이 눌린 경우 sendRaw 함수를 이용해 전송하면 됩니다.

void setup()
{
    Serial.begin(9600);
    pinMode(buttonPin, INPUT_PULLUP); // 풀업 모드의 입력
}

void loop() 
{
    int buttonState = digitalRead(buttonPin);
    if (buttonState == HIGH)
    {
    }
    else
    {
        Serial.println("Sent");
        irsend.sendRaw(light_onoff_signal_buf, sizeof(light_onoff_signal_buf) / sizeof(int), khz);
    }

    delay(1000);
}

우와~~~ 정말 형광등이 꺼졌다 켜졌다 합니다.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전체 소스 코드와 회로 그림에 대한 원본 fzz 파일이 들어 있습니다. 또한 아래는 KY-005 Infrared Transmitter Module에 대한 Fritzing 부품 파일입니다.

KY-005 Infrared Transmitter Module Zip File
; https://arduinomodules.info/download/ky-005-infrared-transmitter-module-zip-file/




참고로, 실습을 해보면 아시겠지만 "아두이노 KY-005 적외선 발광 센서 모듈(AS0164)"의 기능이 그리 훌륭하지 않습니다. 제 경우에 약 3m부터는 IR LED의 방향이 (아주) 정확히 수신 센서의 방향을 향해야만 동작을 했습니다. 따라서 처음 테스트할 때는 동작 유무 확인을 위해 수신 센서 근방에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집에서 전등 On/off를 하는 리모컨에 달린 IR 송신기와 비교해보면, 일상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불편할 정도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테스트 용이 아닌, 현실적으로 응용하고 싶다면 저 부품이 아닌 다른 걸로 선택하시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이 글의 회로도에는 Vcc 입력 핀을 아두이노의 5V 핀과 연결했지만 사실 그 입력은 IR 송신기에서 사용하지 않습니다. IR 송신 보드를 자세히 보면 그 핀이 아무런 역할도 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 그냥 5V 입력 핀을 연결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렇게 따지면 IR LED는 아두이노 입력 핀의 3.3V 전압으로 작동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IR 송신기의 보드 일체형이 아닌 단품으로 된 제품이 있는데, 일반 LED처럼 다리가 2개 달린 IR LED입니다. 따라서, Signal + GND 핀만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아래는 단품 IR LED와 5V 전압을 컬렉터 입력으로 PN2222A 트랜지스터를 이용해 증폭을 한 것으로,

ir_send_2.png

성능이 좀 더 나아집니다. 그런데, 집에 있는 형광등 리모컨이 3V(1.5V 건전지 2개)에서 동작함에도 불구하고 확실히 "아두이노 KY-005 적외선 발광 센서 모듈(AS0164)" 제품보다 훨씬 송신 감도가 좋습니다. (아마도 송신기의 제품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이를 감안하면 기존 리모컨을 대체하는 용도로는 현재의 부품 구성으로는 사용 측면에서 답답함이 좀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4/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974정성태5/20/201623607.NET Framework: 588. C# - OxyPlot 라이브러리로 복소수 표현파일 다운로드1
10973정성태5/20/201628703.NET Framework: 587. C# Plotting 라이브러리 OxyPlot [3]파일 다운로드1
10972정성태5/19/201627667Math: 16. C# - 갈루아 필드 GF(2) 연산 [3]파일 다운로드1
10971정성태5/19/201620502오류 유형: 334. Visual Studio - 빌드 시 경고 warning MSB3884: Could not find rule set file "...". [2]
10970정성태5/19/201624878오류 유형: 333. OxyPlot 라이브러리의 컨트롤을 Toolbox에 등록 시 오류 [2]
10969정성태5/18/201624199.NET Framework: 586.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3) - "Open with" 목록에 등록파일 다운로드1
10968정성태5/18/201619189오류 유형: 332. Visual Studio - 단위 테스트 생성 시 "Design time expression evaluation" 오류 메시지
10967정성태5/12/201624309.NET Framework: 585.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2) - 웹 브라우저가 다운로드 후 자동 실행
10966정성태5/12/201631952.NET Framework: 584. C# - 파일 확장자에 연결된 프로그램을 등록하는 방법 (1) - 기본 [1]파일 다운로드1
10965정성태5/12/201624000디버깅 기술: 81. try/catch로 조용히 사라진 예외를 파악하고 싶다면?
10964정성태5/12/201622596오류 유형: 331. ASP.NET에서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
10963정성태5/11/201624827VS.NET IDE: 107. Visual Studio 2015의 "DTAR_..." 특수 폴더가 생성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2
10962정성태5/11/201624961오류 유형: 330. Visual Studio 단위 테스트 시 DisconnectedContext 예외 발생
10961정성태5/11/201624766.NET Framework: 583. 문제 재현 - Managed Debugging Assistant 'DisconnectedContext' has detected a problem in '...'파일 다운로드1
10960정성태5/10/201622167오류 유형: 329. ATL 메서드 추가 마법사 창에서 8ce0000b 오류 발생
10959정성태5/9/201624819.NET Framework: 582. CLR Profiler - 별도 정의한 .NET 코드를 호출하도록 IL 코드 변경파일 다운로드1
10958정성태5/6/201651840개발 환경 구성: 284. "Let's Encrypt"에서 제공하는 무료 SSL 인증서를 IIS에 적용하는 방법 (1) [3]
10957정성태5/3/201627127오류 유형: 328. 윈도우 백업 시 오류 - 0x80780166 두 번째 이야기 [1]
10956정성태5/3/201622649Windows: 117. BitLocker - This device can't use a Trusted Platform Module.
10955정성태5/3/201629311.NET Framework: 581. C# - 순열(Permutation)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2
10954정성태5/3/201630257.NET Framework: 580. C# - 조합(Combination) 예제 코드 [2]파일 다운로드1
10953정성태5/2/201619828.NET Framework: 579. Assembly.LoadFrom으로 로드된 어셈블리의 JIT 컴파일 코드 공유?파일 다운로드1
10952정성태5/2/201621936.NET Framework: 578. 도메인 중립적인 어셈블리가 비-도메인 중립적인 어셈블리를 참조하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0951정성태5/2/201619844.NET Framework: 577. CLR Profiler로 살펴보는 SharedDomain의 모듈 로드 동작파일 다운로드1
10950정성태5/2/201626288.NET Framework: 576. 기본적인 CLR Profiler 소스 코드 설명 [2]파일 다운로드2
10949정성태4/28/201619861.NET Framework: 575. SharedDomain과 JIT 컴파일파일 다운로드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